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가 세미브로일러의 생산성, 소화기관 특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박재인,문제빈,강선문 한국가금학회 2019 韓國家禽學會誌 Vol.4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 supplementation with pine cone extracts (pine cone ethanol extract: PCEE; pine cone ethanol-hexane extract: PCEHE) on growth performance, digestive organ characteristics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semi-broiler. Twenty two-weeks-old semi-broilers were divided into four dietary groups (n=5/group; control(—): no antibiotics and pine cone extracts; control(+): 2% antibiotics [20 g/kg basal diet]; PCEE: 2% PCEE [20 g/kg basal diet]; PCEHE: 2% PCEHE [20 g/kg basal diet]). Chicks were reared and their diets were supplemented accordingly for 16 days. Final weight,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lowest (P<0.05) in semi-broilers whose diet was supplemented with pine cone extracts, but both PCEE and PCEHE groups showed lower (P<0.05) feed conversion ratio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Gizzard and small intestinal weight were also lower (P<0.05) in both PCEE and PCEHE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Intestinal length and villus height were similar for all treatments. Furthermore, cecal microbiota was not improved by PCEE and PCEHE supplemen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et supplementation with pine cone extracts improves the feed conversion ratio and affects the digestive organ weight of semi-broilers.

      • KCI등재

        탈북여성의 부모밀치기서사 성향과 죄의식

        박재인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9

        This study is a kind of Literary therapeutic activity report. Therapeutic targetsis North Korean Woman B. She Participated Literary therapeutic activityJanuary-February 2013. The program consisted of five sessions and 16 the epicof work was used. This study specially focused the style that North KoreanWoman B understand tale's the epic of work. And the epic of self was analyzedbased on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her style of understanding epic, various facts were brought tolight. She is sure that “Parents are ever committed to living for their children. If not, they are nasty and competitive. So I Should be separated from badparents.” We could call that ‘the epic of Pushing Parents’. Second, Her feature of ‘the epic of Pushing Parents’ Appear in her life. Sheescaped from North Korea and her family, again agonized remigration. And shehas blindly a strong obsession with wealth. She especially vulnerable to feelingsof guilt about your family. Third, discuss future plans. The most urgent issue is her feelings of guilt. This solution is <Simcheongga>. Understanding well about this work, that willmake free from her guilt. And makes her realize the real value of recoveringor protecting Parents. 본 연구는 이제 사회인으로의 성장을 꿈꾸는 탈북여대생을 대상으로 그녀의 행복한 삶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보고하는 논의이다. 여기에서는 그녀에게 취약한지점으로 보이는 ‘부모밀치기’라는 자녀서사의 특성을 짚어 보고, 그로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생활 상의 문제들을 검토해 보며 향후 문학치료적 계획을 세워보았다. 그녀가 자녀적 존재로서 살아갈 때 우선적으로 작동되는 서사는 ‘약자를 휩쓸어버리는공포스러운 힘이 만연한 세상에서 자신을 완벽하게 보호해주지 못하는 부모는 나쁜 부모이고, 자기 욕망을 앞세우는 부모에 의해 나의 행복이 흔들릴 수 있으니 배척해야 한다’는 논리를 띠고 있었다. 그녀의 부모밀치기 성향의 자녀서사는 그녀의 삶 속에서 발견되는 여러지점들과 관련되어 있었다. 돈과 권력에 대한 집착이나, 탈북 이후에도 또 다시 이주를 고려하는 점은 ‘나쁜 부모로 인해 나의 행복이 위협당할 수 있으니 배척한다’는 부모밀치기서사의 논리에 부합하였다. 맹목적인 물신주의는 타인과의 관계를 어렵게 만들고, 중국으로의이주 고민은 한국사회에의 적응을 지연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그리고 부모밀치기서사와 같은 삶의 방식은 그녀에게 ‘나의 행복을 위해 가족을 외면했다’는 죄의식을 남겼다는문제가 발견되었다. 그녀는 죄의식을 상기시키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능숙하게 대처하지못하는 취약점이 있었다. 이는 앞으로 더 큰 무대로 나아가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고 살아갈 그녀에게 걸림돌이 될 수 있기에, 이러한 죄의식으로부터의 해방이 시급한 사안이라 판단되었다. 나쁜 부모를 배척하지 않아도 잘 살 수 있다는 자기 확신이나, 무조건적인 희생과 포용을 구분하는 전제로 대상에 대한 포용 역시 결국 나를 위한 길임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자신감 등이 그녀에게 요구되는 바로 정리된다. 이를 위해 부모되찾기서사, 부모감싸기서사에 대한 이해가 촉구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서사 구조를 띠면서도, 구비설화 보다는더 상세히 텍스트가 구성되어 있으면서, 장면화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진 다른 작품을 통해문학치료를 구상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본고는 그러한 작품으로 <심청전>을 제시하며, 그녀가 죄의식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국모가 되어 거지잔치를 통해서 아버지와 대면하는 심청이의 부모감싸기 방식에 대한 점진적인 몰입과 공감을 유도하는 문학치료 계획을 세워보았다. 이 연구로 말미암아 국가와 가족을 버리고 떠나온 탈북민들의 실제적 아픔에 대한 인문학적 대안이 구체화·전문화 되고, 한국 사회에서 행복한 삶을 꿈꾸는 탈북민의 소망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전 기반 콘텐츠 창작 교육의 방법과 실례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박재인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4

