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퉁퉁마디를 가해하는 퉁퉁마디뿔나방 Scrobipalpa salinella (Zeller) (나비목, 뿔나방과)의 재발견 및 피해

        박진영,박규택,Park, Jin-Young,Park, Kyu-Te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전남 신안군의 퉁퉁마디 재배지에서 대 발생하여 피해를 초래한 해충이 뿔나방과의 Scrobipalpa salinella (Zeller)로 확인되었다. 본 종은 Park & Ponomarenko (2006)에 의해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동정이 어려운 암컷 한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염생식물이 없는 산간지역에서 발견된 점 등으로 분포에 대한 의문점이 상존해 왔었으나 금번 조사결과로 국내 분포가 재 확인되었다. 종의 분류동정을 위한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 제공과 함께 유충의 발생 및 피해에 대해 조사된 내용을 기술하였다. In a cultivated field of Salicornia europae in the Jeonam Province, Korea, Scrobipalpa salinella (Lepidoptera, Gelechiidae) which feeds and leads to a serious damage was found. The discovery of this species is to reconfirm its distribution in Korea because the first report by Park and Ponomarenko (2006) was based on a single female and it was collected in a montane area far from seaside where its host plants, halophytes, are planted. For identification, photos of imago and genitalia are given, and the damage by larvae on Salicornia europae are noted.

      • KCI등재

        Al고압주조공법에서 사출슬리브 온도 조절을 통한 Chill layer의 최적 제어

        박진영,김억수,박용호,박익민,Park, Jin-Young,Kim, Eok-Soo,Park, Yong-Ho,Park, Ik-Min 한국재료학회 2006 한국재료학회지 Vol.16 No.11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hill layers occurred in shot sleeve on the molten metal filling was analyz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he behavior of chill layers with temperature variation of shot sleeve set from 200 to $280^{\circ}C$ was also investiga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e chill layers set in the in-gates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change the main filling direction and cause turbulent flow pattern, resulting in porosities inside the castings. The amount of chill layers with the increasing temperature of shot sleeve was considerably reduced. Particularly, at the setting temperature of $280^{\circ}C$ by heat control unit, the biggest reduction in chill layers, excellent trimmed surface and the highest density were achieved, suggesting that as the optimal sleeve condition in aluminum high pressure diecasting, especially for highly complex parts like valve body.

      • KCI등재

        국부가압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3차원 유동 및 응고해석을 통한 자동차 변속기 Gear Housing의 주조방안 설계 최적화

        박진영,김억수,박용호,박익민,Park, Jin-Young,Kim, Eok-Soo,Park, Yong-Ho,Park, Ik-Min 한국재료학회 2006 한국재료학회지 Vol.16 No.11

        In the partial squeeze casting process, the filling behavior of liquid metal and solidification pattern in thick area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casting products and die life. For the optimal casting design of automobile transmission gear housing, various analy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by using computer simulation code, MAGMAsoft an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experimental results. By air pressure criteria, internal porosities caused by air entrap during the mold filling were predicted and reduced remarkably by modification of gating system. Also, optimal squeeze-time lag to apply partial squeeze pin in thick area was calculated and the castings was free from shrinkage defects with the result of solidification analysis. Consequently, casting design for automobile transmission gear housing was optimized and approved by Computer Tomography.

      •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요법

        박진영,박희곤,Park Jin-Young,Park Hee-Go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2

