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단백질 수송계 성분이 리보스결합 단백질의 수송에 미치는 영향

        박순희,박찬규 ( Soon Hee Park,Can Kyu Park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1 BMB Reports Vol.24 No.3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protein export in general and to identify component(s) of export machinery utilized by ribose-binding protein,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ree prlA suppressors on the export of an export-defective mutant rbsB103. We also studied the requirement(s) of SecY protein and leader peptidase on the export of wild-type ribose-binding protein. The export defect of rbsB103 mutation was not suppressed by three prlA alleles tested. However, SecY protein appears to affect for the export of wild-type ribose-binding protein. Wild-type precursor ribose-binding protein was not processed by purified leader peptidase (lep product) in vitro.

      • Escherichia coli K-12 리보스 결합단백질의 신호배열 돌연변이에 대한 복귀돌연변이들

        김정호,박순희,박찬규,Kim, Jeong-Ho,Park, Soon-Hee,Park, Chan-Kyu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9 한국생화학회지 Vol.22 No.4

        rbsB103 돌연변이는 전구체 리보스 결합단백질(RBP)의 신호배열 돌연변이에 변화가 생겨 RBP의 수송이 일어나지 않고 세포질에 전구체 RBP가 축적되며, 리보스에서 성장속도가 낮아지고 리보스에 대한 주성반응에 결함을 보이는 표현형을 가진다. 이 돌연변이로부터 리보스에서의 성장속도가 증가하고 리보스에 대한 주성반응이 회복된 돌연변이를 얻었다. 이 복귀돌연변이들 중에는 rbsB 유전자 내에 변이가 일어난 것과 rbsB 유전자 외의 다른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난 것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rbsB 유전자 내의 억제돌연변이는 유전자의 신호배열이 아닌 단백질 부위에 위치하였으며 야생종에 비하여 약 20% 정도의 RBP를 세포질밖으로 수송하는 효과를 보였다. rbsB 유전자 외부의 억제돌연변이는 RBP의 수송회복 정도가 위의 경우에 비하여 훨씬 미약하였다. 이 돌연변이는 일반적으로 신호배열 돌연변이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prlA 유전자의 상대형질이 아님이 확인되었다. An Escherichia coli K-12 strain carrying rbsB103 signal sequence point mutation accumulates export-defective precursor of ribose binding protein(RBP) in the cytoplasm, which results in the defect of transport as well as taxis to ribose. Spontaneous pseudorevertants recovered from export defect were isolated from rbsB103 mutant by searching for reversions that enhanced growth and tactic response to ribose. Genetic analysis of pseudorevertants revealed that the reversions were resulted from either intragenic or extragenic suppression. The intragenic suppressor mutation that allowed RBP to be exported about 20% amount of the wild type rbsB gene was localized in the mature portion of the rbsB gene. Strains carrying the extragenic suppressors translocated RBP less efficiently than that of a strain producing wild type RBP. These extragenic suppressors were not prlA alleles which have been known to suppress most signal sequence mutations.

      • SCIESCOPUSKCI등재
      • 대장균 리보스 결합단백질의 수송결함 돌연변이 rbsB(-14)AE의 분리 및 분석

        이영희,박순희,김정호,박찬규,Lee, Young-Hee,Park, Soon-Hee,Kim, Jeong-Ho,Park, Chan-Kyu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3 한국생화학회지 Vol.26 No.3

        Signal sequence mutation of ribose-binding protein (RBP) in Escherichia coli, which has glutamic acid instead of alanine at the position of -14, was introduced by site-directed mutagenesis. This mutation named rbsB(-14)AE resulted in about 70% decrease of RBP export comparing with that of wild type. The export defect induced by rbsB(-14)AE was mitigated by the recombined intragenic suppressors such as rbsB27AG, rbsB27AT, and rbsB36 VE selected for rbsB103[rbsB(-17)LP]. The involvement of SecB, a molecular chaperone, was investigated in the suppression of rbsB(-14)AE mutation by these suppressors. Translocation efficiency was found to be increased by the presence of SecB for all suppressors as shown for rbsB103. 대장균의 리보스 결합단백질(ribose-binding protein, RBP)의 단백질 수송 신호배열에 자리특이적 돌연변이 유발법을 이용하여 -14 위치의 알라닌을 글루타민산으로 변화시키는 변이를 유발하였다. 이 신호배열 돌연변이, rbsB(-14)AE는 야생형과 비교하였을 때 RBP의 수송이 70% 이상 감소한 수송 결핍을 초래하였다. 리보스 결합단백질의 수송을 완전히 봉쇄하는 rbsB103 [rbsB(-17)LP] 신호배열 돌연변이에 대한 숙성체내 회복돌연변이들인 rbsB27AG, rbsB27AT, rbsB36VE(이등, 1991, 한국미생물학회지, 29(5), 270)와 rbsB(-14)AE의 유전자를 재조합하여 상호작용하는지를 관찰한 결과 각 숙성체내 회복돌연변이에 의해 RBP 수송이 증가하였다. Molecular chaperone인 SecB는 rbsB(-14)AE의 수송결핍을 회복시키는 이들 회복돌연변이의 수송회복도를 증가시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