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화 교육을 위한 상호텍스트성의 교수법

        박정애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0 No.-

        이글에서는 프랑스의 기호학자인 롤랑 바르트와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설명한 텍스트와 상호텍스트성을 미술교육에 응용하여 가능한 교수법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위해담론분석과 사례연구가 연구방법으로 사용되었다. 하나의 작품에는 항상 다른 사람들의 영향이 전제가 되며, 그것은 또한 많은 출처의 모자익으로 되어 있다. 다른 사람이만든 미술작품을 그것이 만들어진 배경에서 해석한다는 것은 해석자의 개인적 시각,취향, 사회적 상황과 관련하여 다른 텍스트를 생산하게 한다. 따라서 미술수업을 감상과 실기를 하나로 연결시킬 경우 효율적인 교수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럴 경우 학생들은 미술이 삶의 표현이면서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수단임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특별히 상호텍스트성의 교수법은 학생들의 관심사와 이슈 등 그들의 삶의 텍스트를 은유와 상징의 방법으로 또 다른 텍스트를 쓰도록 돕기 때문에 융합교육의 효율적인 페다고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수업에서 상호텍스트성의 교수법의 도입은삶의 표현과 삶의 이해를 위한 문화교육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le pedagogy of text and intertextualitywhich was explored by French semiotics such as Roland Barthes and JuliaKristeva. The study uses discourse analysis and case studies. The studyreveals that interpreting other person’s art making is to think and toredefine each of the student as individuals who live in Korean society in the21st century. In other words, because artwork can make us thinkcontinuously, forming our own consciousness, and to reject the fixed codeand change, it can be a means reestablish ourselves. In this way, tointerpret the artist, artwork in relation to their context, is to produceanother text, by relating to the interpreter’s personal perspective, taste, andsocial situation. The findings were that my students, who initially thoughtart making and appreciation as well as the making of art and their lives tobe a separated, could integrate art making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ereading and writing of text. Also, they could contain the interests and issuesof their own lives in the texts. By investigating social, cultural, and genderroles of the Korean society in which they live, they could make visual unitswhich are based on Korean popular and traditional cultures. By doing so, mystudents could understand that art is essentially metaphoric and symbolicvisual langage. Therefore they could write visual texts using formal,expressive, and symbolic elements, and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differences by searching for texts from different cultures and differentperiod. In this way, art making is visual language of life can lead tounderstand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 KCI등재

