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놉티콘 감시와 정치적 주체되기의 영화적 재현

        박종덕 신영어영문학회 2021 신영어영문학 Vol.80 No.-

        This paper examines Pinter’s cinematic techniques in his modifications of Kafka’s original novel for the purpose of cinematic transliterations of the elements in his comedies of menace and political plays by analyzing his screenplay, The Trial. Pinter modifies and intensifies Kafka’s political elements by integrating his theatrical politics into cinematic politics. Pinter finds out the common concerns and themes in Kafka’s novel and modifies and reterritorializes the irrationality of law system, pervasiveness of authority, and panoptical surveillance into film media. Pinter presents the lines of flight for becoming a political subject inducing audiences to face up to the menacing reality and real panoptical surveillance.

      • KCI등재

        지행의 괴리와 지행의 합일: 도덕교육의 근본문제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13 道德敎育硏究 Vol.25 No.2

        Diverse theorie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contribute to deepening and widening the theory of moral education respectively. The doctrines of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suggested by Socrates, Chu Hsi, and Wang Yang-Ming are the best possible examples of the theory of moral education. Each doctrine provides a valid explanation of what is called the ‘separ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According to each doctrine,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s not due to the weakness of will power which puts knowledge into practice. Rather, it is based on, or derived from the fundamental fallibilities of education in developing the morality of being through learning the school subjects. In this sense, the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exemplifies the fundamental problems both of educational theory and of moral educational theory, which are aimed at explicating the significance and realization of the standard of life. From now on, what should be pursued in moral educational theory is to explain explicitly the fundamental problems of moral education exemplified by the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Metapraxis', the form of discourse which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education, could be accepted as the best viable guide to the task of making explicit the fundamental problems of moral education. 그 동안 도덕교육 분야에서 탐색된 다양한 도덕교육이론들은 각각 그 나름으로 도덕교육이론의 깊이와 넓이를 예시해 왔다. 소크라테스 이래로, 그리고 주희와 왕양명에 의해 더욱 분명한 형태로 표명된 지행합일론은 그 전형적 사례에 해당한다. 그들의 지행합일론은 이른바 ‘지행의 괴리’로 불리는 삶의 현상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그들의 설명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지행의 괴리’ 현상은 아는 것을 실천하지 않는 의지력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지식을 배워 존재의 도덕을 형성하는 일에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교육의 근본 제약에 해당한다는 점이다. 이 점에서 지행합일론은 올바른 삶의 의미와 그 실현 방안을 밝히는 도덕교육이론의 근본문제요 또 교육이론의 근본문제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향후 도덕교육이론의 과제는 지행합일론으로 예시되는 도덕교육의 그 근본 문제를 더욱 분명히 밝히는 데에 있으며, 최근 교육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초실천’이라는 담론 형식은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성인에서 일상적인 간격충수절제술이 필요한가?: 초기경험

        박종덕,이창호,김종훈,김영곤,이민로 대한대장항문학회 2010 Annals of Coloproctolgy Vol.26 No.1

        Purpose: The traditional management of a periappendiceal abscess or a perforated appendicitis has been initial conservative treatment, followed by an interval appendectomy (IA). However, the necessity of the interval appendectomy has been question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ole of conservative treatment,instead of IA, in managing a perforated appendicitis or a periappendiceal abscess after successful initial conservative treatment. Methods: We prospectively studied 26 out of 80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for a perforated appendicitis or a periappendiceal abscess t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5 to December 2007. These 26 patients were initially treated by using conservative treatment instead of surgery. We analyzed these 26 patients’ progression and prognosis after treatment. The IAs were conducted at intervals of 6 to 12 wk after colonoscopy when the patient wanted an operation. Results: Twenty-three out of 26 (88.5%, 23/26) patients were improved after initial conservative treatment. Only 3 patients who were not improved were managed surgically. Four out of 23 patients who were relieved by conservative treatment underwent an IA voluntarily at intervals of 6 to 12 wk. Of the remaining 19 patients without IA, 1 patient (5%, 1/19) suffered a recurrence after 6 mo, and an appendectomy was performed. Eighteen (78%, 18/23) patients without an IA have shown no recurrence for 15 mo, and they are still being followed up.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 routine IA after successful initial conservative treatment for a perforated appendicitis or a periappendiceal abscess seems unnecessary. Those patients should undergo colonoscopy to detect any underlying diseases and to rule out coexistent colorectal cancer.

      • KCI등재

        으뜸풀이씨 ‘있다’의 씨갈―갈말에 내포된 의미자질의 부합성을 중심으로―

        박종덕 한글학회 2006 한글 Vol.- No.274

        On the Accidence of Main Predicates ‘issta’―Emphasizing the correspondence to semanticfeatures involved in the predicate―

      • KCI등재

        삶의 이론으로서의 사단칠정논변 : 교육이론의 근본쟁점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06 道德敎育硏究 Vol.18 No.1

