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지 예산제도 디커플링(Decoupling) 영향요인 분석

        박은순(Park, Eunsoon),하태수(Ha, Taesoo)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2

        이 글은 성인지 예산제도가 국가의 주도하에 시행되고 있고 해마다 대상사업 건수와 예산규모가 표면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실효성은 아직 크게 제고되지 못하고 있는 현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동안 성인지 예산제도의 정착 및 발전방향을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제도의 실질적 활용방안 마련에 기여하였지만, 여전히 국가 성평등 제고에 기여하거나 그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현재의 성인지예산제도 운영을 형식적 제도와 현실적 운영 사이에서 간극이 발생하는 디커플링(decoupling) 현상으로 인식하고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성인지 예산제도의 디커플링 현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산도입(편성) 단계, 예산심의 단계, 예산집행 단계로 나누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예산도입(편성) 단계에서는 공무원의 ‘업무 관련 인센티브 부재’와 ‘감사체계 부재’가 디커플링을 초래하며, 예산심의 단계에서는 ‘의원들의 성인지 감수성 부재’와 ‘여성가족부의 정치적 동력 부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 예산집행 단계에서는 ‘전담기구의 부재’와 ‘구체적 매뉴얼 부족’이 디커플링 현상을 초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n that the Gender Budget has been being implemented under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and the number of programs and the overall size of budget has increased but its effectiveness is not yet noticeably improved. Many researches have been underway to find ways for the institution to settle down and progress and contributed to arrange substantial implementation methods, but they didn"t contribute to improve gender equality and are still short of measuring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This research recognized the implementation of the institution as a decoupling between formal institution and realistic operation and tried to analyze the cause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It divided the impact factors of the decoupling into three stages following a budgeting process, budget formation, budget deliberation, and budget implementation. In summary, in the budget formation stage, the absence of incentives for civil servants concerned and the lack of audit system caused decoupling phenomena. In the budget deliberation state, the absence of gender sense of lawmakers and the lack of political power of the Department of Women and Family led to the phenomena. In the budget implementation stage, the absence of the apparatus taking complete charge of the institution and the lack of detailed manuals caused the phenomena.