        근위 상완골 골절은 골절의 형태에 따라 크게 관절편 또는 해부학적 경부, 대 결절, 소 결절, 상완골 간부 또는 외과적 경부의 4개의 골절편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Neer의 근위 상완골 골절의 분류는 골절선에 의해 골절편을 나누는 분류가 아니며, 1 cm이상전이나 45$^{\circ}$ 이상의 각형성 이 있는 경 우를 전 이 골절편으로 생각하였다.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 복 및 내고정술의 일차적 적응증은 골다공증이 없는 젊은 환자에서 발생된 튼튼한 내고정물을 시행할 수 있는 삼분 골절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위해 술후 오랜 기간동안 시행할 재활치료에 잘견딜수 있는 활동력 이 좋은 환자여야 한다. 수술적 치료의 절대적 적응증은 개방성 골절 ,혈관이 나 신경 손상이 동반될 때 , 정복이 불가능한 골절 탈구등이다. 반대로 환자가 골다공증이 심하거나, 근위 상완 골절편의 분쇄정도가 심하며 , 튼튼한 내고정을 시행할 가능성 이 희박한 나이가 많은 경 우에는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보다 일차적 인공삽입물을 이 용한 관절성형 술을 시행한 후 조기 재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요법에는 다양한 수술 기법과 이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 이고 체계적 인 재활 치 료가 꼭 필요하다. 여러 수술 기 법 중 관혈적 정복 및 장력 대 강선 기법을 시행할 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 이 방법 은 수술적 기법이 어렵지 않고, 골에 대한 고정과 함께 회전근 개의 건부착 부위에 대한 봉합을 추가할 수 있으나 역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있으므로 골절의 양상이 나 환자의 상태 ,환자의 활동력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된다.EX>46N으로, 슬개건-티타늄 간섭나사군이평균 1067.4$\pm$145N에서평균 601.8$\pm$134N으로, 슬개건-생체흡수성간섭나사군이평균 987.1$\pm$168N에서588.7$\pm$124N으로각각40$\%$, 39$\%$, 50$\%$, 24$\%$, 44$\%$, 40$\%$가감소하였다. 결론: 수술후초기고정력은슬괵건을LA나사(R) 또는Semifix(R)로고정하는방법과슬개건을티타늄및생체흡수성간섭나사로고정하는방법등이우수하였으며, 슬괵건을생체흡수성간섭나사나Endobutton(R)으로 고정하는 방법 등은고정력이 상대적으로매우약함을 알수있었다. 최대인장력은단순인장검사로는이상의대퇴골측고정방법의고정력이초기부하를견뎌내는데충분하다고생각되었으나주기성부하실험후현저히감소되어충분한초기안정성을제공하지못함을알수있었다.를 나타내었다. 또한 3m깊이에서의 측방 선량분포에서 Spoiler의 거리변화(6, 10cm)는 심부선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실험측정치를 치료계획 시스템에 입력하여 선량분포를 확인한 결과 Spoiler를 사용하는 경우 OPEN에 비해 선량분포 영역을 표면으로 끌어 올릴 수 있으며 Bolus 보다 피부 보호효과는 어느 정도 유지가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4.결론 이와 같이 Spoiler는 Bolus와 비교하여 6MV 광자선의 build up 영역을 표면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Skin Sparing(피부보호)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두경부암의 치료에서 Spoiler의 사용이 가능한 조건으로는 조사면이 Fracture about proximal humerus may be classified as the articular segment or the anatomical neck, the greater tuberosity, the lesser tuberosity, and the shaft or surgical neck. Now, usually used, Neer'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number of segments displaced, over 1cm of displaced or more than 45 degrees of angulation , rather than the number of fracture line . Absolute indication of a operative treatment a open fracture, the fracture with vascular injury or nerve injury , and unreductable fracture-dislocation . Inversely, the case that are severe osteoporosis, and eldly patient who can't be operated by strong internal fixation is better than arthroplasty used by primary prosthetic replacement and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th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he operator make a decision for the patient who should be taken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because it's different that anatomical morphology, bone density, condition of patient. The operator decide operation procedure. For example, percutaneous pinning, open reduction, plate & screws, wire tension bands combined with some intramedullary device are operation procedure that operator can decide . The poor health condition for other health problem, fracture with unstable vital sign and severe osteoporosis , are the relative contraindication. The stable fracture without dislocation is not the operative indication . The radiologic film of the prokimal humerus before the operation can not predict for fracture evaluation. It's necessary to good radiologic film for evaluation of fracture form. The trauma serise is better than the other radiologic film for evaluation. The accessary radiologic exam is able to help for evaluation of bone fragment and anatomy. The CT can be helpful in evaluating these injury, especially if the extract fracture type cannot be determined from plain roenterogram of the proximal humerus, bone of humerus head. If the dislocation is severe anatomically , we could consider to do three dimentional remodelling. The MRI doing for observing of bony morphology before the operation is not better than CT If we were suspicious of vascular injury, we could consider the angiography.

      • KCI등재후보

        음성구간 검출기의 실시간 적응화를 위한 음성 특징벡터의 차원 축소 방법

        박진영,이광석,허강인,Park Jin-Young,Lee Kwang-Seok,Hur Kang-I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6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7 No.3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잡음환경에서의 실시간 적응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선결 과제로 다차원 음성 특정 벡터를 저차원으로 축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특징 벡터를 확률 우도 값으로 매핑시켜 비선형적으로 축소하는 방법으로 음성 / 비음성의 분류는 우도비 검증 (Likelihood Ratio Test; LRT) 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실험 결과 고차원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분류한 결과와 대등하게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에 의해 검출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인식 실험에서도 10차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류한 경우와 대등한 인식률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imension reduction method of multi-dimension speech feature vector for real-time adaptation procedure in various noisy environments. This method which reduces dimensions non-linearly to map the likelihood of speech feature vector and noise feature vector. The LRT(Likelihood Ratio Test) is used for classifying speech and non-speech. The results of implementation are similar to multi-dimensional speech feature vector. The results of speech recognition implementation of detected speech data are also similar to multi-dimensional(10-order dimensional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speech feature vector.

