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과 교육과정 운영의 측면에서 본 소규모 초등학교 통ㆍ폐합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박종필 ( Park Jong-il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학교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이 소규모 학교에서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소규모 학교 통ㆍ폐합에 대한 방향 또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학교에 2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소규모 학교 통ㆍ폐합에 관한 논쟁은 수업과 교육과정 운영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와 같은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 형태가 지속한다면, 소규모 학교는 통ㆍ폐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소규모 학교를 존속시키고자 한다면, 공동 교육과정이 아닌 소규모 학교의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사 양성 과정에서 소규모 학교 관련 경험을 사전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소규모 학교에 대한 예산 지원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끝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순회 교사 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at small schools are operated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close polic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interviewed 5 teachers working at small schools for at least two years in Jeollabuk-do.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debate on the school close should be focused o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if current conditions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at small schools are continued,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small schools should be closed. Second, if the government intends to make small schools exist, specific curriculum for small schools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not the common curriculum for all schools. Third, for small schools, the curriculum for the teacher preparation needs to be changed to provide small school experience to student-eachers as a form of practice teaching programs and core subjects. Fourth, the budgeting system of the small school needs to be changed from lump sum payments to program-ased payments. Finally, for teaching the non-ubject study themes, small schools need to make active use of circuit school teachers.

      • KCI등재

        저비용 고성능 광촉매를 활용한 콘크리트 수성 이형박리제의 개발

        박종필(Jong-Pil Park),황병일(Byoung-Il Hwang),유병현(Byung-Hyun Yoo),이동규(Dong-gyu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최근 미세먼지와 배기가스의 증가로 실내외 공기질을 악화시켜 대기정화 목적으로 광촉매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도로포장재, 도로측벽, 차음벽등에 광촉매를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대기정화 및 오염방지에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미세한 입경을 갖는 광촉매의 경우 분산이 원활하지 않으면, 일관성 있는 질소산화물(NO) 제거 특성발현에 대한 결과물을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수슬러지에서 제조된 저비용 고성능 광촉매(GST)의 혼합 및 분산방안을 검토하고, NO 제거 성능을 최종 평가하여 저비용 광촉매를 활용한 수성 콘크리트 이형박리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광촉매 적용을 위한 분산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분산된 시료를 4주간 옥외폭로하여 분리유무를 통한 안정성 평가한 결과, 분산형 증점제 사용량 20 %에서 층분리 없이 장기안정성이 우수하였다. NO 제거율 특성 결과 GST는 Plain 대비 200 % 이상의 광촉매 효과를 나타내었다. GST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나노사이즈의 광촉매의 분산성 향상 및 사용량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GST를 노출콘크리트, 교량 및 터널등에 사용하게되면 광촉매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ir quality is deteriorating due to the increase in fine dust and exhaust gas.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using photocatalysts is being conducted for atmospheric purification. Currently, some countries are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air purification and pollution prevention by using materials that contain photocatalysts for road pavement, road side walls, and sound insulation walls. However, photocatalysts have very small particle sizes and are not easily dispersed,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a consistent nitrogen oxide (NO) removal rat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xing and dispersion plan of low-cost, high-performance photocatalyst (GST) prepared in wastewater sludge. It also evaluated the NO removal performance to develop an aqueous concrete release agent including the low-cost photocatalyst. The long-term stability was excellent without layer separation when the amount of dispersion thickener used was 20%. As a result of the NO removal rate characteristic, GST showed a photocatalytic effect of more than 200% compared to plain.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GST release ag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GST in the release agent and increase the amount of the nano-sized photocatalys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NO removal efficiency will be increased if the GST release agent is used for road structures and exposed concrete.

      • KCI등재

        온도조건에 따른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

        유병현(Byung-Hyun Yoo),이동규(Dong-gyu Lee),박종필(Jong-Pil Park),황병일(Byoung-Il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3D 프린팅 모르타르는 온도에 따라 굳지 않은 모르타르의 레올로지 특성 및 경화 모르타르의 강도발현 특성이 변화되기 때문에 현장 온도를 고려하여 3D 프린팅 모르타르를 제조해야 작업성 및 압축강도 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모르타르의 경화속도가 늦어져 초기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모르타르의 초기강도 확보를 위한 모르타르 배합을 조정하거나 초기강도 증진용 화학 혼화제를 적용하여 이를 개선해야 할 것이고,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모르타르 수화반응 촉진에 기인해 모르타르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르타르 유동성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압송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어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대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 ℃ 환경을 기준으로 10 ℃ 저온 및 30 ℃ 고온에서의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을 평가하였는데, 저온환경에서 3D 프린팅 모르타르는 초기강도가 크게 저하되어 20 ℃ 환경의 약 17 % 수준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초기강도 증진용 첨가제를 적용하여 초기강도 발현특성을 확인한 결과 초기강도 증진용 첨가제를 분체량 대비 2 % 사용 시 20 ℃ 환경과 비슷한 수준의 초기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30 ℃ 고온환경에서는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유동성 저하가 20 ℃ 환경보다 2배정도 빠르게 진행되었고, 고유지형 감수제의 사용으로 30 ℃ 환경에서 기존의 20 ℃ 환경 대비 동등 이상의 유지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a fresh mortar and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a hardened mortar in 3D printing change a lot with the temperature.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the hardening speed of the mortar is slowed, lowering the early strength. In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the hydration reaction of the mortar is accelerated, reducing the workability.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 3D printing mortar manufactured at both low and high temperatures were evaluated concerning a 20°C environment. The early strength of the mortar in the low-temperature environment was found to be about 17% of that of the 20°C environments. Accordingly, when 2% of the additive was used to improve the early strength, it equated to that of a 20℃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high-temperature environment of 30℃, the slump loss of mortar progressed twice as fast as that of the 20℃ environments. Accordingly, while using a high-retention type water reducing agent, it was possible to achieve in a 30℃environment a maintenance performance that is similar to that of the 20℃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