        「書畵雜識」를 통해 본 成海應의 繪畵鑑評 양상과 의의

        박정애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3

        Sung Hae-eung (成海應, 1760~1839), a noted literary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bequeathed voluminous art criticism on painting and calligraphy, included in ‘Seohwajapzi (書畵雜識)’. His writings on the back of painting and calligraphy have significant meaning as historical data that reflect the author’s aesthetics and a contemporary social atmosphere for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widespread during the 18th century. Inclining toward calligraphy, Sung left only 30 writings on the back of the paintings. Nevertheless they are valued for their art historical importance. Sung’s criticism was mainly focused on contemporary Joseon paintings but he also had opportunities to contact with painting from China and Japan. The paintings in his collection both by literary scholars such as Yi In-sang (李麟祥) and professional painters such as Kim Hong-do (金弘道) span a wide range of categories (e.g. Sagunja painting (四君子), landscape, painting of famous figures from ancient history as well as genre painting and animal painting etc). It means that the aesthetical taste of Sung Hae-eung was based on the tradition of literati painting. Sung's writings on the works are focused on artist’s biography and his works, and they sometimes reveal new information not known until now. However, in his writing Sung does not attempt to illustrate a possible influence of artist’s life and his artistic disposition on art. While giving a tacit approval to the conservative custom of the literary establishment which requires eternal vigilance against ‘Wanmulsangji (玩物喪志)’, Sung insists on the ‘theory of trifle talent (末藝論)’. He maintains the viewpoint of ‘Jaedo-ron (載道論)’ whereby painting is viewed as a means to reach Tao (道) and claims that artists’ character is one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art work. Paintings believed to realize the ideological concept as ‘Ilchi (逸趣)’ and ‘Ilgyeok (逸格)’ that lie beyond visual representation, are valued in Sung’s criticism which adheres to the conservative theory of literati painting. In short, the essence of artistic creation and its expression are not explored in his criticism. Sung regards the activity of aesthet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as ‘Yeogi (餘技)’, different from orthodox learning to which he dedicated himself throughout his life. 조선 후기의 문인 成海應(1760~1839)은 방대한 학문적 업적뿐 아니라 「書畵雜識」를 비롯해 1백 편이 넘는 書畵鑑評 기록을 남긴 인물이다. 그의 書畵題跋은 성해응 개인의 서화취미는 물론이고 18세기에 널리 확산된 서화고동의 수집 및 감상 열기를 진단해볼 수 있는 史料로서 큰 의미를 지닌다. 전체적으로 성해응의 서화 감상이 글씨에 치우쳐 있어 繪畵題跋은 30여 편에 불과하지만, 회화사적으로 가치 있는 내용이 적지 않게 포함되었다. 그는 주로 18세기에 제작된 조선의 회화를 감상했으나 중국과 일본의 그림을 접할 기회도 가졌다. 또한 鄭敾⋅李麟祥⋅姜世晃⋅金允謙⋅鄭遂榮 등의 문인화가나 金弘道⋅李寅文⋅崔北 등 전문적인 직업화가의 그림들을 두루 감상하였다. 四君子類와 山水畵, 故事人物圖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花鳥翎毛⋅魚蟹草蟲⋅風俗 등 여타의 장르도 폭넓게 섭렵하였다. 그가 접한 그림의 작가나 장르에 나타나는 특징은 성해응의 심미취향이 문인문화의 전통에 기대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해응의 회화감평은 작가와 작품에 대한 객관적 사실을 기록하는 데 치중했고,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정보는 18세기 화단을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작가의 기질이나 생애가 회화세계에 미친 영향까지 구체적으로 논증한 것은 아니다. 그는 ‘玩物喪志’를 경계하는 문인사회의 관습에 암묵적으로 동의하는 가운데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하였다. 末藝論을 내세우는 한편 그림이 道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는 載道論的 관점을 견지하고 있었고, 작가의 성품이 작품의 완성도를 좌우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눈에 보이는 형상 너머에 존재하는 ‘逸趣’ 혹은 ‘逸格’을 구현한 작품에 높은 점수를 줌으로써 보수적인 文人畵論을 개진했다. 요컨대 성해응의 회화감평 활동은 평생 동안 천착했던 정통 학문과 구별되는 일종의 ‘餘技’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동원'되는 여성작가: 한국전과 베트남전의 경우

        박정애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여성문학연구 Vol.10 No.-

        The greater part of women writers from 1950's to 1960's like Choi Jeong-Hee, Moh Yoon-Sook, Jang Deok-Jo, Son So-Hee, Jeon Sook-Hee, Joh Gyeong-1lee and what not, gender-specifically performed as helpers of anti-democratic political power and as softer ideologues of nationalism and militarism. The women, who mostly debu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were treated as deans in 50's-60'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compared with younger ones who made their debut around Korean War such as Han Moo-Sook, Kang Seen-Jae, Park Gyeong-Nee, Han Mal-Sook, Jeong Yeon-Hee. On the one hand, military national power aims to organize women in personal space as the home front 'resources' and contemporary women writers occasionally take the initiative in pushing on with diverse activities of the civilian front. But in Korean War and Vietnam War although their voluntariness was motivated by virtual experience towards equality as well as concrete need of life, their actuality was so far within the limit of patriarchal gender-specific division of labor.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half of 60's, generation of women world of letters was fairly changed. Therefore the voice of Choi Jeong-Hee and Moh Yoon-Sook could not overwhelmed the women literary circles. Younger generation novelist, Park Gyeong-Nee said that "the blood of our young men is not glorious but pathetic", giving a straight look to the reality of division nation Korean peninsula which was not strong to protect itself ought to send troops to other country. The distance from the rhetoric of glorious' which is bound to the ideology of nationalism to 'pathetic which represents more basic and fundamental humanism can be parallell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generation of Choi Jeong-Hee to the one of Park Gyeong-Nee. 최정희, 모윤숙, 장덕조, 손소회, 전숙회, 조경희 등 다수의 여성작가들은 50-60년대 반공주의남성 문단권력자들과 성별 분업적으로 반민중적 독재 정권의 '도우미 역할을 했거니와 한국전과베트남전이라는 두 번의 전쟁을 거치면서는 국가주의와 군사주의를 감성적으로 전파하는 이데올로그로 활동했다. 이들은 거의 일제시대에 등단하여 50-60년대에는 여성문단의 원로 대접을 받은 사람들로서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등단한 차세대와는 양적· 질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무숙, 한말숙, 정연회, 강신재, 송원회, 박경리 등의 후배 세대는 전후() 남성중심체제의 공고화와 그로 인한 중산층 여성의 성역할 고정화의 영향으로 소위 가정주부 겸임 작가 로서일찌감치 정치적 권력욕은 접어 버린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최정희 세대는 이미 일제(B)에 의해 동원되어 특혜를 받은 경험을 가지고 있어 국가의 '호명' 에 보다 쉽사리, 보다 적극적으로 정신()하는 면모를 보였다. 한국전과 베트남전 당시 국가의 호명에 응하는 그들의자발성은 구체적인 생활의 필요와 아울러 평등에의 환각 체험에 의해 추동된 것이었으나, 그들의실제 활동상은 여전히 가부장제 성벌 분업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했다. 한편 여성문단의 세대교체가 상당한 정도로 이루어진 1960년대 후반, 베트남전 파병 논의를전후해서는 최정희회, 모윤숙의 목소리가 곧바로 한국 여성문단의 목소리였던 것은 아니었다. 자체 방위도 힘겨운 한국이라는 조그만 분단국가가 수만의 전투병을 파병해야 하는 현실을 직시하며박경리는 "우리 젊은이들의 피는 거룩하기보다 눈물겹다"고 표현했다.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에 포박된 수사인 거룩하다 에서 근원적 차원의 인간애를 제시하는 '눈물겹다 의 거리야말로 최정희세대와 박경리 세대의 거리였다.

