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 개발

        박일혁 ( Il Hyeok Park ),이기봉 ( Gee Bong Lee ),조성일 ( Sung Il Cho ),김연수 ( Yeon Soo Kim ),이성운 ( Sung Woon Lee ),이우형 ( Woo Hyung Lee ),이문진 ( Mun Jin Lee ),민진영 ( Jin Young Min ),이온 ( 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질문지 개발을 위하여 문헌고찰과 다양한 특성의 성인 32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질문 영역과 질문지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총 223명의 도시 거주 성인을 표집하여 가속도계, 심박수계, 일일기록지로 신체활동을 측정하고 질문지로 측정된 신체활동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구인타당도의 부분적 검증을 위하여 성별, 직업종류별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재검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신체활동의 영역을 직업활동, 가사활동, 여가활동, 계획적 운동, 이동 5개로 구분하였으며 이 영역들을 기준으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질문지의 타당도는 남자의 경우 .59-. 74로 중간에서 비교적 높은 정도, 그리고 여자의 경우 0.34-. 75로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질문지로 측정된 신체활동 총량 및 영역별 신체활동량의 집단별 비교에서는 성별, 직업유무별, 직업유형별로 대체로 기대한 차이를 나타내 질문지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검법에 의한 신뢰도는 .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의 타당도는 타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와 비교하여 그 타당도가 유사하거나 더 높아 대규모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at is valid for measuring physical activity level of Korean adults who reside in city area. The research team identified the physical activity domain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 and developed the questions that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each domain. Developed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experts`s review and pilot test. A total of 223 adults (102 males and 121 females) participated in completing questionnaires along with 7-day recording of accelerometer, heart rate monitor and diary measuremen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examine criterion validity. Gender and occupation variables were used to examine group-divergent validity. Five physical activity domains, occupation-, household-, leisure-, planned exercise-and transportation-related do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criterion validity coefficients of the questionnaire ranged from .59 to .74 for males and .34 to .75 for females. These values are regarded as low to relatively high. The calculated reliability coefficient was relatively high at .90. The developed questionnaire may be useful in a large scale physical activity study.

      • KCI등재

        체육학 연구를 위한 다층자료 회귀분석(위계선형모형)의 소개

        박일혁(Il Hyeok Park),이기봉(Gee Bong Lee),서성혁(Sung Hyeok Suh)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2 No.1

        본 tutorial은 다층자료의 회귀분석(위계선형모형)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위계선형모형은 다층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대상자의 특성변인뿐 아니라 대상자가 속한 상위 집단의 특성변인으로 종속변인을 설명하는 통계모형이다. 이 통계모형은 개념적으로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회귀분석 모형에서 나타나는 절편과 회귀계수를 상위집단의 특성변인, 즉 2층 자료의 변인으로 설명(예측)하는 회귀모형으로 1층과 2층 자료 또는 그 이상의 자료에 대한 여러 번의 회귀 모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위계선형모형은 반복측정된 자료에 대한 변화의 분석에 적용하여 변화에 대한 설명변인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본 tutorial에서는 위계선형모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한 기본 개념 설명과 자료 분석 및 해석의 예를 제시하였다. This is a tutorial paper introduc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for the applied research in the area of exercise and sport science. The HLM was introduced more than 40 years ago, but has not been used often in research. The HLM can be viewed as two or more regression modelings for the analysis of multilevel data. This statistical technique is especially useful in educational and organizational research where the data is typically multilevel. Application of the HLM in analyzing repeated measures data for the analysis of change is also very useful. In the paper, the basic concepts of HLM is introduced using less technical terms, and the analyses examples are presented with simulated data and real data.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is statistical technique is also discussed.

      • KCI등재

        체육학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 이용의 문제점과 올바른 적용

        박일혁(Ilh Yeok Park),엄한주(Han Joo Eom),이기봉(Gi Bong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4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6 No.1

        본 논문은 tutorial 성격의 논문으로서 연구의 목적은 체육.스포츠 분야의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요인분석 법의 적용 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고찰하고 이들에 대한 바람직한 해결방안과 요인분석의 올바른 적용 방법을 제시 하는 것이다.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사회학, 스포츠경영학, 스포츠여가학 등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료 분 석법인 요인분석은 잘못 적용되거나 부분적으로 문제점을 가진 경우가 많다. 연구자들이 요인분석을 자료 분석에 적용 할 때 가장 흔히 겪는 문제점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선택, 자료의 비정규성, 측정척도 문제, 표본의 크기, 모형의 적합도 평가 시 적합도 지수 선택과 기준 등이다. 이 외에도 요인분석법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오 는 적용의 오류 등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고찰, 정리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요 인분석법은 수학적, 통계적으로 매우 복잡한 방법으로 적용 시 많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며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올바른 적용이 필요하다. This is a tutorial paper on the appropriate understanding and usage of factor analysis model in applied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research.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issues that one may encounter in using factor analysis model in an applied research. Discussed issues include selection betwee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non-normality of data, analyzing ordinal scale data, sample size, model evaluation with goodness-of-fit indexes and its criteria. This paper discussed these issu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small simulation examination and authors` experience as statistical consultants and as reviewer of many research journals. Factor analysis model and analysis is a very complex technique which requires a high level knowledge and experience. Researchers need to understand these common issues and apply this statistical model with caution.

