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高麗史』 地理志 譯註(8) -京山府 安東府 編-

        박종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Koryusa JiriJi(高麗史 地理志) is the basicest data about local drawing of Koryu Age. But Rich and various data was not noted greatly in learned circles by reason that was not recorded than SejongsilJiriJi(世宗實錄地理志) and SinJeungdongkukyu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This writing translates about 1 Sokgun and 14 Sokhyuns belonged to Kyoungsanbu of Koryusa JiriJi. Also it translates about 3 Sokgun and 11 Sokhyun belonged to Andongbu of Koryusa JiriJi. The way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arranges original that fill recording about relevant counties and prefectures of Koryusa JiriJi and presented in text. Next, translated original text in our word in translation. Finally, translated the important history event or place-name etc. that come in original text in translation and annotation compilation. At translation process, need explanation as additional or when supplementation of data need, it arranged in footnote. In the case of Koryusa JiriJi, from ancient to Koryu period, the historic event has been recorded. Therefore, use and pigeonholed data of SejongsilJiriJi and SinJeungdongkukyujiseungram etc. about change since chard. Truth of Choson age did not reflect. 『高麗史』地理志는 고려시대 지방제도에 관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 그러나 『世宗實錄地理志』나 『新增東國輿地勝覽』에 비해 풍부하고 다채로운 자료가 수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학계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 글은 『高麗史』권57 地理2의 경산부와 이곳에 소속된 1개의 屬郡과 14개의 屬縣 및 安東府와 이곳에 소속된 3개의 屬郡과 11개의 屬縣을 譯註한 것이다. 譯註 방식은 먼저 『高麗史』地理志의 해당 군현에 대한 기록을 담은 原文을 정리하여, 본문에 제시하였다. 다음 飜譯 편에 原文을 우리 글로 번역하였다. 마지막으로 譯註 편에서 原文에 나오는 주요한 역사 사건이나 지명 등을 譯註하였다. 譯註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설명이 필요하거나 자료의 보충이 필요할 경우 脚註에 정리하였다. 『高麗史』地理志의 경우 고대에서 고려 때까지의 사실만 실려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이후의 변화에 대해서는 『世宗實錄地理志』와 『新增東國輿地勝覽』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조선 후기의 사실은 반영하지 않았다.

      • 결정적 착각 속에서 산 사람들의 최후의 충격 : 마태복음 7장 15-23절

        박종기 한국성경연구원 2002 설교자를 위한 성경연구 Vol.8 No.7

        본문은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마지막 날에 있을 심판의 결과에 충격을 받을 것임을 암시해 주고 있다. 종말론적 심판의 광경들을 비유를 통하여 묘사한 마태복음 25장도 이러한 착각 속에서 산 사람들의 놀람과 충격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미련한 다섯 처녀들, 한 달란트 받은 종, 염소의 반열로 선고받은 자들, 모두가 결정적 착각 속에서 살다가 최후의 심판에서 충격을 받고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기준으로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행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지 않은 지 살펴보아야 한다. 착각 속에서 살다가 영원한 멸망으로 선고받은 이들과 같은 운명에 처해지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결정적이고 기본적으로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착각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주여, 주여"하고 예수를 부르는 자마다 다 천국에 들어갈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바르게 알고 실천하는 자라야 들어가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들에게 결정적이고 기본적으로 원하시는 것 중의 하나는 "아름다운 열매," 즉 내면의 순수성에 기초한 사랑의 행위이다. 외형적으로는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사실은 불법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 예수로부터 가장 신랄한 비판을 받은 이유는 그들의 외식에 있다. 그들은 구제하고 기도하고 금식하지만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해서 한다(6:1-18). 그들은 박하와 근채와 회향의 십일조를 드리지만 율법의 더 중한 바 의와 인과 신은 버렸다(23:23). 그들은 외형적으로 보기에는 어떤 사람들보다도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자들인 것처럼 보였으며, 따라서 당시의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던 사람들이다. 사람들은 인간의 내면적 세계를 알 수 없어 외형적 행위에 근거해서 판단하지만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의 판단은 우리 인간의 평가와 크게 다를 수가 있다. 사실 내면의 순수성을 지킨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설령 처음에는 전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행했을지라도 그러한 마음가짐을 끝까지 지키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원래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철저한 순종을 그들의 일차적인 삶의 목표로 설정한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율법 준수가 율법의 가장 근본이 되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을 잃어버림으로써 그들의 율법 준수는 형식적인 것이 되어버렸다. 오늘날 우리의 삶에서도 이러한 오류가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예배, 찬송, 헌금, 등 우리의 종교적 행위들 속에 하나님께 대한 감사와 사랑이 식어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가정에서, 학교에서, 직장에서 우리가 행하는 행위들 속에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약화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문에서 정죄 받은 사람들은 예언하고 귀신들린 자들을 치유하고 많은 권능을 행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그들은 "아름다운 열매"가 없는 "거짓 선지자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들에게 내면적 순수성에서 우러나온 사랑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예언, 귀신 축출, 병 고침 등의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은사를 가진 이들을 보면 우리는 너무나 쉽게 이들을 성령 충만한 사람들로 지칭해 준다. 그러나 생활 속에서 사랑, 희락, 화평, 인내,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 등의 성령의 열매를 맺으며(참조, 갈 5:22-23) 묵묵히 사랑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을 성령 충만한 사람들로 지칭해주는 것을 들은 기억이 거의 없다. 우리 교회가 진정한 "성령 충만"의 개념을 착각하고 있지는 않는가?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高麗時代 追贈制度