        This study has discussed the case of convergence-based humanities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appreciating classics and creating contents, centering on The Jehol Diary (Yeolha Ilgi) which contains various elements such as a new perspective on existing values and reflection on society and self from a glob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n order to arouse the sympathy and interest of learners, the contents were divided into ‘travel,” “a consciousness of criticizing reality,” and “the global perspective,” and explained them in connection with Yeonam’s way of thinking that makes this possible. Yeonam’s writing skills, such as ‘observational skills and recording habits, imagination of reversal, curiosity and humor’, were also used as the major contents at the class. In addition, for the content development process, scholars of humanities lead the entire process of content creation rather than only performing the role of providing source sources. (1) Contents centered on the main ideas of The Jehol Diary, (2) Yeonam’s contents using the writing method and (3) “My travels” contents applied with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Jehol Diary. Through this course of instruction, the learners are presented with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Jehol Diary. Contents such as games, video and online experience (VR) programs, smart phone applications, performances, magazines, webtoons, and novels were planned.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find a phenomenon in which the understanding of The Jehol Diary and Yeonam was made deeper than the passive appreciation class, and the enthusiasm for content creation among the learners was highe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epest understanding of the source texts is important based on a common consciousness of ‘why we should read The Jehol Diary.’ 이 연구는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고전문학 감상과 콘텐츠 창작을 실행한 대학교육 사례를 논의하였다. 『열하일기』는 서사물뿐만 아니라 론(論)과 기(記) 형식의 산문 내지 고전의 다양한 요소가 콘텐츠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콘텐츠 교육은 바로 서사물의 재창작을 넘어서, 고전에 담긴 세계인식과 철학, 문체 등의 요소들도 현대 콘텐츠로 재창작될 수 있다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대한 감상 교육은 전문을 상세하게 읽기, 현대인의 욕구에 부합하는 고전문학 매력을 탐색하기 등으로 실천되었다. 특히 학습자들의 공감과 흥미를 위하여 ‘여행’, ‘현실 비판의식’, ‘세계화적 시선’ 등으로 그 내용을 구분하여 감상하였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연암의 사유방식을 관련지어 설명하였다. 더불어 ‘관찰력과 기록 습관, 뒤집기의 상상력, 호기심과 유머’ 등 연암의 글쓰기 기술 역시도 중요한 수업 내용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콘텐츠 개발 과정에 대해서는 원천소스만 제공하는 역할을 넘어서서 인문학자가 전 과정을 주도하는 작업방식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현대인의 욕구/욕망에 따라 고전의 무엇을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콘텐츠 양식에따라 고전의 무엇을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등 두 차례의 스토리텔링 작업이 필수적임을 교육하였다. 그리고 ‘(1) 『열하일기』 내용을 중심으로한 콘텐츠, (2)연암의 글쓰기 방법을 활용한 콘텐츠, (3) 『열하일기』 구성방식을 적용한 ‘여행 콘텐츠’를 그 예시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업 과정을 거쳐 학습자들은 게임과 영상 및 온라인 체험(VR) 프로그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공연, 잡지, 웹툰, 소설 등의 콘텐츠를 기획하였다. 콘텐츠 기획 결과물에서는 수동적인 감상 수업보다 더욱 『열하일기』과 연암에 대한 이해가 깊이 있게 이뤄진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고, 콘텐츠 창작에 대한 학습자들의 열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콘텐츠 창작에 있어서 무엇보다 원천소스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

