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박인서(InSeoPark),김승재(SeungJaeKim)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를 통한 춤 수업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100명(남학생 84명, 여학생 16명)의 고등학생이며 약 20차시의 댄스스포츠(왈츠, 자이브) 수업이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학생들의 춤 수업에 관한 에세이, 춤 수업에 관한 토론, 학생과의 면담, 연구자의 참여관찰일지이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2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약 3개월이다. 일련의 수업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첫째, 댄스스포츠 수업에 대한 안내 단계에서 대부분의 남학생들은 부정적인 입장을 갖지만 운동기능이 낮은 남학생이나 여학생들은 긍정적 입장을 보인다. 둘째, 댄스스포츠 수업이 시작되자 남·여 학생 모두 춤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진지하게 참여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댄스스포츠 수업에 대하여 몇 가지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넷째, 경연대회를 위하여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활동하였으며 학생, 학부모, 교사들에게 재미있는 교육활동이었다. This case study confirms students’feelings about dance spor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were 100 high school students (84 male, 16 female) who took about 20 dance classes (waltz and jive). Data of this study were students’essay about dance class, discussion about dance class,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researcher’s participational observation. Data-gathering terms were 3months from end of February to middle of May 201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most all boy students expressed negative attitudes about dance sports class, but some boy students had low skill in sports and most girl students expressed a positive position at beginning class. Second, as the class began, most students participated happily and seriously. Third, students expressed five positive observations about dance sports class. Fourth, students participated actively in a schoolwide dance contest, it was an interesting educational activity to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 KCI등재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서사적 정체성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박인서(InSeoPark),김승재(SeungJaeKim)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는 저널쓰기를 통한 서사적 정체성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저널쓰기와 정체성 형성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서사적 정체성 교육과정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는 체육전공 학생 18명(남 16/여2)이며 연구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저널, 저널에 대한 댓글, 토론 내용, 그리고 연구자의 저널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저널을 통하여 드러난 저널쓰기와 정체성 형성과의 관련성은 반성적인 태도, 서사적 사고능력, 그리고 도덕적 태도가 저널에 묘사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서사적 정체성 교육과정은 자신에 대한 서사를 작성하는 저널쓰기, 타인의 서사를 읽고 댓글을 작성하는 저널읽기, 그리고 작성된 저널에 대한 토론하기로 이루어졌다. The current research is a case study on the narrative identity education through journalizing, which has two topics. The first topic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zing and the participants’ identity formation. The second topic is to introduce narrative identity education curriculu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16 males and 2 females). The data collected for the current study were participants’ journals, peer-responses on journals, discussions, and the researcher’s journ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zing and identity formation discovered from the analysis of participants’ journals was that the participants’ reflective attitudes, narrative thinking skills, and moral attitudes were described in the their journals. The curriculum of narrative identity education introduced in the current study consisted of the participants’ writing journals about their own narrative, reading others’ narrative journals and providing peer-responses, and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about the journals written by other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재즈 댄스 수업과 인성교육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인서(InSeoPark)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6

        본 연구는 재즈 댄스 수업이 학생들의 인성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내러티브 탐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11명(남 174/여 37)의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며, 그들은 1학기 동안 1주일에 1시간씩 재즈 댄스 수업을 받았다. 본 연구의 현장 텍스트는 교사의 일기, 학생들의 재즈 댄스 수업에 대한 에세이, 그리고 학생들과의 인터뷰이다. 연구텍스트 구성을 위하여 에세이에 대한 약호화, 범주화, 그리고 범주화된 자료에 대한 인터뷰를 통한 검증 과정이 이루어졌다. 재즈 댄스 수업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즈 댄스 수업만의 독특한 수업과정과 학생들의 춤 실력 향상은 학생들의 자신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재즈 댄스 수업은 바른 태도와 열린 마음과 같은 긍정적 사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 셋째, 타인과의 경쟁이 아닌 자신에게만 집중하는 재즈 댄스의 특성으로 인하여 자아를 성찰할 수 있었다. 넷째, 재즈 댄스 수업은 경쟁하지 않고 서로를 인정하며 협동하는 사회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춤 수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춤 수업을 이끌어 가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는 춤 수업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학생들의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논리와 설득력을 갖춰야 하며, 학생들이 춤 수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와 칭찬을 제공하여야 한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to confirm the influence for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jazz dance clas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1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174 males and 37 females), who were taught jazz dance for 1 hour per week during the 1st semester. The field texts used for this study consist of teacher’s diary of classes, students’ essays about the jazz dance classes,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In order to interpret the impacts of jazz dance classes on character education, students' essays about the classes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subject and the materials were ver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The impacts of jazz dance classes on character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unique exercises in jazz dance classes and improved dance skills enhanced self-confidence. Secondly, the jazz dance classes evoked positive thinking such as right attitude and open mind. Thirdly, they also have time to reflect on themselves because they didn’t need to focus on others whilst they were dancing. Lastly, the jazz dance classes enhanced students’ social skills as they were required to have less of a competitive spirit and therefore they c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I also believe teachers have a significant role to make successful dance classes. Teachers should have not only logical and persuasive power to change students’ opinion of dance classes, but they also should give encouragement and positive feedback to students in order to make them participate in the jazz dance classes actively.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과학고등학교 구성원과 체육교사의 체육에 관한 내러티브

