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형용사 유의어 결합 연구 -[[감정형용사 + '-고'] + 감정형용사] 구성-

        박진아,정용호,Park, JINA,Jeong, Yong-Ho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3

        본 논의는 [[감정형용사+-고]+감정형용사] 형식으로 감정형용사가 연결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한국어에서 감정을 표현할 때 두 개 이상의 감정형용사를 접속하여 표현하는 사례가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당 구성으로 어울려 사용하는 감정형용사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가 감정형용사의 개별 어휘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감정을 표현할 때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하거나, 풍부한 감정 표현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본 논의에서 보인 [[감정형용사+-고]+감정형용사] 용례 및 빈도가 한국어 감정 어휘 교수-학습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discussion looked at how emotional adjectives are connected in the format [[emotional adjective + '-ko(and)'] + emotional adjectiv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quite a few cases in which two or more emotional adjectives are used to express emotions in Korean. This can help Korean learners understand and express the individual lexical meanings of emotional adjectives more clearly by identifying emotional adjectives that are used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t was believed that it could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express complex emotions or create rich emotional expressions when expressing their emotions in Korean. It is hoped that the examples and frequency of [[emotional adjective+'-ko(and)'+emotional adjective] shown in this discussion will be of some help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emotional vocabulary.

      • KCI등재

        방송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귀속에 관한 새로운 고찰

        박진아(Jina Park)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江原法學 Vol.41 No.-

        본고에서는 콘텐츠대국을 향한 방송영상저작물의 제작 및 유통법제 정비의 일환으로서 방송영상저작물의 저작권귀속과 관련하여 외국의 입법례와 우리 저작권법상의 관련 규정을 살펴보면서 우리 입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방송저작물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고려와 외국 입법례에서 얻은 시사점을 반영하여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broadcast works are not protected as one of the types of works, but are protected as cinematographic works in cas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cinematographic works. The Korean Copyright Act has no explicit provision regarding the author of cinematographic works, but has special provisions concerning cinematographic works, that provide that if a person, who has agreed with a producer of a cinematographic work to cooperate in the production of a cinematographic work, obtains the copyright for such cinematographic work, it shall be presumed that the rights necessary for the use of such cinematographic work are transferred to the producer of such cinematographic work, unless otherwise stipulated. Therefore, authorship of cinematographic works or legal nature of the rights necessary for the use of such cinematographic work transferred to the producer of such cinematographic work is unclear. In addition, present provisions concerning cinematographic works in Korea are insufficient to protect authors or performers and others in performances, who have agreed with a producer of a cinematographic work to cooperate in the production of a cinematographic work. My aim in this article is to search adequate legislative improvements for authorship or ownership of broadcasting cinematographic works. In deciding authors of broadcasting cinematographic work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proper balance between the need for producers to secure the necessary business certainty for the distribution and exploitation of broadcasting cinematographic works and the protection of authors’ or performers’ rights. For this aim, firstly, I will address definition, types and legal features of broadcasting cinematographic works. Secondly, I review the legislations of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S, EU, Japan and China. Thirdly, based on the review of foreign legislations, I address related provisions under Korean copyright law and review problems of those provisions and, furthermore, propose legislative improvements on ownership of cinematographic works.

      • KCI등재후보

        온라인계약의 특징

        박진아(Jina Park)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09 江原法學 Vol.28 No.-

        Online contracts are becoming more common and disputes on online contracts are increasing rapidly. However, it is difficult that theory for traditional contracts can apply to online contracts. The reason is that online contracts have certain characteristics which are much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goods contracts. The contracts for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are mostly contracts of adhesion. Also, an object of online contracts is based on digital contents. Since there is no border in cyberspace, online contracts are inherently transnational. Therefore, this article purposes to review characteristics of online contracts and legal issues therein, focusing at online contents contracts. First of all, for understanding of online contracts, defini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contracts will be reviewed (Ⅱ). Then, characteristics in formation of online contracts will be discussed (Ⅲ) and basic characteristics in rights and duties of the parties in online contracts will be reviewed (Ⅳ). Furthermore this article will discuss characteristics in international online contracts (Ⅴ). Through this, this article will discuss with the needs for international norms therefor, jurisdiction for international online contracts disputes and governing law thereof. I expect this article will become a beginning to establish principles for international online contracts.