        박재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cess of studying the literary therapeutic ‘storyin- depth’ theory as a common basis of human and literary works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and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theoretical limitations. The literary therapy is a study of human understanding through the stor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tory-in-depth ’ theory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It has been redefined as a ‘story-type deep cognitive-expression system’ after much discussion. The principle of literary therapy is the process of complementing, strengthening and integrating the ‘story-in-depth of self(SIDS)’ through ‘story-in-depth of text(SIDT)’. In addition, I exam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ast and the newly introduced one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counseling techniques. Finally, story typology about basic relationships and the newly developed story typology were discussed.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xtent to which the academic complement to the controversies raised has been achieved. 이 글은 문학치료학 분야에서 인간에 대한 서사적 이해를 위한 기반으로 서사이론을 연구해온 과정을 검토하고 이론적 한계를 보완해온 지점들을 고찰하였다. 서사이론 구축과정을 ‘준비기-시작기-본격기-확장기’로 나누고, 서사 개념이 “문학 및 인간의 이면에서 작품과 인생을 좌우하는 스토리 형태의 심층적 인지-표현체계”라고 재규정된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정운채와 신동흔의 서사이론을 비교하면서 그 전환점을 짚어보고, 두 이론이 적용된 상담 기법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학치료 상담의 기초과정에 적용하는 기초서사이론과 최근 새롭게 제기되는 다양한 서사 유형 논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렇게 서사이론의 발전사를 살펴본 본 연구는 “작품서사를 통한 자기서사의 보충·강화·통합”이라는 문학치료 원리를 이해하고, 그간 제기된 논쟁들에 대한 학적 보완이 어디까지 이루어졌는지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마 추출물 첨가가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재인,서태수,장애라,Pak, Jae-In,Seo, Te-Su,Jang, Aera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6

        마 가루를 70% methanol로 추출하여 10, 30, 50, 70, 그리고 100 ${\mu}g/mL$의 농도가 되도록 제작한 후 항산화 활성검증에 사용하였으며 비교 항산화 물질로는 ascorbic acid를 이용하였다.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23.03{\pm}0.22$ mg/g으로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100 ${\mu}g/mL$ 농도의 처리구에서 79.33%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SOD유사활성은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100 ${\mu}g/mL$ 농도의 처리구에서 64.78%로 가장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났다. 마 가루를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 한 다음 마 가루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 마가루 추출물 0.1% 첨가한 처리구(T1), 0.3% 첨가한 처리구(T2), 0.5% 첨가한 처리구(T3), 0.7% 첨가한 처리구(T4), 그리고 1.0% 첨가한 처리구(T5) 등 6개 처리구로 나누어 $4^{\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저장성 실험에 사용하였다. pH 변화는 12일차에서 대조구(C)는 적정 pH 6.2를 넘긴 pH $6.31{\pm}0.03$을 나타냈고 처리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T4 처리구에서 pH $6.14{\pm}0.09$로 대조구(C)와 처리구 간의 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명도($L^*$)는 대조구(C)가 $66.73{\pm}0.03$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마 가루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L^*$값은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적색도($a^*$)는 T5 처리구의 저장 12일차에서 $9.89{\pm}0.3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갈색도($b^*$)는 T5 처리구의 저장 12일차에서 $13.21{\pm}0.1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지방산화도를 측정하는 TBARS 실험에서는 저장이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C)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T4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조직감 측정에서 경도는 마 가루의 첨가 비율이 높아 질수록 경도가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마 가루 methanol 추출물이 소시지 제조에 첨가된 비율이 높아질수록 지방의 산화가 감소하며 소시지의 저장성 증진에 효과적이나 경도가 증가하고 적색도와 갈색도가 증가하여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0.1-0.3% 농도의 선정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yam (Diocorea japonica) extract by methanol on sausage quality during cold storage. Yam extracts were prepared by 70% methanol and concentrated using rotary evaporation.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extracts were 123.03 mg/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 oxide dismutase (SOD)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increased with dose dependentl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oncentration of yam extracts; in particular, 70 ${\mu}g/mL$ of the extracts showed 57.12% of nitrite scavenging activity. Sausages containing yam extracts showed lower pH than that of the control. In color, the lightness ($L^*$) of sausages with 1.0% of the yam extrac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sausages with 1.0% of the yam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of the sausage with 1.0% of the extracts was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on days 9 and 12. However, the hardness of the sausage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yam extracts. From these results, the yam extracts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moreover, it also retards the lipid oxidation of the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The yam extracts could be used as additives to prevent lipid oxidation of the sausage.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in meat products.