      • KCI등재
      • KCI등재

        朝鮮時代의 樓亭文化와 實景山水畵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0·251

        조선시대의 예술을 말할 때 흔히 詩畵-致, 詩書畵 三絶을 거론한다. 생각과 사상, 학문과 예술, 그리고 실천이 일치되고 통합되는 것을 지향한 조선 선비들의 삶이 이러한 경향을 초래한 것이다. 이 글에서 정리한 누정산수화도 결국 조선시대 선비들이 가졌던 知行合-의 철학과 사상이 시각예술로서 표출된 산물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성리학적 사상을 삶 속에서 구현하는 것을 중시한 선비들은 天地人, 天人合-의 성리학적 이상을 자연을 관조하거나, 그 가운데서 노닐면서 실천하였다. 누정이 조선시대 내내 적극적으로 건축, 경영된 것은 바로 성리학적 철학과 사상을 표상하는 건축물이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조선시대에는 누정을 중심으로 樓亭文化, 樓亭文學, 樓亭山水畵라고 하는 독특한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가운데 누정산수화란 필자가 처음 제기한 용어로서 조선시대 그림 중 누정과 그 주변의 경관을 재현한 실경산수화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누정산수화는 국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온 누정문화와 누정문학의 개념이 시서화삼절, 文史哲의 종합을 중시한 이 시대의 경향에 따라 그림으로 전이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누정산수화가 누정의 사회정치적 기능과 상징성을 반영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았고, 이를 토대로 누정산수화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각 유형의 누정산수화는 누정의 정치사회적, 문화적 기능과 상징성이 변화하면서 차차로 형성되었다. 누정산수화에는 누정에서 보이는 경치를 표현하는 敍景的인 요소와 누정산수화가 그려지게된 계기를 시사하거나 누정산수화 제작의 동기 및 목적을 시사하는 敍事的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서경의 요소는 화면 속에 등장하는 경물 및 소재의 종류 등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고, 서사적인 요소는 그림 안에 표현된 여러 요소들을 통하여 시사되거나, 또는 그림에 쓰인 제목이나 畵題, 참석자들의 면면을 기록한 座目, 그림과 관련된 여러 기록 등을 토대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기초로 하여 필자는 누정산수화를 조선초기에 시작된, 관료들의 契會를 그런 누정산수화, 전국 각지의 승경처에 지어진 공적인 누정, 즉 公?를 그린 누정산수화, 개인의 소유지에 세워진 私亭을 그린 누정산수화로 나누어 보았고, 각 유형이 표상한 의미와 상징, 화풍의 특징을 구명하여 보았다. 누정산수화는 조선 초부터 말까지 꾸준히 그려진, 실경산수화의 한 분야로서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의 성격과 특징을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Any study of Korean art of the Joseon period usually involves a discussion of such terms as sibwa ilcbi ("the correspondence between poetry and painting") and samjeol ("the three perfections"), or the three genre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se distinctive features of art reflect the lifestyle of Joseon's Confucian elite, who searched for a correspondence between and the integration of ideas, scholarship, the arts and practice. The Nujeong (lit. "lofty pavilion") landscapes discussed in this study were also a genre of painting that materialized through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jibaeng habit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herished by Joseon's Confucian literati. Neo-Confucian scholars were keenly interested in transforming Neo-Confucian teachings into reality, and spent their lives contemplating the means to realize the ideal states of cbeonjiin ("heaven, earth and humanity") and cbeonin habit ("unity of heaven and humanity"). Joseon's Neo-Confucian elite continued to be active in the building and running of pavilions (nujeong) because they realized that these architectural structures served as ideal representations of their philosophy. Their love of pavilions eventually led to the birth of the distinctive cultural phenomena now known as Nujeong Culture, Nujeong literature, and Nujeong landscapes. As a term recently introduced by the author of this study, Nujeong Landscapes refers to the silgyeong ("real") landscape paintings of Joseon, in which a pavilion and the scenic landscapes around it were depicted. The landscape paintings classified into this genre are a result of the widespread interest among modem academic circles in the integration of poetry and painting (sihwa),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siseobwa samjeol), an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munsacbeol) in the areas of