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뢰성 해석을 이용한 차량 후드 보강재의 위상최적화

        박재용,임민규,오영규,박재용,한석영,Park, Jae-Yong,Im, Min-Kyu,Oh, Young-Kyu,Park, Jae-Yong,Han, Seog-Young 한국생산제조학회 2010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25 No.5

        Reliability-based topology optimization (RBTO) is to get an optimal topology satisfying uncertainties of design variables. In this study, reliability-based topology optimiza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inner reinforcement of vehicle's hood based on BESO. A multi-objective topology optimization technique was implemented to obtain optimal topology of the inner reinforcement of the hood. considering the static stiffness of bending and torsion as well as natural frequency. Performance measure approach (PMA), which has probabilistic constraints that are formulated in terms of the reliability index, is adopted to evaluate the probabilistic constraints. To evaluate the obtained optimal topology by RBTO, it is compared with that of DTO of the inner reinforcement of the hood. It is found that the more suitable topology is obtained through RBTO than DTO even though the final volume of RBTO is a little bit larger than that of DTO. From the result, multiobjective optimization technique based on the BESO can be applied very effectively in topology optimization for vehicle's hood reinforcement considering the static stiffness of bending and torsion as well as natural frequency.

      • 체적제어를 이용한 신뢰성 기반 위상 최적화

        박재용,황승민,임민규,오영규,박재용,한석영 한국공작기계학회 2009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

        This paper presents a reliability-based topology optimization (RBTO) using bi-directional evolutionary structural optimization (BESO). An actual design involves uncertain conditions such as material property, operational load and dimensional variation. Deterministic topology optimization (DTO) is obtained without considering of uncertainties related to the uncertainty parameters. However, the RBTO can consider the uncertainty variables because it has the probabilistic constraints. In this paper, the reliability index approach (RIA) is adopted to evaluate the probabilistic constraint. RBTO based on BESO starting from various design domains produces a similar optimal topology each other.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to compare the DTO with the RBTO.

      • KCI등재

        실험용 지진계의 개발 및 지구 과학 탐구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박재용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9 현장과학교육 Vol.13 No.4

        Seismometers installed in seismic stations today measure ground vibrations with changes in the intensity of induced current caused by the movement of magnet. However, current seismometers in textbooks do not show the principles of modern seismometers, and even the educational seismometers dealing with the principles of modern seismometers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that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how seismometers work. In this study, I developed an experimental seismometer that detects ground vibrations using micro-currents generated by the relative motion of magnet and coils, and explored its applicability for investigation tool in earth science.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test on the experimental seismometer, the induced currents of different magnitude were generated in the coils of the experimental seismometer according to the vibration intensity, and the pattern of magnitude change of the acceleration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as consistent with the pattern of intensity change of induced current in the coils of the seismometer. In addition, a survey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seismometer was more suitable for use as an investigation tool than an existing educational seismo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 seismometer can be used as an investigation tool in earth science classroom to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modern seismometers and to improve science process skills. 오늘날 지진관측소에 설치된 지진계는 자석의 움직임에 의해 유도된 전류의 세기 변화로 지반의 진동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과서에 수록된 지진계는 현대식 지진계의 원리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며, 현대식 지진계의 원리를 다룬 교육용 지진계의 경우에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학생들이 지진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석과 코일의 상대운동으로 발생한 미세 전류를 이용하여 지반의 진동을 감지하는 실험용 지진계를 개발하고, 지구과학 탐구 도구로서 실험용 지진계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용 지진계에 대한 성능시험 결과, 진동의 세기에 따라 실험용 지진계의 코일에 크기가 다른 유도 전류가 발생하였고,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에 의한 가속도의 크기 변화와 지진계의 코일에 유도된 전류의 세기 변화 패턴이 일치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탐구 측면에서 실험용 지진계 사용의 적합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실험용 지진계가 기존 교육용 지진계보다 탐구 도구로 사용하기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 수업에서 실험용 지진계를 현대식 지진계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과학 탐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탐구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우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남아의 대망 경색 1예

        박재용,유리타,김도중,유지형,Park, Jae-Yong,Yu, Ri-Ta Miyoung,Kim, Do-Joong,Yoo, Jee-Hyo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저자들은 급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남아에서 복부 초음파와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하여 대망 경색을 진단하였으며 항생제 및 진통제 등의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의 완화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n omental infarctions is an uncommon cause of an acute abdomen and a rare entity in children. The etiology is still unclear and the symptoms mimic acute appendicitis. We recently encountered a case of a 10-year-old boy who had a previous surgical history of a manual reduction for intussusception. He complained of abdominal pain and right upper quadrant tenderness without fever or anorexia. An abdominal ultrasonography suggested an omental infarction and computed tomography confirmed the diagnosis. Conservative management was adopted with a rapid and uneventful recovery. Non-operative treatment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f choice for omental infarction.

      • KCI등재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박재용,이기영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7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효과적인 개방적 탐구를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을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통해 탐색해 보는 것이다.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탐색하기 위하여 두 중학교에서 개방적 탐구를 수행했던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적 탐구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 결과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한 설문 조사에 응했던 학생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학 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추출된 스캐폴딩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개 방적 탐구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개방적 탐구에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살 펴보았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스캐폴딩 요소(탐구 동기,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학생들은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중 탐구 동기를 제외한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에서 어려운 점을 제시하였고, 특히 자기 역할 인식, 과제 수행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모둠원들과의 협력으로 대표되는 참여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도움 방안을 요구하였다. 한편,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심층 면접을 통해 탐색한 결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스캐폴딩의 기능들을 인지적(개념적, 메타 인지적), 정서적(동기적, 중재적), 전략적 기능으로 범 주화할 수 있었고, 교사들은 스캐폴딩의 전략적 기능 과 인지적 기능을 정서적 기능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방적 탐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scaffolding in open inquiry and to explore the functions of teachers" scaffolding, which is necessary to support students" open inquiry. In order to identify scaffolding components, at first, we conducted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on what students think about open inquiry on 110 students who performed open inquiry in two middle schools, and then carried out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corresponding to scaffolding components that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lso, we examined teachers" empirical view of scaffolding functions in open inquir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teacher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scaffolding components of open inquiry: motivation, planning, strategy,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s showed that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lanning, strategy,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components, except for motivation component. In particular, students asked for support to strengthen the participation component, which means recognizing their role, a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with peers. Meanwhile,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showed that teachers" empirical views of scaffolding function in open inquiry were categorized as cognitive (conceptual, metacognitive), emotional (motivational, arbitrative) and strategic. Interviewed teachers preferred the strategic scaffolding and cognitive scaffolding to the emotional scaffolding. Based on the results, w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performing open inquiry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