      • KCI등재

        『삼국유사』 <비형 이야기>를 통해 본 탈북청년들의 (탈)경계인으로서 자기서사

        박재인 한국문학치료학회 2022 문학치료연구 Vol.63 No.-

        In this study, “The Story-in-Depth of Self as a Post-Marginal Man” was analyzed as the target of the newly emerge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of the KimJongun Era”. In this literary therapy, “The Story of Bihyeong” from the Samguk Yusa(三國遺事) was used as a medium for counseling focusing on “what kind of existence I will have in this society that rejects me.” This story was divided into three branching points and literary activities were conducted such as imagining the story that will follow, expressing emotional and interpretive reactions, and discussing the situation of the main character with others. They revealed themselves by empathizing with their emotions and positions in comparison to the situation in the work. This was related to their reasons for defecting from North Korea and their desire to assimilate into South Korean socie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y of life that they pursue, it was revealed that they had a special immersion in Bihyeong, Gildal, and a group of ghosts. Lastly, in the group discussion, they demonstrated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South Koreans stated that groups and individuals must be distinguished, and added that the deviance of the minority could not be condemned unconditionally. This is not a one-sided, uniform point of view but an ethical judgment that reflects the specificity of the situation, considering the positions of “South and North,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In particular, they evaluated themselves positively, saying that they have lived in a unified country (South and North). This was also consistent with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Post-marginal Man” sa the target of this program. 이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김정은 시대 탈북청년’을 대상으로 ‘(탈)경계인으로서 자기서사’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나를 배척하는 이 사회에서 나는 어떤 존재로 살아갈 것인가’를 중심으로 이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는 『삼국유사』의 <비형 이야기>를 상담 매개로 활용하였다. 작품서사를 총 세 분기점으로 나누어 각각 뒷이야기 상상하기, 정서‧해석적 반응 표현하기, 주인공이 처한 상황에 대해 다수와 토론하기 등 문학 활동을 진행하였다. 탈북청년들은 작품 속 상황과 견주어 자신의 정서와 입장을 이입하여 문학적 반응을 표현했는데, 이는 탈북 동인 및 남한사회로의 동화 열망 정도와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에 따라 비형, 길달, 귀신무리에 대한 특별한 몰입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집단토론에서 이들은 남한사회의 편견‧배척을 이해하는 태도와 함께 집단과 개인을 구별해야 한다는 의식을 기반으로 소수의 일탈을 무조건적으로 비난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는 한 쪽으로 치우친 획일화된 관점이 아니라, ‘남과 북, 남한주민과 탈북민’ 각각의 입장을 고려하며 상황의 특수성을 반영한 윤리적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통일된 나라(남과 북)에서 살아본 존재’라며 자아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이뤄졌는데, 이는 문학치료에서 목표로 두었던 ‘탈경계성’에 대한 사유방식에 부합되기도 하였다.