Nujeong Culture and Nujeong Literature. In this essay. I conclude that the Nujeong landscapes were formed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 socio-political functions and symbolism of these "lofty pavilions" in Joseon society, and classify the remaining works into three categories The paintings in each category reflect the gradual changes which occurred over time in terms of the functions and symbolic nature of the pavilions. A typical nujeong landscape painting contains the element of seogyeong ("landscape depiction"). whereby the painter would capture a scenic view as seen from a pavilion, and the element of seosa ("event depiction"), which revealed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e painting. A viewer can perceive the first element through the painting techniques employed by the painter, and the second through the individual subject matters captured in the painting, along with the postscript written on the painting, which typically contained a title, prayer, and a li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occasion captured by the painting. After an extensive study of the elements in the remaining nujeong paintings, I classified them into three groups; gyeboe ("literary gathering"), gongcheong ("public building"), and sajeong ("private pavilion") nujeong paintings and then discussed the symbolic nature of the works in each category.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t genres developed in Korea, the Nujeong landscape paintings were produced from the early days of Joseon to the very last days of the dynasty, reflecting and defin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ilgyeong landscapes in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 일반직 공무원의 행복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수원시공무원을 대상으로

        박은순 ( Eunsoon Park ),임혜경 ( Haekyoung Lim ),하태수 ( Taesoo Ha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9 국가정책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일반직 공무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행복의 영향요인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행복감은 심리적 안녕감, 전반적 행복감 2가지로 구분하였다.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은 여러 연구에서 발표된 행복결정요인 연구들을 참고하여 총 43개 항목을 변수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과 전반적 행복감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직업만족 요인, 건강운동문화 요인, 긍정적 성격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공통영향요인을 제외하고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는 재교육이, 전반적 행복감의 경우는 일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임을 검증하였다. 그에 따라 운동동아리 지원책, 문화활동지원 컨텐츠 개발 및 실질적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원, 상시적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nse of happiness of the civil servants of a basic local autonomy entity. Ba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preceding studies on the factors, it categorizes the sense of happiness in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verall happiness. It also set 43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made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 survey in Suwon City government. As a result, it discovered that work and job satisfaction,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nd positive personality affect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verall happiness. In addition, it identified that reeducatio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 stress influences on overall happiness. On basis of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city government managers to provide various supports for physical exercise circles, cultural activities, and mind healings of civil servants.