        The doctrines of Lee Hwang and Ki Tae-Sung set forth in their ‘Four-Beginnings-Seven-Emotions Debate’ (hereafter ‘the Debate’) can be interpreted as expressing their views on education, explicating the meaning of life and education, inherent in Neo-Confucianist theory of mind. The disputed points in the Debate can be summed up in the two following questions: 1) whether the standard of the human life exists in or above the phenomenon, and 2) whether the standard of the human life exerts influences upon our actual life. The former refers to the status of standard, and the latter the function of standard in relation to the human activities. In the Debate, Lee Hwang asserts that it is as if another standard existed apart from the standard working within the phenomenon, while Ki Tae-Sung maintains that if standard exists, it necessarily exists in the phenomenon. According to Lee Hwang, the standard transcends the phenomenon, exerting influences upon our actual life, while in Ki Tae-Sung the standard is immanent in the phenomenon, only as the regulating criteria of the phenomen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eo-Confucianist theory of mind, which constitutes the basis of Lee Hwang's view, leads us to look back on our life. Lee Hwang maintains that the acquisition and the expression of mind are welded into the single activity of the cultivation of mind through studying school subjects, which is the cornerstone of life and education. 사단칠정논변은 조선조 성리학자인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벌어진 논쟁으로서, 올바른 삶과 그 실현에 관한 성리학적 관심사를 예리하게 부각시킨 교육학적 논쟁이다. 이 논쟁의 쟁점은 1) 삶의 표준은 현상을 초월해 존재하는가, 내재해 존재하는가 하는 ‘삶의 표준의 지위’에 관한 문제, 그리고 2) 삶의 표준은 우리 삶에 작용을 하는 것인가, 작용을 못하는 것인가 하는 ‘삶의 표준의 작용’에 관한 문제로 압축될 수 있다. 이 쟁점을 두고 이황과 기대승은 상이한 견해를 견지하고 있다. 이황은, 삶의 표준은 현상을 초월해 존재하는 것이면서 우리 삶에서 적극적으로 힘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보는 반면에, 기대승은, 삶의 표준은 우리 삶에 내재해 있으면서 개인의 목적달성 행위를 적절히 조절하는 역할에 국한된다고 본다. 사단칠정논변에 의하여 드러나는 삶의 이론의 주요한 특징은 그것이 올바른 삶의 실현이라는 실제적 국면을 가장 구체적인 수준에서 설명하는 실제적 논의라는 데에 있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 사단칠정논변은 교과를 통한 마음의 획득과 표현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는 교육이론의 지표와 과제를 제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이해인 시론(詩論)을 위한 시론(試論)

        박종덕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본고의 목적은 시와 시인에 대한 이해인의 사유를 통해 그녀의 시론을 살펴보려는 데 있다. 이해인은 자신의 시론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텍스트를 정독하면서 시와 시인에 대한 이해인의 생각과 태도를 찾아야 한다. 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원리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해 답을 찾는 과정에서 이해인의 시론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해인의 시는 ‘이명숙’과 ‘클라우디아’, 그리고 ‘이해인’이 길항하는 과정의 산물이다. 이 때 이해인이 묘사하는 시인은 한마디로 ‘예수를 닮은 이’이다. 이해인이 생각하는 시인은 오직 절대자가 원하는 글을 쓰는 사람이다. 또 시인은 절대자를 위하여 스스로 소멸하는 사람이다. 시인에 대한 이해인의 이러한 생각은 절대자를 위해 소멸하려는 이해인의 의지에 닿아 있다. 이해인 시의 기원은 절대자에게서 비롯된다. 절대자를 지향하는 과정, 즉 시를 쓰는 과정은 고통의 연속이다. 그러나 이 과정을 거쳐야만 시인은 영원한 생명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 이해인에게 시를 쓰는 것은 기쁨이며 영신의 수련행위이다. 시를 쓰는 과정은 생명의 활동이며, 삶의 목적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해인의 시가 절대자를 향한 흠숭의 기도라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Lee Hae-in’s poetics through her thoughts about poetry and poets. Lee Hae-in did not explicitly mention her poetics. If you peruse her text, Lee Hae-in’s thoughts and attitudes about poetry and poets can be found. In addition, two basic questions which are the basis of the fundamental of poetics must be clarified. This will make way to Lee Hae-in’s poetics. The poet portrayed by Lee Hae-in is, in short, ‘the one who resembles Jesus,’ or ‘the one who tries to resemble Jesus.’ Therefore, the poet who Lee Hae-in thinks is the one who only writes what the absolute being wants. He is also a person who disappears by himself for the absolute being. The origin of Lee Hae-in’s poetry is based on the absolute being. The process of writing poetry is continuation of pain. However, the poet may enter into the kingdom of eternal life only through this process. Also, writing poetry is joy and practice of spiritual training. Process of writing poetry is activity of life, and it is also process of discovering purpose of life. But what is the most important is that Lee Hae-in’s process of writing poetry is the same as praying to God.

      • KCI등재

        나태주 시의 장소적 특성 연구

        박종덕 국제한인문학회 2022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나태주의 텍스트에서 반복적으로 호명되는 ‘고향’과 그 대척점에 해당하는 ‘서울’이라는 장소의 형상화 양상과 함의를 구명한 것이다. 나태주의 텍스트에는 ‘서울’보다는 ‘고향’에 대한 인식이 더욱 다채롭게 드러난다. 고향은 ‘나’의 기원이다. 고향은 화자가 성장한 장소이자 추억의 근원이라는 함의를 갖는다. 또한 고향은 어머니와 아버지를 연상하게 하는 장소이지만, 어머니와 아버지의 고단한 노동을 떠올리게 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서사의 정서는 비애 혹은 분노로 나타나고 있다. 젊은이에게 고향은 벗어나고 싶은 곳, 떠나야 자신이 살 수 있는 장소로 인지된다. 이것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신산한 삶이 고향의 함의에 투사되었기 때문이다. ‘서울’은 궁핍과 슬픔으로 점철된 고향을 떠난 서사의 주인공들이 집결하는 장소이다. 서울은 고향을 떠난 어른들의 신산한 삶을 형상화하는 데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서울은 부끄러운 삶을 깨닫는 장소로 묘사되기도 한다. 다만 서울에서 산다는 것 자체가 치욕스럽게 느껴진다거나, 찰나의 머무름조차 부끄럽고 민망하다는 생각의 구체적인 근거는 제시되지 않는다. 이런 부분들은 나태주가 서울에 대해 지니고 있는 인식이 관념적이거나 피상적일 수 있다는 오해의 근원으로 작동할 위험성이 다분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