      • KCI등재

        청소년과 성인의 신체활동영역 설정

        박일혁(Il Hyeok Park),이기봉(Gee Bong Lee),김남수(Nam Soo Kim),이우형(Woo Hyung Lee),이문진(Mun Jin Lee),이성운(Sung Woon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과 성인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신체활동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체활동의 종류와 분류에 관한 연구와 현재까지 개발된 신체활동 측정 도구 및 방법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고, 서울시 소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남녀 48명과 30-60대의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회의를 실시하였고, 청소년의 신체활동 측정 질문 영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청소년의 신체활동 영역은 수업, 휴식, 여가, 계획적 운동, 이동 이었으며 성인의 신체활동 영역은 직업, 가사, 여가, 계획적 운동, 이동이었다. 신체활동량을 측정하는 질문지 구성시 이 영역들이 대상별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규칙적인 생활 내에서 신체활동이 많이 나타날 수 있는 영역은 청소년의 경우 수업(체육수업), 휴식 및 여가였고 성인의 경우 계획적 운동이었다. 따라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개입(intervention)을 위해서는 이 영역들에 대한 집중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청소년의 신체활동 질문지를 개발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hysical activity domains of Korean youths and adults. The research team reviewed various reports on the life patterns of Korean population, and research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n addition, the research team interviewed 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24 males and 24 females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patterns of everyday life. Experts reviewed the identified physical activity domains. Five physical activity domains were identified for youths; class activity, resting activity, leisure activity, planned exercise and commuting. Five domains were identified for adults as well; working activity, housework, leisure activity, planned exercise and commuting. These domains are recommended to be included in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For youths,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y, resting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were three major domains where physical activity can be promoted. For adults, planned exercise can be regarded as most important domain to consider in physical activity promo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in developing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for youths and adults.

      • KCI등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척도개발

        이문진(Mun Jin Lee),박일혁(Il Hyeok Park),황선환(Sun Hwan Hwa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and valid scale to measure recreation specializ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of all, a vast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had been conduct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in-depth interview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construct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recreation specialization was conceptualized with 3 factors(7 sub-factors) which were cognitive(information, skill-knowledge), affective(importance, centrality, physical passion) and behavioral(skilled, experience). Secondly,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a recreation specialization scale had been developed. Data collected from 9 in-depth interviews and 30 open-ended questionnaires was made into 30 new items. From 6 representative recreation specialization scales, inappropriate and repeated items were screened out and 35 ite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he 65 items were classified into 7 factors through experts discussion. During 2 times panel researches, unclear or redundant 32 items were eliminated among the 65 questions. 33 items were made into a preliminary questionnaire. Thirdly, Data was collected from 120 outdoor recreation participants and 50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question validity. 163 data were u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the mean, the standard deviation, the skewness, and the kurto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33 items which can hinde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reduced to 21 items and the 7 factor-21 item model was developed.

      • KCI등재

        AHP를 활용한 축구선수 선발 방법 비교 연구

        김정준(Kim, Jungjoon),박일혁(Park, Ilhyeok)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선수 선발에서 지도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여 선발하는 방법과 AHP 가중치를 선수 경기력 데이터에 적용하여 선발하는 방법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현직 축구지도자 41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선발 방법으로 선발한 두 개의 선수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선수 평가 점수를 활용하여 선발된 선수 집단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지도자 특성별로 선수 선발에 있어서의 주관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두 가지 방법으로 각각 골키퍼를 제외한 전체 10명의 선수를 선발 하였으며, 두 가지 방법으로 선발된 두 개의 선수 집단에서 동일한 선수가 선발된 인원을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6~7명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발된 선수의 수준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선수 평가 점수인 시즌 평점과 두 가지 선행연구의 선수 평가 점수를 활용하여 t-test를 한 결과 AHP를 활용하여 선발한 선수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두 가지 방법으로 선발한 선수의 차이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지도자 특성별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지도경력과 지도자 자격증 변인에서 집단 간 차이(p<.05)를 나타냈으며, 지도경력이나 지도자 자격증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선발 선수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layer selection in soccer between subjective judgment of the coach and the method of applying AHP weights to the player performance data. We asked 41 soccer coach to select 10 players(excluding goalkeepers) by using the two different methods, and analyzed the level of selected players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evaluation systems. The difference in player selection due to the coach’s character was analyz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es,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of 6 to 7 players out of 10 players selected by the coaches. we performed a t-test with three of player evaluation score. In result, all scores of players selected by using AHP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Finally, we performed ANOVA by coach’s character with the difference of selected players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between groups in coaching experience and coaching license variabl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arters was large in groups with higher coaching experience and higher coaching license.