      • KCI등재

        에도시대[江戶時代] 朝鮮 繪畵의 收藏과 鑑評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40

        이번 연구는 한일 회화교류에 대한 연속적인 2차 연도 연구 중 두 번째 논문으로서 에도시대 19세기 중 일본과 조선의 회화 교류와 소통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增訂古畵備考』 중 50권과 51권에 수록된 「高麗朝鮮書畵傳」(이하 서화전이라 함.)을 중심으로 19세기 일본에서 유통되던 한국 서화의 정보와 이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및 평가 등을 검토하였다. 본고에서는 특히 일본의 상황과 조건을 전제로 한일 회화교류의 문제를 접근하는 방법론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서 한국 측의 입장과 시각을 강조하여 온 그간의 연구를 넘어서 한일회화교류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더하고자 하였다. 먼저 서화전에 수록된 고려와 조선 회화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수록된 주요한 작품과 기록을 제공하거나 수장한 일본의 수장가 및 수장처를 발췌하여 1. 가노파 인사, 2. 개인 수장가, 3. 다이묘, 4. 사찰, 5. 출판물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에도지역에서 활동하던 서화전의 著者가 한국 관련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였고, 다양한 계층의 인사들을 접촉하였으며, 에도 뿐 아니라 조선과의 교류가 많았던 지역이나 수장처의 자료를 적극적으로 수집한 것을 확인하였다. 서화전의 저자가 가노파[狩野派]와 긴밀한 관계를 가졌던 배경에서인지 수장가 및 수장처의 경우에도 가노파와 관련된 사례가 많았다. 개인 수장가의 경우에는 原本 『古畵備考』의 정보 제공자들 중 주요한 인사들이 서화전의 정보 제공자, 또는 수장가로서 인용되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개인들이 인용되었다. 조선과의 교류가 많았던 지방의 다이묘들과 에도 및 지방의 여러 사찰들도 주요한 수장가 및 수장처 역할을 하였다. 다이묘와 사찰의 수장품들은 작품의 수준이나 중요도 면에서 주목할 만한 경우가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회화의 작가, 국적, 화풍, 진위 등을 거론한 감평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대표적인 사례를 고찰하면서 감평의 양상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감평의 경우에도 가노파 관련 인사 및 수장가의 의견을 인용한 사례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작가나 국적, 화풍에 대한 서화전 저자의 의견이 인용된 기존의 견해와 다를 경우에는 기존의 의견과 저자의 의견을 함께 수록하여 감평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저자는 화풍이나 기법 뿐 아니라 관서의 서체, 도장의 진위 문제 등도 거론하면서 본격적인 감정을 하기도 하였다. 에도시대에 유행한 古畵趣味를 배경으로 숙련된 감식안과 기준을 가졌던 서화전의 저자는 한국 관련 서화 정보를 발췌하고 작품을 평가, 감정하는 데 있어서 전문가로서의 기량을 발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화전에 수록된 작가, 국적, 화풍 등에 대한 논의를 현재의 시점에서 분석하여 보면 때로는 잘못된 판단과 불충분한 정보를 제시한 경우들도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에도시대 19세기 중 한국회화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상황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곧 서화전의 특징인 동시에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서화에 대한 서화전의 정보를 인용하거나 활용하려는 경우 서화전이 가지는 이와 같은 특징을 감안하여 비판적으로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second in series of a research on the cultural exchange of painting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etails of cultur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that took place during the Edo period. Firstly, the study is based upon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Goryo and Joseon periods”, included in Vol. 50 and Vol. 51 of The Revisied Version of the Records on Old Paintings 『增訂古畵備考』. It focuses on information and reputa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Japan.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Goryo and Joseon periods” includes calligraphy and paintings of Goryo and Joseon, or records of them and representative collectors and collections of Japan, suggested and organiz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1. Gano school members, 2. Personal collectors, 3. Daimyos 4. Temples, 5. Publication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act that the author, who’s active mainly in Edo, collected a wide variety of materials related to Korea, contacted with people of diverse classes, and actively gathered materials from regions or collections that made frequent connections with Joseon. Furthermore, possibly owing to the fact that the author of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Koryo and Joseon periods” made intimate realtionships with the Gano school, collections and collectors were often linked to the Gano school. Some private collectors were overlapped with information providers of the original The Notes of Old Paintings 『古畵備考』. Some daimyos of regions that had frequent relationships with Joseon took the role of collectors at the same time. Various temples provided important collections as well. These collections or collectors were worthy of notice in terms of importance or quality. Secondly, criticisms on the artist, nationality, painting style, authenticity of Korean calligraphy and painting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ir aspects and characteristics are suggested upon analysis of representative cases. Opinions of Gano School personnels were also referenced often in criticism on paintings. The author’s opinion was suggested along with ideas of other critics, in order to secure objectivity. The calligraphic characteristic of a sign and the authenticity of a seal were also a subject of discussion in some cases of these criticisms. The author of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Goryo and Joseon periods”, who had a sophisticated standard of criticism on paintings owing to the trend of tasting old paintings during the Edo period. He was able to perform professional criticism upon evaluation and appraisal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related to Korea. However, some of the included discussions seem misjudged to the perspective of present standards. Moreover, some cases of criticism seems to be inadequately supported as well. This means the limit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19th century Edo period and at the same time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Goryo and Joseon periods”. When one refers the information on Korean paintings and calligraphy included in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Koryo and Joseon periods”, it is important to take notice of this limitation and characteristic.