      • KCI등재

        <심청가>를 통해 본 고통의 연대와 국가 역할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

        박재인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6

        이 글은 ‘출천대효와 발복’의 구조를 띤 여러 이야기 가운데, 심청이야기의 독자성에 주목하며 현대인들도 공감할 수 있는 방향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심청이야기는 심청의 자기희생적 효행에 대한 보상적 성격의 발복으로 이어지는 효 이념을 긍정하는 서사임에 분명하지만, 본고는 ‘황후’의 자리나 ‘맹인잔치’ 등 이야기의 결말에 무게 중심을 두고 특별한 의미를 부여해 보았다. 특히 심청에게 닥친 시련과 그것의 해결과정을 파시즘적 가족주의의 한계와 국가적 차원의 치유 및 복지 실현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판타지적 발복이라고 평가되어온 심청이야기의 결말을 두고 개인의 고통이 공공의 공감과 연대로 확대되고 그것이 국가적 차원의 움직임으로 이어지는 논리적인 문제 해결과정으로 보았다. 그래서 2장에서는 심청에게 주어진 현실적 고난을 중심으로, 극빈(極貧)과 심봉사의 개안 욕망으로 가중되는 상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심청의 고뇌는 가난한 맹인 아버지에 대한 부채감과 개인의 자율성 사이의 고민이며, 가족(집단)과 개인의 행복 추구 사이의 갈등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고통의 중심에는 쇠락한 사대부가 가문 보전에 집착하고 이를 위해 구성원의 희생을 요구하는 문제가 존재하는데, 이는 한국형 가족주의의 전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집단의 안녕을 위해 개인의 희생을 ‘책임과 의무’ 내지 ‘숭고함’으로 찬양하는 바는 왜곡된 가족주의 내지 집단주의의 한계이다. 이어 3장에서는 심청의 고통에 공감하고 애도하는 주변인물들을 통해 고난 극복의 실마리를 확인하였다. 심청의 죽음 이후부터는 심청의 죽음을 둘러싼 각인들의 반응을 통해 그녀의 고통이 개인에서 다수로 확장되는 형상이 발견된다. 이 장면들은 심청의 고통에 공감하는 연대의 형상이자, 그녀의 희생을 기억하고 성찰하는 공공의 기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서사적 장치들은 심청이 처한 현실이 그녀 홀로 감당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음을 드러내고, 다수가 심청의 고통에 공감하고 애도하는 과정은 사회적 차원의 치유이며, 그에 대한 공공의 기억은 심청의 문제에 국가적 차원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힘이 되었다. 4장에서는 가문 보전을 위해 개인의 희생을 요구하는 한국형 가족주의 해방의 길을 발견하였다. 핵심은 심청이 죽음과 재생의 과정을 거쳐 극빈한 처지에서 황후로 승격되고, 맹인잔치를 통해 심봉사가 개안하면서 더불어 모든 맹인이 개안하는 결말에 있다. 문제 해결에 있어서 그전 심봉사의 딸 심청이는 할 수 없었던 일이 심황후에 의해서는 가능한 것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단순히 개인의 성장이나 발전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이후의 상황을 보면 심청의 신분 상승은 민초들의 고통이 국가 중심부로 전해지는 소통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심황후의 자비는 개인 가정사의 문제로만 보였던 심봉사와 심청의 문제에서 국가의 역할을 찾아낸 문학적 상상력에 해당된다. 이는 국가의 역할을 은폐하고 현실의 비극을 모두 개인의 것으로 전가하는 왜곡된 가족주의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며, 국가에게 본래의 몫을 돌려주자는 비판적 가족주의 이론에 부합되는 지점이다. 즉 심청이야기가 전하는 문제해결의 방법은 가정사의 문제에서 가족이 해체되지 않고 가족주의의 순기능을 유지하면서도, 그 누구도 희생당하지 않는 방식으 ... In this study, by paying attention to the ending of “Shim-Cheong-Ga,” in which Shim-Cheong becomes an empress and her blind father opens his eyes, the story can be interpreted as the narration of suppression and the liberation of familism beyond good luck as a reward for extreme filial piety. Based on a version of Yeon-Soo Kim that clearly brought antinomic paradox to light in the filial piety of Shim-Cheong, the liberated way of familism being implemented by success and the mercy of Shim-Cheong is observed by identifying the limits of distorted familism demanding personal sacrifice. In Chapter 2, based on the realistic hardship borne by Shim-Cheong, the pain being aggravated by extreme poverty, and the desire of Shim-Bong-Sa, who wishes to open his eyes, is observed. In particular, in the line of Jang-Seung-Sang Bu-In, an image of Shim-Cheong, who is exposed human agony while pursuing filial piety, can be found. Through this, it is found that the agony of Shim-Cheong presents an agonizing concern between a sense of burden for her father and personal autonomy and a conflict between family (a group) and individual pursuit of happiness. In this respect, in the case of the agony of Shim-Cheong, family features being concentrated on patriarchy and the sacrificing of desires by female members are closely related to unique Korean familism. That is, it is close to the prototype of the Korean-type familism that praises personal sacrifice as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r “lofty virtue” for the happiness of a group. In Chapter 3, a clue for overcoming agony is given through surrounding characters who show sympathy and offer condolences for the suffering of Shim-Cheong. The voluntary sacrifice of Shim-Cheong is applicable to officially recognized violence by the desire of the patriarch and the group (seamen). The agony of Shim-Cheong is not directly exposed through the mouth of Shim-Cheong, but it can be found that after the death of Shim-Cheong, through the public response to the death, her suffering is extended from a person to multiple people. The agony of Shim-Cheong leads to sympathy from multiple people, including the voices of virtuous woman—the victims of Confucian ideology through the condolences of Jang-Seung-Sang Bu-In remembering Mang-Sa-Dae and Ta-Ru-Bi and the reflection of seamen. These scenes may be said to be a public memory that remembers and reflects the sacrifice and solidarity being shared with the agony of Shim-Cheong. These narrative scenes signify that her realistic suffering was difficult for her to deal with by herself. In Chapter 4, a liberation clue for Korean-type familism demanding personal sacrifice for preserving family dignity is found. Its main point can be found in a happy ending in which Shim-Cheong becomes an empress under extreme poverty through the process of death and resurrection and the blind Shim opens his eyes through a feast for the blind, and all the blind people open their eyes together. In this ending, the “state role” protecting the people is emphasized, and it is likely to be interpreted as defiance against distorted familism (or nationalism) that entirely passes the buck of realistic problems to personal concerns while concealing state roles. The mercy of Shim-Cheong, who becomes an empress, is said to be the wisdom and philosophy of the classic that discovers the state role in th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deal with by Shim-cheong alone, such as extreme sustained poverty due to the absence of her mother and suppressed desire of her blind father, who is ruined by Sadaebu. It is clear that the basic framework of Shim-Cheong story is “extreme filial piety and rewarding good luck.” However, the narrative elements attached thereto involve expectations of defiance (resistance) and liberation for distorted ideology as well. In this respect, the significance of extension to multiple solidarity or official memory surrounding the suffering of Shim-che...

