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 융합 메타버스(Metaverse)의 트랜스미디어 활용 교수법 탐색 연구

        박정아,김완섭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3

        본연구는 현대 교육에 가상 융합 메타버스와 트랜스미디어 러닝 학습법을 효과적으로 접목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을 탐구하고 제안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주로 혁신적인 교수 학습 모형과 교수법을 개발 중인 교양학부의 참여형 교수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적 공간과가상 메타버스가 융합된 환경에서 트랜스미디어 활용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연구하였다. 트랜스미디어의 교수 학습 활용은 새로운 기술 변화와 뉴미디어, 디바이스의 융합을 통해 가능해지며, 다양한분야와의 연계로써 교육의 접근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학생들의 참여 촉진, 학습 성과향상 및 유연한 학습 환경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근법은 학문 분야에서도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기술과 융합, 교수 학습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 방향으로는 가상 융합 메타버스와 트랜스미디어를 융합한 인게이지 러닝의 다양한 교수 학습 모델의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된다. 이를 위해서는 변화하는 기술과 교육 콘텐츠의 융합을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또한, 가상 융합 메타버스에서의 트랜스미디어 활용 연구는 구체화해야 할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탐색과 제안 연구로 시작하여 실제 실행에 도달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과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기술 융합을 통한 교육 전략을 구축하고,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따라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도 혁신적인 교수 학습 모델의 개발과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탐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nd propos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effectively integrate virtual convergence metaverse and transmedia learning methods into modern education.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d and analyzed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participatory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the Faculty of Liberal Arts, which are developing teaching methods. Through this, we explored and studi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using transmedia in an environment where physical space and virtual metaverse converge. The use of transmedia teaching and learning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convergence of new technological changes, new media, and devices, and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and quality of education by linking with various fields. In addition, it can promote student participation, improve learning outcomes, and provide a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This approach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academic disciplines as well, and can provide new directions for technology converg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A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continuous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engaged learning that combine virtual convergence metaverse and transmedia. To this end, research for the convergence of changing technologies and educational content is essential. In addition, research on the use of transmedia in the virtual convergence metaverse requires efforts to address various issues that need to be concretized, which is important as a prerequisite for starting with exploration and proposal research and reaching actual implementation. Through these efforts and research, we will build an educational strategy through more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We want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earning experience of our students. Therefore, continuous efforts and research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and future research should continue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KCI등재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박정아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2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the object space that appears as a method of expression is attempting to express more sensuous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objects used as decorative and formative elements in art history as design expressions when designing spaces by applying them to spaces.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indoor design through Hans Hollein's commercial space, and summarized the role of objects in his work. As a result, the object expression of the interior design can organize material expression, morphological expression, and symbolic expression into main themes, and visualization of space through objects is achieved. In interior design, object expression is one of the design methodologies tha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spatial composition, and it is expected that major issues revealed through Hans Hollein's commercial space design cases will help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sign in the future. 실내디자인 분야에서는 하나의 표현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는 오브제적 공간은 보다 감각적인 공간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 미술사에 나타난 장식적, 조형적 요소로써 사용되었던 오브제의 개념을 공간에 적용함으로써 공간 설계 시 디자인 표현으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의미와 특성을 한스 홀라인의 상업공간을 통해 분석하고, 그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오브제의 역할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실내디자인의 오브제적 표현은 재료적 표현, 형태적 표현, 상징적 표현을 주요 테제로 도출할 수 있으며 오브제를 통한 공간의 시각화를 이루어낸다.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적 표현은 디자인 방법론의 하나로 공간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으로 한스 홀라인의 상업공간디자인 사례들을 통해 나타난 주요 쟁점들이 향후 디자인의 방향성을 수립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지역적 분화 및 이동

        박정아,손예림,배성우,김용균,Park, Jung-A,Son, Ye-Rim,Bae, Sung-Woo,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3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사과재배지를 중심으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월동집단의 발생패턴을 조사하였다. 복숭아순나방의 발생은 남부지역에서 더 일찍 시작되었지만, 발생밀도는 비슷한 지역이라도 사과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월동집단의 성충은 사과원 내부에서 모니터링한 자료와 이웃하는 사과원 사이 지점에서 포획된 밀도 변화가 서로 유사하여 이들의 사과원 사이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사과원 내부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 모니터링한 자료는 바람이 불어오는 가장자리 지점이나 이웃하는 사과원과 가까이 위치한 트랩에서 높은 포획 밀도를 보여, 이들의 이동이 사과원 안에서는 둔화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월동세대가 나타나는 비교적 초기(4월 20-25일)에 서로 다른 사과원에 발생하는 월동세대의 유전적 거리를 분석하였다. PCR-RAPD법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집단들 사이에 유전적 분화가 있음을 나타냈다. 더욱이 동일한 지역에서 전년도 가을 집단과 초봄의 월동집단 사이에 유전적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서, 이러한 월동세대 집단간 차이는 겨울 기간동안의 지역간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도태압에 따른 유전적 병목현상에 기인된 것으로 제시된다. Spring phonology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was monitored using sex pheromone traps in apple cultivating areas. Their occurrence was earlier in southern areas and their population siz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orchards even in a local cultivating zone.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appeared to move between local orchards, based on the fact that monitoring data obtained at the sites between orchards were similar to those of nearby orchards. However, within orchards, these adult movements appeared to decrease and showed skewed occurrences at the side of upwind direction or close to neighboring orchards. At initial occurrence peak(April 20-25), the ovenvintering populations of the different local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ir genetic distances. PCR-RAPD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etic differences among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G. molesta. This genetic differentiation of overwinterin populations may be due to genetic bottleneck following differential selection pressures against the subpopulations of G. molesta during winter on the basis of the RAPD analysis that each early spring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o its previous fall population in the same loc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통합 검색 환경에서 이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정아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 정보관리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user relevance criteria in Korean search service environments that provide integrated search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10 participants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The participants conducted a web search using integrated search services, such as Naver or Daum on a self-selected topic. They were asked to judge the relevance of retrieved documents and to report their relevance criteria. As a result, the research indicated 8 user-defined relevance and non-relevance criteria. The research shows that specificity and richness are the two most important criteria yet, the user’s relevance criteria have not changed much despite the change in search environment. 본 연구는 한국 통합 검색 환경에서의 이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semi-structured) 인터뷰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참가자들은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통합 검색 환경에서 본인들이 관심 있거나 필요로 하는 다양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문서가 적합한지와 그 판단 기준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8개의 적합성 판단 기준과 비적합성 판단 기준, 그리고 검색 환경이 변화하여도 이용자가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들이 크게 변화하지는 않지만 데이터 증가와 이용자 요구의 고도화로 특수성과 구체성이 중요한 적합성 판단 기준으로 부각되는 점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우울·불안의 매개효과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정아,구본용 한국심리유형학회 2022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 abuse on adolescent aggression and the role of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in the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manage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by examining how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personal factor, self-esteem, mediate or control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 abuse on adolescent aggress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the 16th (2021) Children's Supplementary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was used, and in this study, a total of 325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luding 12 non-current students out of a total of 337 who completed the survey di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the experience of child abuse and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was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regul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parental child abuse and adolescent aggression. Based on this, a method for reducing adolescent aggression was suggested by confirming the function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self-esteem necessary to reduce adolescent ag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