      • KCI등재

        일본 오가타가尾形家 소장 강희안(姜希顏)의 묵죽도(墨竹圖) 모사본(模寫本)에 대한 연구

        박은순 ( Park Eunsoon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6

        본 연구에서는 일본 에도시대 중 규슈 후쿠오카한에 소속되어 활동한 대표적인 어용화가집단인 오가타가에 전해진 묵죽도 모사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오가타가에는 4700 여점이나 되는 회화자료들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그 중 『增訂古畫備考』 「高麗朝鮮書畫傳」에 실려 있는 것과 같은 畫題가 기록된 묵죽도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묵죽도와 「고려조선서화전」의 기록을 면밀하게 비교, 검토하면서 묵죽도에 관련된 주요한 사실들을 구명하였다. 오가타가는 에도가노江戶狩野派의 문하에서 학습하고 가노파의 관습을 따르던 화파였다. 에도가노파의 창시자인 가노 단유狩野探幽는 회화감정가이자 화가로서 활동하면서 수많은 중국, 일본, 한국 그림들을 보았고, 중요한 작품들을 모사한 축도를 만들어 畫本으로 삼거나 전수하는 관례를 만들어 이후 가노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지방에서 활동하던 오가타가에 소장된 회화자료들도 이러한 성격의 자료들로 여겨지고 있는데 그 중 묵죽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 묵죽도는 강희안의 묵죽도 원본을 보고 그린 축도로 여겨지는데, 일본에서 이 작품이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축도로서 제작된 것은 에도시대 중에 북송 소식의 작품으로 전래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오가타가의 묵죽도에는 제화시가 기록되어 있는데 제시의 끝 부분에 ‘剛中’이라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증정고화비고』 「고려조선서화전」에 ‘강중’이란 항목이 있고, 여기에 오가타가의 묵죽도에 기록된 것과 같은 시가 수록되어 있다. 「고려조선서화전」에는 이 시와 함께 두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다른 한 작품에 대한 제시가 포함되어 있고, 두 작품이 조선 국왕의 수장품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을 통해서 이 작품이 한국 작품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강중이란 인물은 15세기에 활동한 유명한 사대부 문인인 徐居正이 강중이란 자를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가타가의 묵죽도에 기록된 제시 중에 菁川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이 청천이 조선 초의 사대부화가 강희안의 別號이고, 서거정과 강희안이 막역하게 교류하였으며, 서거정이 강희안의 대나무 그림에 대해서 여러 번 기록하였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강희안은 조선 초의 대표적인 사대부화가로서 시서화 삼절로 높은 평을 받았다. 서거정의 제시에는 강희안의 작품을 趙孟頫에 비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조선 전반기에 松雪體가 유행하였을 뿐 아니라 조맹부의 죽도에 대한 기록들도 적지 않게 전해지고 있다. 오가타가의 묵죽도 모사본은 조맹부의 죽도와 화풍 상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다. 한편 오가타가의 묵죽도 모사본이 구성과 소재, 필묵법, 石法등에 있어서 조선 중기 묵죽의 대가인 李霆의 작품과 화풍상 유사점이 있어 보이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일본에 전하는 강희안 관련 묵죽도 모사본을 발굴하여 여러 기록과 비교, 고찰하면서 이 작품이 일본에 전래된 조선 초기 묵죽도를 토대로 제작된 작품이고, 구체적으로는 강희안의 묵죽도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구명하였다. 앞으로 이를 토대로 조선 초기 묵죽도 및 강희안의 묵죽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Ogata family is an official painter group served for the Hukuoka han in the present Kushu area during the Edo period. The family inherited 4700 pieces of painting materials to this day. The collection includes an ink bamboo painting inscribed with poetry that is also enlisted in the Revised Version of the Record of Old painting ,“Records on the painting and callifgraphy of Koryo and Joseon Dynast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oetry written on the bamboo painting and the records in“Records on the painting and callifgraphy of Koryo and Joseon Dynasty”. The founder of the Edo Kano school, Kano Tanyu was an appraiser and a painter. He invented an artistic convention of making small copies of important paintings and used them as painting manuals. Paintings of China, Japan, and Korea that Kano Tanyu had recorded were descended upon painters of the Kano school, influencing them significantly. Since the Ogata family belonged to the Edo Kano school, they followed the tradition and teachings of the Kano school. Therefore, painting materials kept by the Ogata family, including their collection of an ink bamboo painting, also display the above 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 of Kano school. This ink bamboo painting, a sketch copies a work by Gang Huian, a famous Korean literary painter active in the 15th century. It wa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piece of painting during the Edo period in Japan, because it was mistakenly perceived as a painting by Shu Shi of the Nothern Sung dynasty. The poetry written on the ink bamboo painting possesed by the Ogata family includes the term ‘Kangjung’. Interestingly,“Records on the painting and calligraphy of Koryo and Joseon Dynasty”in the Revised Version of the Record of Old painting , written in the 19th century, contains the‘Kangjung’ catagory, and upon it records the identical poetry. Kangjung is the Korean literary bureaucrat Seo Geojeong, who was active in the 15th century. The term of‘Cheongcheon’, was included in the record of “Records on the painting and calligraphy of Koryo and Joseon Dynasty” and the poetry in the Ogata family’s bamboo sketch. The fact that the term is a Gang Huian’s hao, a pen name is also confirmed. Seo Geojeong and Gang Huian, two representative literati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teracted closely, and Seo Geojeong recorded multiple times on Gang Huian's bamboo paintings. Gang Huian often represented paintings of bamboo. Seo Geojeong compared Gang Huian’s bamboo with Chao Mengfu, a famous literary painter of the Yuan Dynasty. Chao Mengfu’s style of calligraphy was popular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Gang Huian was excellent in that calligraphic style. More than few recordings of Chao Mengfu’s bamboo painting still remain. However, the bamboo painting of the Ogata family sho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Chao Mengfu’s bamboo paintings. Meanwhile the fact that the ink bamboo painting of the Ogata family exhibits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Yi Jeong, a master of bamboo painting who was active in the early 17th century Joseon, in terms of composition and motives, techniques of brush and ink, and the way of describing stones, is also worthy of taking notice.