      • KCI등재

        문학치료 상담에서 나타나는 문학행위 반복 현상과 ‘직면’의 치료적 효과

        박재인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6 No.-

        This article discusses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repetitive phenomenon of literary acts and “confrontation” found in literary therapy counseling. Literary therapy counseling proceeds primarily by appreciating literary works and creating them.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talk about the emotion in the work and their interpretation of it. Such a conversation can also be called a literary act. During literary therapy counseling, the literary act is inevitably repeated. This repetition allows the client to withdrow their defense mechanisms and see the reality of a situation. Regarding this, in Chapter 2, the process leading to “confrontation” was explained using the theories of various psychotherapeutic techniques. It is a process of ① cooperation of the unconscious; ② re-experiencing and repetition of trauma; ③ awareness and reconstruction of emotions; and ④ verbalization of memories. Literary therapy counseling can be effective in each task. Confront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ry therapy, involves connecting problem situations in life and one’s inner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them in the form of a story. This can be regarded as an attempt to understand human beings through stories, by analyzing the “Story-in-depth of Self.” Analyzing this narrative is a task that the client must complete with the counselor’s help. In chapter 3, the effect of literature therapy is demonstrated by citing actual cases. The client repeatedly relayed his experiences while discussing various literary works that dealt with similar problems. Consequently, I could begin the process of confrontation gradually. Finally, Chapter 4 reports, the results of this counseling case and relevant issues to be supplemented. In addition, it is argued that counselors should practice the ethics of listening to help clients. 이 글은 문학치료 상담 현장에서 발견되는 문학행위 반복 현상과 직면의 치료 효과를 논의했다. 문학치료 상담은 주로 작품서사의 감상과 창작 활동으로 이뤄지고, 상담사와 내담자가 나누는 대화 역시 작품에 대한 정서와 해석적 반응을 드러내는 문학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상담 과정에서 문학행위가 반복될 수밖에 없는데 이 반복이 방어기제들을 해제하고 진짜 나로서 사태를 바로 보는 직면의 치료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해 2장에서는 직면에 이르는 과정을 여러 심리치료 요법의 이론에 기대어, ①무의식의 협력, ②외상의 재체험과 반복, ③정서의 자각과 재구성, ④기억의 언어화 과정으로 설명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한 문학치료 상담 방법의 장점을 꼽아보았다. 결국 문학치료에서의 직면이란 삶에서의 문제상황과 자신의 내면적 특성을 연결하여 통일된 맥락으로 이해하는 ‘서사적 이해’의 과정이고, 이 직면으로 사람의 자기서사가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자기서사의 분석 과정이며 상담사뿐만 아니라 내담자 스스로도 이뤄내야 하는 과제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는 유사 작품군을 여러 차례 감상하면서 자기 경험담의 반복 구술을 이뤄내고 그것이 점차 직면을 시작할 수 있게 했던 상담 사례를 제시하며, 문학치료 방식의 직면 작업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이 상담 사례의 성과와 함께 보완되어야 할 사안들을 검토하면서, 직면의 과정에서 상담사에게 요구되는 과제로 실증주의적 듣기 방식이 아닌 내담자의 고통을 올곧이 들으려는 듣기의 윤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