      • KCI등재

        베트남 중재법제와 유의점

        박진아(Park, Jina)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베트남에서 중재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빠른 경제성장에 힘입어 베트남은 중재와 외국중재판정의 승인집행과 관련하여서도 상당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2010년에 비로소 상사중재법(Law on Commerce Arbitration)을 제정하여 2011. 1. 1.부터 시행에 들어갔는데, 베트남에서는 2010년 상사중재법의 제정으로 비로소 국제수준의 중재제도를 갖추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베트남에서의 최근 중재동향을 살펴보고 베트남에서 중재를 통하여 분쟁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유의점을 다루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베트남 중재제도를 개관하고, 베트남 중재관련법들의 최신 개정내용을 반영하면서 베트남 중재에 있어서의 중재합의와 중재적격성, 중재의 준거법, 중재인과 중재센터, 중재절차, 중재판정의 논점을 중심으로 검토한 후, 베트남중재에서의 유의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베트남 중재제도는 제소시 중재합의의 항변없이 법원에 의한 직권 각하가 가능한 점, 준거법에 따라서 국내외 중재를 구별하고 있는 점, 당사자가 준거법을 지정하지 아니한 경우 중재인이 준거법을 지정하고 국제관행을 보충적으로 적용하는 점, 중재신청기한을 명시하여 신청할 수 있는 때로부터 2년으로 하고 있는 점, 중재인의 증거수집권에 대하여 상세히 규정하는 점, 우리 중재법에는 없는 수시중재(ad hoc arbitration)에 관한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 점, 중재센터의 설립, 권리의무 등을 규제하는 점, 중재인단체에 관한 규제를 하는 점, 법무부와 검찰이 중재기관 관리 등 중재에 관여하는 점, 외국중재기관 지점설치를 허용하는 점, 당사자의 관할법원 지정이 가능한 점 등이 우리나라 중재법과 다른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베트남중재제도 중 법원의 직권 소각하, 선택적중재합의 유효성 인정, 수시중재규정, 임시적처분에 관한 상세한 규정, 중재인의 강력한 권한 등은 우리 중재법개정에도 참고가 되리라 생각한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양국 간의 중재 문제에 대한 연구가 태무한 상태에 있어 양국 간의 정상적이고 바람직한 교류를 저해하고 분쟁발생시 법에 호소하기 보다는 물리적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많았다. 이처럼 한국과 베트남 간에 이미 존재하고 있고 또 향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제반 분쟁의 쟁점을 연구하여야 할 필요성은 다언을 요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베트남 법원은 반드시 외국 투자자에게 유리한 절차라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중재를 선택하는 외국 투자자가 많은 점에서도 그러하다. 특히 최근 베트남의 빠른 경제성장 속도에 힘입어 베트남의 중재제도 역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베트남 대법원 결의 01/2014는 중재관련 투명한 법제와 법해석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베트남 중재제도에 최신 발전 동향에 좀더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Arbitration is a relatively new concept in Vietnam. Nevertheless, in the course of the recent tremendous economic development, Vietnam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with regard to arbitration and the recognition of foreign arbitral awards. As a step towards integrating Vietnam’s dispute resolution system into the global playground,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Commercial Arbitration Law which came onto effect on 1 January 2011. My aim in this article is to address the current arbitration situation in Vietnam and some points that need attention in settling a case through arbitration in Vietnam. For this purpose, firstly, I will overview arbitration related laws in Vietnam. Secondly, I will deal with the applicability of commercial arbitration, arbitration agreement, governing law of arbitration agreement, arbitrators, arbitration orders and procedures, arbitration institutions and foreign arbitration organizations in Vietnam and the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s. Finally, furthermore, I will deal with some points that need attention in settling a case through arbitration in Vietnam. Arbitration in Vietnam is young and still progressing. While some issues do remain, the new Commercial Arbitration Law clearly demonstrates Vietnam’s intention to bring the local arbitration system in line with international norms. Therefore, I expect these issues to be resolv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데이터의 보호 및 유통 법제 정립 방안