      • KCI등재

        謙齋 鄭敾의 寫意山水畵 연구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4

        본고에서는 겸재 정선이 제작한 詩意圖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시의도는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경향으로 주목되는 회화분야로서 크게는 사의산수화의 한 경향이다. 정선은 진경산수화의 대가로서 높은 명성을 누렸지만, 평생동안 꾸준히 사의산수화도 제작하면서 진경과 사의의 경계를 넘나드는 畫境을 추구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정선이 제작한 시의도의 전반적인 면모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존하는 시의도 관련 기록과 작품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정선이 陶潛의 「歸去來辭」를 토대로 한 시의도를 지속적으로 제작하였고, 그 이후의 시로는 唐詩를 자주 인용하였으며, 宋詩나 明詩, 朝鮮詩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으로 인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중에서도 半官半隱을 추구한 王維의 시를 가장 자주 인용하였는데, 이는 관직에 있으면서도 脫俗을 추구했던 왕유의 삶을 추앙하고, 이를 현실 속에서 실천하려고 하였던 이 시기 조선 사대부 선비들의 心想을 시사하는 현상이다. 이후에는 정선의 생애 주기에 따른 시의도의 제작양상과 시의도의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였다. 정선의 시의도 관련 활동은 3,40대 중년기로부터 확인되는데, 왕유와 관련된 기록이 많았다. 이 시기의 시의도로서 현존하는 작품은 거의 없지만, 30대부터 진경을 그릴 때 시적인 畫意를 담아내려고 하였던 만큼 시의도에 대한 관심은 젊은 시절부터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선의 시의도와 관련하여 가장 많은 작품과 기록이 전해지는 시기는 개성적인 화풍과 화경이 정립된 5,60대인 노년기이다. 이 시기에 정선은 진경산수화를 그릴 때 시 의도의 성격을 가미하거나, 시의도를 그릴 때 진경산수화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등 진경과 사의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창작에 임하였다. 시적인 이상이 곧 현실적 속에서 이루어진 것을 시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선은 말년기에도 독자적인 경지를 모색하며 시의도를 꾸준히 제작하였다. 《사공도시품첩》, 王守仁의 明詩 등 중년기나 이후 다른 화가들이 다루지 않은 시를 표현하는 등 독창적인 면모를 드러내었다. 말년기에는 화풍이 도식화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진경산수화와 사의산수화 양 방면에서 모두 나타났다. 특히 진경산수화의 화풍과 기법이 시의도 속에 혼효되는 일이 잦아졌다. 정선은 진경과 사의를 넘나들면서 현실 속의 이상, 이상에 대한 지향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si-eui-do, 詩意圖(poetic painting) by Jeong Seon(1676-1759). Though Jeong Seon is well recognized as a master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his imagery stretched beyond it. The preceding contents of this article is a catalogue of existing records and works on poetic painting by Jeon Seon. It suggests that Jeong Seon quoted preferably from poems of Tang period, and quite reluctantly from Sung, Ming, and Korean poems. Wang Wei’s poems were most often quoted. The liking of such mirrors the images of the mind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18th century, valuing the lifestyle of Wang Wei. In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Jeong Seon’s poetic painting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specific time periods. Considering that his effort to dissolve poetic images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started in his 30’s, it can be assumed that Jeong Seon had interest in poetic painting from his earlier days. In his elderly years from 50’s to 60’s, Jeong Seon firmly established his imagery and painting style. His works of true-view landscape were imbued with attributes of poetry, and of course, the reverse as well, an implication of poetic ideals taking place in reality. Jeong Seon’s dedication to poetic paintings did not wither in his 70’s and 80’s, more later years. Though his effort, as referencing poetry neglected by other painters, resulted originality, both Jeong Seon’s true-view landscape and poetic painting started to show stereotyped painting styles. Jeong Seon yearned for realization of ideals, through his imageries of true-view landscape and poetic painting. His life was a tireless search for the ideal which was expected to be realized in reality.

      • A Note on Hyperinvariance

        Park,Eunsoon 울산대학교 1980 연구논문집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무한복소 Hilbert 공간에서 한 유계선형변환의 불변부분공간들이 초불변부분공간이 될 충분조건과 세가지 유형의 초불변부분공간을 소개하였다. In this paper, several sufficient conditions for hyperinvariance and three hyperinvariant subspaces are introduced. If A is reductive operator, then A can be written as a direct sum A₁?? A₂ where A₁ is normal, A₂ is reductive and all the invariant subspaces of A₂ are hypervariant. More generally, if A be an operator, there exist two types of hyperinvariant subspaces ??(F) and S??(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