      • KCI등재

        지중저장 조건에서 초임계CO<sub>2</sub>에 의한 포항분지 사암과 이암의 지화학적 풍화반응 연구

        박진영,이민희,왕수균,Park, Jinyoung,Lee, Minhee,Wang, Sook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3

        국내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인 포항분지의 심부 대수층 구성하고 있는 사암과 이암을 대상으로 초임계$CO_2$ 반응에 의한 암석의 지화학적/광물학적 풍화를 규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압셀 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실 규모의 $CO_2$ 지중저장 조건을 모사하였으며, 시추한 포항분지 암석이 미고결 상태임을 감안하여 암석시료는 입자상으로 분쇄하여 시료 30 g과 지하수 100 ml를 고압셀(200 ml 용량)에 넣고 100 bar, $50^{\circ}C$ 조건에서 총 60일 동안 반응시켜, 초임계$CO_2$ 주입 시 포항분지 심부 사암층과 이암층 내에서 발생하는 초임계$CO_2$-암석-지하수반응을 재현하였다. 반응 후 10일, 30일, 60일 간격으로 시료를 회수하여 암석의 지화학적 풍화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XRD(X-Ray Diffractometer), BET(Brunauer-Emmett-Teller) 분석을 실시하였고, 암석 슬랩($15mm{\times}40mm{\times}5mm$)을 같은 지중 조건에서 반응시켜 반응시간에 따른 지하수시료의 용존 이온 농도 변화를 ICP/OES로 분석하였다. XRD 분석결과, 초임계$CO_2$-암석-지하수반응에 의해 사암과 이암을 구성하는 광물 중 사장석과 정장석(기질의 장석류 포함)의 비율이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암의 경우 점토광물인 일라이트, 스멕타이트, 황철석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이암의 경우 일라이트, 카오리나이트, 칼슘을 함유한 불소인회석 비율이 증가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지하수 이온 농도 분석결과, 사암과 이암에서 방해석과 장석류의 용해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 지하수 내 $Ca^{2+}$, $Na^+$농도가 증가하였다. $K^+$, $Si^{4+}$, $Mg^{2+}$ 같은 이온들의 농도는 반응시간 동안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는데, 이는 암석의 용해와 2차 광물의 침전이 함께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암과 이암 입자의 비표면적은 반응 60일 후까지 각각 $27.3m^2/g$과 $19.6m^2/g$에서 $28.6m^2/g$과 $26.6m^2/g$으로 증가하였으며, 미세공극의 평균 크기는 각각 $72.6{\AA}$, $96.7{\AA}$에서 $68.4{\AA}$과 $75.8{\AA}$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초임계$CO_2$-암석-지하수반응에 의해 입자 표면이 용해되면서 미세 공극들이 추가로 형성되어 비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포항분지 사암에 $CO_2$를 지중 주입하는 경우, 암석의 용해 및 침전반응에 의한 대상암석의 물성변화가 지중저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Laboratory experiments for the reaction with supercritical $CO_2$ under the $CO_2$ sequestration condition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weathering process of the sandstones and mudstones in the Pohang basin. To simulate the supercritical $CO_2$-rock-groundwater reaction, rock sampl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pulverized and the high pressurized cell (200 ml of capacity) was filled with 100 ml of groundwater and 30 g of powdered rock samples. The void space of the high pressurized cell was saturated with the supercritical $CO_2$ and maintained at 100 bar and $50^{\circ}C$ for 60 days. The changes of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rocks were measured by using XRD (X-Ray Diffractometer) and BET (Brunauer-Emmett-Teller). Concentrations of dissolved cations in groundwater were also measured for 60 days of the supercritical $CO_2$-rock-groundwater reaction. Results of XRD analyse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plagioclase and K-feldspar in the sandstone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illite, pyrite and smectite increased during the reaction. In the case of mudstone, the proportion of illite and kaolinite and cabonate-fluorapatite increased during the reaction. Concentration of $Ca^{2+}$ and $Na^+$ dissolved in groundwater increased during the reaction, suggesting that calcite and feldspars of the sandstone and mudstone would be significantly dissolved when it contacts with supercritical $CO_2$ and groundwater at $CO_2$ sequestration sites in Pohang basin. The average specific surface area of sandstone and mudstone using BET analysis increased from $27.3m^2/g$ and $19.6m^2/g$ to $28.6m^2/g$ and $26.6m^2/g$,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size of micro scale void spaces for the sandstone and mudstone decreased over 60 days reaction,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micro pore spaces of rocks by the dissolution.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jection of supercritical $CO_2$ in Pohang basin would affect the physical property change of rocks and also $CO_2$ storage capacity in Pohang basin.