        박진아(Park, Jina)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강법률논총 Vol.9 No.2

        본고에서는 데이터경제와 법정책, 현행 법제 하에서의 데이터 보호 가능성, 그리고 데이터 거래 및 유통 법제 및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적 보호 방안을 차례로 검토하였다. 오늘날 4차산업혁명시대에 있어서 데이터는 산업의 쌀이나 석유에 비유된다. 데이터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는 그 유통이 활발하여야 하며 그 유통을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필요하다. 데이터 보호법제에서는 창작적 데이터를 지식재산권으로 보호하는 외에, 데이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인데이터 등 창작성이 없는 데이터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므로, 본고에서는 데이터소유권을 계약에 의하여 보호하는 외에 물권적 권리를 창설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실제로 개인에게 정보의 주도적 관리권을 넘김으로서 개인이 직접 관리하고 다양한 이용조건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실효적이고 배타적 지배가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법률적으로도 데이터에 재산권 나아가 물권적 성격을 인정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데이터에 대한 이용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데이터 관리에 있어서 블록체인기술의 활용은 중앙집중형 데이터관리를 전제로 하는 기존 법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촉발할 것으로 예측되는바 특히 블록체인과 같은 개인데이터의 자기주도적 관리 기술의 사회적·법적 수용에도 계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data is compared to rice or oil in an industrial society. In order to maximize the usefulness of the data, the distribution must be active, and in order to make the distribution active, proper protection of the data is necessary. In achieving this goal, in addition to technological progress, the legal system can play a part.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or improving legislations aimed at protecting and utilizing data, this article examines the data economy and legal policy, the possibility of data protection under current legislation, and the data transaction and distribution legislation and proprietary protection methods for data. In the data protection legisla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creative data with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the protection of data without creativity, such as personal data, which occupies most of the data,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 of creating the right to property as well as the method of protecting data ownership by contract. In fact, the data subject will be able to effectively and exclusively dominate personal data by directly managing his data and setting various conditions of use, so it will be possible to legally recognize property rights in the data. By doing so, it will be possible to facilitate the use of data. In particular, the use of blockchain technology in data management is expected to trigger a fundamental change in existing legislation based on centralized data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ay attention to social and legal introduction of technologies that enable management of my data, such as blockchain technology.

      • KCI등재

        사물인터넷을 둘러싼 법적 쟁점 : 개인정보보호와 보안 문제를 중심으로

        박진아(Park, Jina)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과학기술과 법 Vol.11 No.1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 technology that connects things with chips and sensors to the Internet to collect real-time life data about how we interact with the world around us. The Internet of things has its pros and cons. On the one hand, this new technology will bring great benefits to all of us. Undoubtedly, companies will benefit greatly by better understanding how business products are used, such as improving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Consumer convenience will also be enhanced. On the other hand, however, a lot of data generated and used by these connected devices is personal data, and some of them are very sensitive data, which can cause serious problems with regard to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security. Therefore, in the Internet of Things, it is important to distribute the responsibilities of related parties arou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curity arising from connected devices. In addition,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cause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stored, and transmitted by the connected sensor device, is also serious, and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oblem. Also, there is a need to deal with legal issues related to networks and services of the Internet of Things, data ownership, labor law issues, and responsibility of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In this paper, based on these needs, I will examine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n focus on the main legal issues, including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and the responsibilities of related parties.

      • KCI등재후보

        영아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민감성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박진아(JinA Park),김경은(KyoungEun Kim),김주현(JooHyun Kim)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 2022 교육과 문화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양육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어머니의 민감성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으며,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민감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지역의 영아기 자녀를 둔 233명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음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학력 수준과 취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민감성은 양육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민감성은 어머니의 학력 수준과 취업 여부를 통제한 후에도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니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있어 민감성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heir mothers,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nsitivity and parenting efficacy, and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nsitivity on parenting efficacy.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in 233 mothers with infant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Descriptive statistics, several t-tests, Pearson's momentum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infants differed by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status, (2) the mother's sensitiv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efficacy, and (3) the sensitivity of the mother had an effect on the parenting efficacy controlling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condi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ensitivity in promoting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infants.