      • KCI등재

        스포츠활동 특기적성교육이 청소년의 정서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기봉(Gi Bong Lee),박일혁(Il Hyeok Park),진성룡(Sung Ryong Ji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특기적성교육 참가가 정서행동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S시 한 중학교의 1, 3학년 학생 중 스포츠활동 특기적성교육 참여 119명, 비스포츠활동 특기 적성교육 125명, 특기적성교육 비참여 64명 총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특기적성 교육 참가가 정서행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 방법을 이용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수준 α는 .01로 설정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version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이 스포츠활동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것보다 정서행동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물론, 특기적성교육 중에서도 스포츠활동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비스포츠활동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것보다 정서행동발달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의 정서행동발달 중 ‘학습 및 인터넷’, ‘기분 및 자살’, ‘걱정 및 생각’, ‘친구문제’ 요인의 변화에서 스포츠활동 특기적성교육 참가 집단이 비스포츠활동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집단과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스포츠활동 특기 적성교육 참가는 과도한 생각과 걱정, 불안 증상, 우울 및 무력감 등을 감소시키고, 게임중독 성향을 낮추며 긍정적인 친구 관계 변화에도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he after- school sports activity program on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308 middle school students who; (1) participated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y program (n=119), (2) participated in after-school non-sports program (n=125), and (3) do not participated in any program (n=64).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employ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ng after-school sports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nd on reducing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discussed with those of non-sports program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 KCI등재

        MLB 투구기록을 활용한 프로야구 심판의 ‘Strike’ 판정오류 영향 요인 탐색

        황수웅(Hwang, Soowoong),박일혁(Park, Ilhyeok)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MLB 투구기록을 활용하여 프로야구 심판의 ‘Strike’ 판정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독립변수 간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여 심판의 판정오류 발생 확률을 분석하였다. 2019년 메이저리그 정규시즌 경기 자료를 바탕으로 파울, 헛스윙 등에 의해서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올라가는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고, 투수가 투구한 공이 투구추적시스템에서 스트라이크 존에 들어간 111,476개의 투구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111,476개의 투구 중 심판이 스트라이크로 판정한 투구 98,172개는 ‘정분류’, 볼로 판정한 투구 13,304개는 ‘판정오류’로 범주화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한계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메이저리그 심판의 판정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투구된 공의 구종(pitch type), 회전수(spin), 수평적 움직임(horizontal movement), 볼 카운트(ball, strike의 개수), 투수 소속팀의 홈/원정(Home/Away) 구분 변수로 나타났다. 추가로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Spin*pitch_type’, ‘V_movement*Pitch_type’, ‘Strikes*Balls’항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한계효과 분석 결과 원정 팀의 선수가 ‘0Ball-2Strike’상황에서 투구된 공의 회전수, 수평적, 수직적 움직임이 리그 평균을 갖는 직구계열의 공을 던졌을 때 판정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3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같은 조건에서 볼 카운트만 ‘3Ball-0Strike’로 바뀔 경우 심판의 판정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7%를 기록하여, 볼 카운트에 따라서 심판 판정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불공정 판정에 대하여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trike" umpiring error of Major League Baseball umpires. Then we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probability variation of the umpire"s incorrect ‘Strike’ calls. Based on data from the 2019 Major League regular-season games, 111,476 pitches thrown into the pitch-tracking system’s strike zone were set as subjects of study, and the cases increased by fouls and swing-and-miss were excluded. Of the 111,476 pitches, 98,172 pitches judged by the umpire as strikes were classified as ‘Correct decision’, and 13,304 pitches determined to be balls were categorized as ‘umpiring errors’ which were conduc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marginal effects analysis.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umpiring error are the following: Pitch type, Spin, Horizontal movement, the number of ball-strike counts, classification of Home team/Away team for the pitcher. Additionally, interaction effects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in interaction terms "Spin*pitch_type", "V_movement*Pitch_type", and "Strikes*Balls". The analysis of marginal effect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the umpiring error went high at 36% when the away team’s pitcher threw a fastball with the league average spin and movement at a ‘0 Ball-2 Strike’ count. However, when the ball count changed to "3 Ball-0 Strik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probability of the umpiring error dropped to 7%.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bability of an umpire"s to make a miss call greatly varies according to the ball-strike count.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useful baseline data for further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measures against unfair sports umpiring.