      • KCI등재

        불균형력에 따른 철골보통중심가새골조의 붕괴모드

        박진영,김서연,홍석재,김형준,Park, Jin-Young,Kim, Seo-Yeon,Hong, Suk-Jae,Kim, Hyung-Joo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3

        철골보통중심가새골조의 수직불균형력에 대한 설계 요구사항이 KBC2009에서 처음으로 도입하였고, 이를 통하여 설계지진에서의 인명안전성능이라는 목표내진성능을 만족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수직 불균형력의 영향이 ASCE7-10에서 암시적으로 제시하는 최대고려지진에서의 구조물 붕괴방지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KBC2009를 따라 설계된 철골보통중심가새골조의 붕괴성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역V형 철골보통중심가새골조의 최대고려지진에서의 붕괴양상을 조사하였다. 두 가지 지반조건과 세 가지 다른 수직불균형력 조건을 해석변수로 하여 총 6개의 5층 규모의 철골보통중심가새골조 표본건물을 설계하였다. 비선형 정적해석과 비선형 동적해석을 통하여 표본건물들의 내진성능과 붕괴양상을 조사하였다. 해석결과를 통해 수직 불균형력은 철골보통중심가새골조의 내진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바람직한 붕괴양상과 붕괴방지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불균형력에 대한 적절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KBC2009 first introduces the requirements about vertical unbalanced forces into the design for steel ordinary concentrically braced frames(steel OCBFs), which forces them to easily meet the target seismic performance, called as the life safety performance objective under design based earthquakes(DBEs) pursuing in the KBC2009.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effects of vertical unbalanced forces to the collapse prevention performance objective under maximum considered earthquakes(MCEs) which is another target seismic performance level implicitly prescribed in ASCE 7-10. It is valuable that the collapse capacities of steel OCBFs designed according to the KBC2009 a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collapse modes of inverted V shaped steel OCBFs excited by MCEs are investigated. The prototype buildings of 5 story steel OCBFs are designed with different site conditions and three types of unbalanced forces are considered in the design stages. The prototype buildings are evaluated their seismic performances and collapse modes by nonlinear static analyses and nonlinear dynamic analyse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unbalanced forces significantly affect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buildings and proper considerations of unbalanced forces are required to achieve the desirable collapse mode and the collapse prevention performance objective.

      • KCI등재

        골다공성 척추체 압박 골절에서의 경피적 척추성형술

        박진영,김승철,이지영,차상훈,Park, Jin-Young,Kim, Seung-Cheol,Lee, Jee-Young,Cha, Sang-Hoon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8 No.5

        Purpose: To assess the usefulness of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the treatment of painful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five patients [70 women and 15 men aged 51-88 (mean, 70) years with 141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underwent percutaneous vertebroplasty. The causes of fracture were slip, lifting, fall, traffic accident, walking, and other unknown causes; the duration of pain varied from three days to two years. All patients underwent MRI or CT to assess the recent condition of the fracture, and vertebroplasty was performed under DSA fluoroscopic guidance. Routine clinical follow-up examination involved visual analogue pain-scale testing one and two days after vertebroplasty;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operative assessment. The outcome of vertebroplasty was assessed in terms of its efficacy and resulting complications, if any. Results: The procedures were technically successful in all patients. In 73, back pain was relieved within 24 hours; in nine, within 48 hours and in one, within seven days. In two patients, pain relief was insignificant, and one of these died. Conclusion: Percutaneous vertebroplasty was a useful procedure for treating painful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목적: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의 압박 골절을 척추 성형섭?치료하였는데 그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방법: 척추 압박 골절이 있던 85명의 환자(70 여성, 15 남성: 나이 51-88세, 평균 70세)에서 148개의 골절을 척추 성형섭?치료하였다. 다친 후 통증의 기간은 3일에서 2년이쓴? 골절은 넘어지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떨어지거나 교통사고 혹은 걷다가 발생하였고,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쓴? 골절의 최근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모든 환자에서 MRI 혹은 CT를 촬영하였다. 척추 성형셈?혈관 조영 투시 하에서 이루어졌다. 모든 환자에서 통증 시각 측정표를 이용하여 시?전, 1일 후, 2일 후에 통증의 정도를 객관화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척추 성형셈?효걀?합병증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결? 기셈岵막?모든 예에서 성공하였다. 일흔 세 명의 환자는 시?후 24시간 이내에 통증이 완화되쒼? 9명은 48시간 이내, 1명은 일주일 후에 통증이 완화되쓴? 두 명의 환자는 통증의 완화가 거의 없쓴쨉?이들 중 1명은 사망하였다. 결론: 척추 성형셈?통증이 심한 척추 압박 골절에 효걋岵?치료 방법이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