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Policy and System Improvement Plan of Geo-Spatial Big Data Services in Korea

        박준민,유선철,안종욱,신동빈 한국측량학회 2016 한국측량학회지 Vol.34 No.6

        This research focuses on accomplishing analysis problems and issues by examining the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geo-spatial big data which have recently arisen, and suggests political and systemic improvement plan for service activation. To do this, problems and probable issues concerning geo-spatial big data service activation should be analyz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precedent studies, policies and planning, pilot projects, the current legislative situation regarding geo-spatial big data, both domestic and abroad. Therefore, eight political and systematical improvement plan proposals are suggested for geo-spatial big data service activation: legislative-related issues regarding geo-spatial big data, establishing an exclusive organization in charge of geospatial big data, setting up systems for cooperative governance, establishing subsequent systems, preparing non-identifying standard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measures for activating civil information, data standardization on geo-spatial big data analysis, developing analysis techniques for geo-spatial big data, etc. Consistent governmental problem-solving approaches should be required to make these suggestions effectively proceed.

      • KCI등재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도출

        박준민,이명호,신동빈,안종욱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 of political for activating the Geo-Spatial Big Data Services. To this end, we wer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for Geo-Spatial Big Data and analysis domestic and foreign Geo-Spatial Big Data propulsion system and policy enforcement situation. As a result, we have deduce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policy of reaction for future Geo-Spatial Big Dat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political basis service activation, relevant technology and policy, system for Geo-Spatial Big Data application and establishment, low leveled open government data and sharing system. In succession, we set up a policy direction for solving derived problems and deducted 5 policy issues : setting up a Geo-Spatial Big Data system, improving relevant legal system, developing technic related to Geo-Spatial Big Data, promoting business supporting Geo-Spatial Big Data, creating a convergence sharing system about public DB. 본 연구는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국내・외 공간 빅데이터 관련 추진체계 및 정책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래 공간정보 융・복합 대응정책 미흡, 개인정보 보호 및 서비스 활성화 제도적 기반 미흡, 관련 기술・정책 마련 미흡, 공간 빅데이터 구축・활용을 위한 추진체계 미흡, 공공정보의 품질저하와 공유체계 미흡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책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공간 빅데이터 추진체계 마련, 관련 법・제도 개선, 공간 빅데이터 관련 기술 개발, 공간 빅데이터 지원 사업 추진, 공공DB 융・복합 공유체계 마련 총 5가지의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글로벌 기업의 활용 및 탐색적 역량과 맥락적 양면성: 불확실성의 완충재고

        박준민,양오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7 국제경영리뷰 Vol.21 No.1

        최근 국제경영 조직학습 분야에서는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글로벌 기업의 활용과 탐색 역량을 활용하여 경쟁력 있는 해외 자회사를 설립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합한 양 면적 조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전략요인을 통제한 상황에서 불확실성과 기업성과 간 역U자형 관계를 탐색하고, 불확실성의 수준별로 해외 자회사 성과 및 조직 양면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 직원 537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이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352명의 관측치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불확실성과 기업성과 간에는 역U자형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정수준의 불확실성은 기업성과에 대한 해외 자회사 성과의 양(+)의 효과를 증진시키나,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에는 해외 자회사 성과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맥락적 조직 양면성은 불확실성의 수준과는 무관하게 기업성과를 확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직면한 기업들에게 맥락적 양면성을 갖춘 역동적인 통합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인 전략적 선택임을 제안한다. In recent years, establishment of foreign subsidiaries and ambidextrous organization using firm’s exploitative and explorative capabilities is recognized as buffer stocks for dealing with uncertainty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Even though these strategies have been made enterpriser recognize as the strategic postures to overcome the uncertainty, previous studies have hesitated to offer the specific solutions to managers. In this aspe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firm performance, and the changes of the effects between foreign subsidiaries’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firm performance by the levels of uncertainty. For confirming hypotheses, we made the structural models and 537 global company’s employees were survey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uncertainty has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ith global company’s performance. Second, when the level of uncertainty is high, general level of uncertainty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but the positive effects on the firm performance were reduced. Thir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was found to improve the firm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level of uncertainty.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wo cases of Boeing and Bose Corporation in point. Although this study could not cover the whole of uncertainty, the findings explore the necessity of the reconstructing integrated process based on contextual ambidexterity for the era of vola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