        김승재(SeungJaeKim),박인서(InSeoPark)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4

        이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구성원들의 체육에 대한 관념과 그것을 경험하고 해석하는 체육교사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연구자의 인터넷 사이트의 글, 학생 에세이, 학생면담 등이다. 자료의 분석은 내러티브 탐구의 일반화된 자료 분석 방법인 귀납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하여 동료간 협의, 구성원 검토의 다각도의 검정 과정을 거쳤다. 연구 텍스트는 이야기하기, 다시 살아내기, 다시 이야기하기의 3단 구성을 하였다. <이야기하기>에서는 교사의 눈에 비친 학교 각 구성원들의 체육에 대한 관념을 이야기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학업향상과 진학을 위한 학습 시간 확보를 위하여 운동을 자제하며, 운동은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학부모는 신체활동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대학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적극적 신체 활동을 주저한다. 셋째, 교사들은 대학 진학에 필요한 교육 목표를 우선 추구하며 교육의 본질을 간과하고 있다. 넷째, 학교 운영의 결정권자로서 교장의 철학에 따라 학교 교육 방향이 결정된다. <다시 살아내기>에서는 <이야기하기>에서 묘사하였던 경험과 해석에 대한 교사의 반성과 성찰을, <다시 이야기하기>에서는 좋은 체육교사의 모습을 찾고자 하는 교사를 이야기하였다. This study is narrative inquiry on science high school members' notions of P.E (physical education) and a P.E. teacher's interpretation of them. Writings on the internet, students' essays, interviews with students belong to the data of this study. Inductive method, a general method in narrative inquiry is used for the analysis and various verification process like peer debriefing and member check are carried out for trustworthiness. The research text consists of three parts, which are telling, reliving and retelling. In the telling part, science high school members' notions in the eyes of a P.E. teacher are described and these can be summed up like this: First, students tend to refrain from doing exercise to ensure time for their learning and they think physical activities could be an obstacle for study. Second, parents agree that phys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for their children but they showed hesitation about active physical activities due to their children’s burden of learning including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ird, teachers have a tendency to neglect the educational essentials while emphasizing preferential pursu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relative to going on to university. Forth,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a principal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execution. In the reliving part, it describes a P.E teacher's reflection about the experiences and interpretation previously described in the telling part. In the retelling part, a P.E. teacher who seeks after desirable P.E. teacher's character is narrated.

      • KCI등재

        중초교사 10년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지헌(JiHunKim),김승재(SeungJaeKim),박인서(InSeoPark)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1

        본 연구는 약 10여년 중초교사로 살아온 중등 체육과 출신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하여 그들의 삶을 그려내고자 하는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의 현장 텍스트는 심층면담을 통하여 주로 수집되었으며 전사한 자료는 A4용지 280매이다. 자료에 대한 연구 텍스트로의 재구성을 위한 분석은 Connelly & Clandinin(2000)의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와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들의 이야기는 <입문의 시기>, <정착의 시기>, <성장의 시기>로 구성하였다. <입문의 시기>의 중초교사들은 직업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정규교사 임용에 대한 기쁨이 있었지만, 중초교사라는 꼬리표를 달아야 했고 그것을 떼어내기 위하여 노력과 열정, 오기, 수용의 전략을 사용하였다. <정착의 시기>에는 담임교사의 역할, 학급의 학생에 대한 사랑, 체육교육에 있어서의 전문가, 그리고 멘토 역할을 해 준 동료와의 만남이 그들의 초등 교직 사회에 대한 적응을 도왔다. <성장의 시기>의 중초교사들은 대학원 공부와 더불어 차별화된 영역에서의 능력계발로 초등교직 사회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였으며, 나아가 승진에 대한 미래 계획을 구상하고 있었다. 또한 보편적인 교사들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등 체육교사를 동경하는 몇몇 중초교사가 있음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n dual-licens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from physical education college for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narratives about their life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Most of the field texts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mounting to 280 pages of A4 sized texts. In order to reconstruct the field texts to the research texts, Connelly & Clandinin`s methods and procedures of narrative inquiry were used. The narratives of the teachers consist of three main parts as follows: Entrance Period, Settlement Period, and Growth Period. During the Entrance Period, the teachers enjoyed the happiness of becoming a regular teacher and having job stability, but at the same time they had to endure being labelled double-licensed teachers and struggle to overcome it by making more efforts, having stronger passion or unyielding sprit, and sometimes accepting it.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the teachers remarked that they successfully adapted themselves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profession thanks to the recognition of their roles as a homeroom teacher, and an expert in physical education, the affection for their students, and coworkers who helped them as their mentors. During the Growth Period, the teachers solidified their posi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profession by studying at graduate schools, developing their abilities in other differentiated fields, and moreover planning to gain promotion in the future. But there are some teachers mentioned that they still longed for the teaching at second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