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시대 이순신 용모 및 초상화 관련 기록 검토

        박종평(Jong-Paung Par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오랫동안 이순신 초상화는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순신이 생전에 초상화를 그렸다는 기록이 없고, 또 생전의 초상화도 현존하지 않는다. 게다가 1598년 11월 19일 전사했기 때문에 사후에 초상화가 그려졌다고 보지도 않았다. 또한 1604년 선무공신 책훈 이후에도 이순신이 이미 사망했기에 초상화가 그려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보고 있었다. 이 논문은 생전 혹은 사후 얼마 동안에 그려진 초상화의 존재 여부가 아니다. 사후 언젠가 그려진 이순신 초상화에 대한 것이다. 기존에는 그와 관련한 연구 혹은 검토가 거의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각종 문헌 기록을 통해 이순신 사후 어떤 시점부터 이순신과 관련된 곳에서 각각 이순신 초상화가 그려졌고, 그 초상화들이 전래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초상화의 바탕이 되는 이순신 용모 기록도 그동안 언급되지 않았던 곽열(郭說, 1548∼1630)이 남긴 기록도 처음 소개했다. For a long time, the portrait of Admiral Yi Sun-sin was not given much attention. There is no record of a portrait of him being painted while he was alive, and no portrait of him exists from his lifetime. Moreover, after his death in battle on November 19, 1598, it was not believed that his portrait would be painted posthumously. It was thought that even after the dedication of Seonmu-gongsin in 1604, it would not have been painted because Yi Sun-sin had already died. This paper does not focus on the existence of portraits painted during life or after death, but rather on a portrait of Yi Sun-sin painted after his death. Previousl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r reviews related to the portrait of Yi Sun-sin. Through research of various literature records, this paper reveals that portraits of Yi Sun-sin were drawn at certain times and places after his death and have been handed down. The record of Yi Sun-sin's appearance, the basis of the portrait, mentioned by Kwak Yeol (1548-1630), who has not been studied, is also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 이순신 관련 문헌을 통해 본 「한산도가」의 등장과 변화

        박종평(Jong-Paung Par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8

        이순신의「한산도가」는 널리 알려져 있음에도 그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현재 10여 편의 논문이 있는 실정이다. 기존 연구는 대부분 작성 시기 혹은 작성 장소, 이순신 작사 진위 여부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한글「한산도가」’와‘한문「한산도가」’의 문헌상 선후 관계에 대한 검토도 없었다. 기존에는‘한글「한산도가」’가 먼저 존재했고 이후‘한문「한산도가」’로 번역되었다고 보았다. 그에 따라‘한문「한산도가」’에 대해서 문헌 기록을 명확히 살핀 사례도 없었다. 이 글에서는 일부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언급했던‘한문 「한산도가」’를 관련 문헌 전체(「행장」·「행록」·「유사」등)를 비교해‘한문「한산도가」’가 먼저 작성되고 이후 ‘한글「한산도가」’로 번역되었다고 보는‘선(先) 한문시(漢文詩), 후(後) 한글 시조(時調)의 한역(韓譯)설’의 가능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한문「한산도가」’는 1709년(1715년)『충무공가승』에 처음 기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그 이전의 동일한 내용을 지닌『충무록』에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시사하는 것이 크다. 즉 후세에 의해‘한문「한산도가」’가 첨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한문「한산도가」’가‘한글「한산도가」’가 보다 먼저 문헌에 기록되었다고 추정했다. 이는 기존의 1795년『이충무공전서』속 ‘한문「한산도가」’를 기준으로‘선 한글 시조 후 한역(漢譯) 주장’과는 배치되는 부분이다. 즉 1709년(1715년)‘한문 「한산도가」’가 먼저 등장했고, 그 이후‘한글「한산도가」로 한역(韓譯)’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Although Yi Sun-sin's「Hansandoga」is widely known,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it. Currently, there are approximately 10 papers.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time and place of writing and the authenticity of the lyrics of Yi Sun-sin. In addition, there has been no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Korean「Hansandoga」’and‘Chinese 「Hansandoga」’in literature. It has been traditionally believed that‘Hangul 「Hansandoga」’existed first and was later translated into‘Chinese「Hansandoga」’. As a result, there has been no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records for‘Chinese「Hansandoga」’. In this article,‘Chinese「Hansandoga」’, which has been partially mentioned in some studies, is compared to all related literature (「Yi Chungmugong Haengjan g」,「Yi Chungmugong Hangnok」,「Yi Chungmugong Yusa」, etc.) to review the possibility of‘the theory of Chinese translation of Chinese poems in the early period and Korean sijos later’, which posits that they were written first in Chinese and later translated into‘Korean「Hansandoga」’.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Chinese 「Hansandoga」’was first recorded in 1709 (1715) in 『Chungmugong Gaseung』. It is noteworthy that it was not published in『Chungmurok』, which has similar conten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Chinese「Hansandog a」’was added by posterity. In this articl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istence of literature records, it is suggested that‘Chinese「Hansandog a」’was recorded earlier than‘Hangul「Hansandoga」’. This is contrary to the‘Chinese「Hansandoga」’in the existing『Yi Chungmugong Jeonseo』 of 1795, which posits that it was pre-Korean sijo and later Chinese-translated poetry. In other words, it is proposed that‘Chinese「Hansandoga」’appeared in 1709 (1715) and was later translated into‘Hangeul「Hansandoga」’.