        박종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1 No.-

        The collective conferment system of honors in Goryeo dynasty(918-1392.AD) was carried for the object of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above the grade of the sixth rank. King, royal family and the person of merit for dynasty was also included in this system. The official post which was included the post of the civil and military nobility was awarded to the father and wif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when they were alive and awarded to the officials themselves when they were dead. The royal family was graced with a peerage. This system was continued several times at the moment of an enthronement ceremony, etc. This system which is characteristic to Goryeo dynasty is also to award honor to the officials and his family for the leading them to be loyal to their dynasty. 고려시대 추증제도는 원칙적으로 관료체계 속에 편제되어 일정한 지위에 있던 관료를 대상으로 시행된 제도였다. 그러나 그러한 체계에 포함되지 않은 국왕, 왕족(諸王과 王女 포함), 왕실의 외척을 비롯해 향리 승려를 포함하여 국가 유공자도 추증의 대상이 되었다. 일반 관료의 경우 6품 이상이 추증의 대상이며, 그들의 父祖와 妻에게도 추증직이 제수되었다. 다만 父祖와 妻의 경우 해당 관료의 생존 시에 추증되었으나, 관료 당사자의 경우 사망한 후에 추증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1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국왕의 즉위나 주요한 정국 변동기에 추가적으로 추증되기도 했다. 추증관직 가운데 문무반의 일반 관직은 주로 관료와 그 父祖와 처에게 제수되었다. 爵位나 檢校職은 왕족과 외척 등에게 주로 제수되었다. 이점에서 추증제도는 관료집단과 국가 유공자, 또한 그들의 가문의 사기와 명예를 높여 왕조의 지배질서를 강화하려는 왕조정부의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이같이 추증제도는 고려 관료제도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는 제도였다. 고려시대 추증제도의 역사적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 「복받는 자」의 개념에 대한 새로운 지평 : 마태복음 5장 3-12절

        박종기 한국성경연구원 2003 설교자를 위한 성경연구 Vol.9 No.4

        사람들은 사람을 평가할 때에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보다는 그 사람이 무엇을 가졌으며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에 중점을 두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재산이 많으냐?” “직업이 무엇이냐?” “공부는 잘하느냐?”등의 질문을 많이 한다. 그러기에 사람들에게 재산이나 직업, 재능 등은 큰 자랑거리이다. 그러나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의 평가는 사람의 평가와 다르다. 본문은 하나님 보시기에 아름다운 것은 이러한 외형적인 것보다 내면적인 순수성에서 나온 사랑의 행위이며 이것이 천국 백성의 특성이라고 선포하신다. 그러나 이 세상에는, 심지어 교회에서조차도 이런 것을 가장 귀하게 여기고 이런 점에 대하여 묻고 이런 것에 대하여 자부심을 갖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