      • KCI등재

        巫神圖에 표현된 持物의 象徵 姸究

        박정애,서은주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199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 No.-

        This theme focuses on close examination of the symbolism of taking goods in shamanic God painting. The taking goods which symbols Chibyung are bow, arrow. Samjichang, Knife, fan, fan, bell, flag, stick, peach and the taking goods which symbols Byuksa are bow, arrow, Samjichang, knife, fan, bell, flag, stick, peach and fire. Jeopsin are arrow, feather decoration, flag, spear, flag, book, fan,bell and the role as Gongsu is performed by fan, bell, stick, flag, knife, Samjichang. And the taking goods which symbol divination are flag, book, rice and coin, the symbol materials for play are bell and fan. The taking goods which symbol life and health are dragon horn, book, gourd, lotus flower, mushroom, jinseng, elixir of life, pomegranate, ax, peach, cheatnut, Jing, rice and fire, and the symbol of power was dragon horn, book and stick.

      • KCI등재
      • KCI등재

        배우자 사별 중년여성의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경험에서 나타나는 변화에 대한 질적 단일 사례연구

        박정애,이명우,Park, Jung-Ae,Lee, Myng-Wo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4

        이 연구는 질적 단일 사례연구로, 배우자 사별 경험이 있는 중년여성이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를 경험하면서 나타나는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배우자 사별 외상 경험이 있는 40대 후반의 중년여성 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진행 중에는 회기 별로 참여자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회기가 종결된 이후에는 참여자의 내적인 그리고 외적인 경험으로 구분하여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는 참여자의 자작시를 포함한 읽기 자료와 쓰기 기법이 참여자의 반응을 촉진하고 표출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매체를 통하여 촉진된 감정과 자각된 인식은 상담자와의 치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현실에서의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생활에서 내적, 외적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회기 종결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여기에서 연구 참여자에게서 나타난 내적/외적 변화는 독서치료의 효과를 의미하고, 이는 텍스트와 더불어 상담자의 진실한 반응을 통하여 촉진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and i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to explore change in interactive bibliotherapy experience with a middle-aged widowed spouse. A Middle-aged Widowed Spouse was taken as a research partaker. Through this research, we explored partitively the partaker's experience changes by each session during the commencing of interactive bibliotherapy and the partaker's inner/external experience change after the end of session. The result, interactive bibliotherapy facilitated and expressed the reaction of a partaker by its writing skills and reading materials including partaker's own poems. Furthermore, facilitated emotion from material and self-awareness made a partaker understand and accept itself through therapeutical interaction. In addition, those kind of changes appeared inner/external experience in life, and lasted after the end of the session. In this regard, the inner/external change appeared from a partaker means the effect of bibliotherapy, and we can notice that it is a result that facilitated through truthful reaction of counselor and tex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