      • 류성룡의 『징비록』 간행 시기에 대한 연구

        박종평(Jong-Paung Par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9

        There are many sources related to the Imjin War(1592-1598).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primary historical records are the national records Seonjosillok and Seonjo-sujeongsillok, and the private records Nanjungilg(War Diary) and Imjinjangcho by Yi Sun-sin, and Jingbirok(The Book of Corrections) by Ryu Sung-ryong. In particular, Jingbirok provides an overview of the entire Imjin War and contains a lot of important information about Yi Sun-sin. Although the “Jingbirok”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research and interest, and is often cited for its value and importance as a historical document,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that have not been studied. Among them is the time of publication, which has been variously claimed to be 1633, 1643, and 1647. Existing studie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his issue, as it has been considered secondary. Whether or not the purpose of Ryu's writings could be reflected in history books and historical perspectives was a decisive point in time. This was due to the writing of the Seonjo-sujeongsillok, which was sharply debated from 1641. In 1598, at the end of the Imjin War, Ryu was infamously impeached. Soon after, he began writing Jingbirok.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reflect on the great crisis of the Imjin War and prepare for the future, but it was also a way for Ryu to clear his name of the false accusations made against him while he was general in command of the seven-year war. It can be argued that he hoped to use this work to correct the negative perceptions of him and the historical record based on them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he tried to leave evidence that the historical criticism of him in his time was an error. However, contrary to his intention, he died before he could publish it himself, and the manuscript remained unpublished for a long time. It was only after some time that it was published.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historical sources, the claims of publication in 1633 were not proven, and the claims of publication in 1644 and 1647 were supported, but did not definitively prove them. This article examines existing arguments and traces the specific timing of its publication through empirical data. In other words, when analyzing Jingbirok, it is confirmed that it influenced Yi Sun-shin's biographies, Yi Bun's Yi Sun-sin's Hangnok, Yi Sik's Yi Sun-sin's Sijang, and the national historical record, Seonjo-sujeongsillok. Literary analysis confirms that Jingbirok was published before October 1644. It directly influenced the Seonjo-sujeongsillok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historical revaluation of himself that Ryu himself aimed for. In the process, it also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the biography of Yi Sun-sin. The publication of Jingbirok during the compilation of Seonjo-sujeongsillok reflected the intention of Ryu's writing. Additionally, not only Ryu Sung-ryong, but also Yi Sun-sin, the hero of Jingbirok, gained an influence that continues to be highly regarded today. 임진왜란과 관련해 많은 사료가 있다. 국가 편찬 사료인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민간 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이순신의 『난중일기』와 『임진장초』, 류성룡의 『징비록』은 역사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1차 사료이다. 특히 『징비록』은 임진왜란 전체를 조망하고, 이순신과 관련한 중요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징비록』은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었고, 사료로서의 가치와 중요성으로 자주 인용되었으나, 연구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 그중 『징비록』 간행 시기는 1633년, 1643년, 1647년에 간행되었다는 주장들이 있으나, 간행 시기를 부차적인 문제로 보아 주목하지 않았다. 이 주장들은 10여 년의 차이가 있으나 당시 역사적 상황을 보면 단순한 10여 년 문제가 아니다. 류성룡의 저술 목적 달성이 역사서와 역사 인식에 반영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중대시점이었다. 1641년부터 급격히 논의된 『선조수정실록』 편찬 때문이다. 류성룡은 임진왜란 말기인 1598년에 불명예스럽게 탄핵당했고, 그 직후부터 『징비록』을 저술하기 시작했다. 임진왜란이라는 큰 위기를 반성하고 미래를 대비한다는 목적도 있었으나, 전쟁을 총괄 지휘했던 입장에서 억울한 누명을 벗는 방법이기도 했다. 이 저술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잘못 기록된 역사적 기록을 미래에라도 수정할 수 있는 근거로 제시하고자 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시대에 그에 대한 역사적 비판이 오류였다는 것을 증거로 남기고자 했던 듯 하다. 그러나 그의 의도와 달리 직접 간행치 못하고 사망했고, 원고는 오랫동안 간행되지 못하다가 뒤늦게 간행되었다. 다양한 사료를 살펴본 결과, 1633년 간행 주장은 증명할 수 있는 근거가 없었고, 1644년과 1647년 간행 주장은 근거가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입증하지는 않았다. 이 글은 기존 주장을 살피면서, 실증적인 자료로 간행 시기를 추적했다. 『징비록』을 분석해 보면, 이순신의 전기(傳記)인 이분(李芬)이 저술한 「행록(行錄)」, 이식(李植)의 「(이순신) 시장(諡狀)」, 『선조수정실록』에 영향을 준 것이 확인된다. 문헌 분석 결과 『징비록』은 1644년 10월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간행 결과는 『선조수정실록』에 영향을 미쳐 류성룡이 목적했던 자신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에 기여했다. 그 과정에서 이순신의 전기(傳記)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선조수정실록』 편찬 과정에서 『징비록』이 간행됨으로써 류성룡의 저술 의도가 반영되었고, 『징비록』의 주인공과도 같은 이순신이 현재까지 끊임없이 높게 평가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게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