      • KCI등재

        혼합연구방법을 이용한 스포츠 경기에서의 공정성 인식 요인 탐색

        권준우(Junwoo Kwon),박일혁(Ilhyeok Park),김남수(Nam-su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엘리트 운동선수들이 본인들이 활동하는 스포츠 종목에서 공정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 요인을 탐색하여 스포츠 분야의 공정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정성 인식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심층면담과 확인적요인분석의 혼합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심층면담은 7명의 운동선수, 심판, 감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위한 설문 자료는 운동선수 21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먼저 심층면담 자료로부터 핵심 개념어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세 개의 공정성 인식 요인을 구조로 하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해 공정성 인식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공정성 인식은 판정에 대한 인식(7문항), 심판에 대한 인식(7문항), 경험에 대한 인식(5문항)으로 총 3요인 19문항의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공정성 인식 척도에 대하여 영역형경쟁종목과 대인격투종목 간 형태동일성과 측정단위동일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of how elite athletes perceive fairness in sports ev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fairness in sports. A mixed method research of in-depth interview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dopted to derive the factors for the recognition of fairnes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ven athletes, judges and coaches, and the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on 210 adult elite athletes. First, key conceptual 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 data, and based on this,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tructure of three factors were develop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recognition of fairness was then explored and validat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recognition of fairness by elite athletes was judged to be appropriate for the model of 19 questions, which are three factors in total: recognition of judgment (7 questions), recognition of referee (7 questions), and recognition of experience (5 questions). In addition, measurement invariance between ball sports and combat and strength sports was confirmed for the fairness recognition scale.

      • KCI등재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타당화 연구

        김영덕(Young Deok Kim),이기봉(Gee Bong Lee),박일혁(Il Hyuk Park),이성운(Sung Woon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Benson(1998)이 제시한 강력한 타당화 프로그램의 2단계 내적구조 검증단계와 3단계 외적구조 검증 단계를 적용하여 최선인 등(2005)의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타당도를 추정하고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수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학생 289명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측정되었다. 내적구조 검증 단계에는 확인적 요인분석(CFA), 일반화가능도 이론(G-theory)이 적용되었으며, 제안된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지수로는 ?확률값, RMSEA, NNFI, CFI, SRMR이 사용되었다. 외적구조 검증단계에는 다중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이 적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295명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추가로 측정되었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제안된 이론적 구조에 충분히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잠재변인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문항들이 발견되었으며 충분히 개념화되지 않은 요인들이 이론 구조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G 연구결과 응답자와 요인간의 상호작용 분산 (30.90%)과 잔차 분산(33.60%)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 연구결과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일반화 가능도 계수는. 73으로 나타났으며, 보다 신뢰롭고 효율적인 검사가 되기 위한 측정조건은 12요인-4문항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 분석 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이론적 구조는 고등학생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제안된 이론 구조는 구성 문항과 요인 등에서 전반적인 문제가 발견되어 신체적 자기개념의 고유한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문항의 수정, 추가, 삭제 그리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한 요인의 재 개념화를 통해 새로운 검사지를 개발한 뒤 이를 다시 재 타당화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연구결과는 향후 새로운 검사지를 개발하는데 있어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이론 구조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alidate the physical self-concept scale for adolescent developed by Choi, et al. (2005) using strong validation program suggested by Benson(1998),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modif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Physical self-concept for adolescen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89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G-theory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applied within structural stage and external stage. An additional physical self-concept of 295 highschool students were measured for multi-group analysis. In the results of CFA, the sample data of our study did not fitted well to the theoretical structure suggested by Choi, et al. (2005). In the G-study, the variance of interaction between the subjects and factors (30.90%) and residual variance (33.60%) were the highest. The most reliable and efficient measurement scale based on the G-theory is 12-factors, 4-item model. The finding from multi-group analysis suggested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 developed upon the sample from middle school students cannot be applied equally to the sample of highschool students. It is discussed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physical self-concept for adolescent developed by Choi, et al. (2005) may not fully reflect the overall concept of physical self-concept since it contains some problematic items and factors. It is suggested that a new measurement scale should be developed under careful and systematic procedures.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D-study is expected to be a useful reference for future study in terms of enhanc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oretical structure of physical self-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