      • KCI등재

        유엔 인권이사회의 특별절차에 관한 검토와 평가 - 국제인권법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박진아(Park, Jina)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8 No.-

        유엔 인권이사회의 제도 중 하나인 특별절차는 유엔 인권위원회(CHR)가 남긴 가장 중요한 유산이자, 현재 유엔을 대표하는 인권보장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특별절차는 특정 국가의 인권 상황이나 특정 주제에 관한 인권침해 상황을 조사 · 감시 · 연구 및 공개하는 것과 국제사회와 관련 국가에 조언 및 권고 등의 활동을 통해 특정 인권 문제를 공론화함으로써 국제사회와 관련 국가가 인권 상황을 개선 및 증진하도록 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다. 본 연구는 특별절차가 국제인권법의 발전과 이행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지난 반세기 동안 특별절차가 이룬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유엔 인권 보호 체계에서 특별절차가 갖는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특별절차의 발전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이 제도가 지금의 형태와 특징을 갖추게 된 과정을 간략히 살펴본다. 그 다음으로 특별절차가 국제인권규범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특별절차가 이룬 성과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특별절차의 활동을 통한 국제인권규범의 적용과 이행을 검토한다. The Special Procedures constitute an important human rights system of the United Nations, that oversees civi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gene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stitutional values of the Special Procedures in promoting human right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o look for future prospect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is system.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specific points. In spite of the longstanding operation of Special Procedures as one of the major UN human rights mechanisms, it is difficult to find domestic research that reviews and evaluates the system from an international legal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and meaning of Special Procedures in the UN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by evaluating the achievements of Special Procedures over the past half century, focusing on their impact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To this end, the article first review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Special Procedures, to give a brief overview of the system"s present form and characteristics. Next, the results of the Special Procedures are analyzed, focusing on the spirit of the Special Procedures as manifested in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Finally,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through the activities of Special Procedures are reviewed.

      • KCI등재

        유엔인권협약상 외국인의 이동의 자유

        박진아(PARK Jina)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18 No.1

        이동의 자유는 세계인권선언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을 비롯한 다수의 인권 문서에서 발견된다. 자유로운 삶의 일부로서 자유로운 이동은 기본적 인권으로 인식된다. 이 글은 특히 ICCPR 제12조를 중심으로 유엔인권협약상 외국인의 이동의 자유를 분석한다. 또한 이 글은 이동의 자유를 경제적 권리보다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동의 자유는 세계인권선언과 ICCPR 등의 인권협약에서 세 가지의 구체적 권리로 구현되고 있다. 첫 번째, 한 국가의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와 거주지를 선택할 권리이다. 두 번째, 국경을 넘을 권리로서, 어떤 나라로부터도 출국할 권리가 포함된다. 세 번째, 자국에 돌아올 권리이다. 이 글은 3가지 권리를 상황의 흐름에 따라 입국할 권리, 한 국가 영역 내의 이동의 권리 및 거주지 선택의 권리, 출국할 권리의 순서로 검토한다. 이 글은 또한 유엔인권조약감시기구 중 유일하게 이동에 자유에 관해 상당히 구체적인 검토를 하고 있는 시민적?정치적 권리위원회(Human Rights Committee)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권리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본다. Freedom of movement is recognised in a number of human rights instruments including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ICCPR’). As a part of free life, free movement is recognised as a fundamental human right. This article examines the right to freedom of movement of foreigners in the UN Human Rights Treatie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article 12 of the ICCPR. And This article’s analysis is restricted to freedom of movement as a civil and political right, rather than as an economic one. Freedom of movement appears in three different rights in the UN human rights treaties: the right to move freely and to choose a place of residence within a State, the right to cross State frontiers expressed as the right to leave any country including one’s own and the right to return to one’s country. This three rights were explored in the following order in which they occur on the aliens’ position: the right to enter a country, the right to move freely and to choose a place of residence within a State, the right to leave a country.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Human Rights Committee, the only UN human rights treaty body that has explored the right to leave in significant detail, has interpreted this right in light of state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