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영역화 및 우선순위

        박은송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2

        In general, curricula for the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development models, academic skill approaches, and functional curricula. Although these curricula have been traditionally applied to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indicated these curricula were not suitable to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ecological approaches as a way to substitute or complement these curricula. Ecological approaches are designed to have the students prepared so that they can live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in diverse present and future environments in the communities where they live. To this end, the skills necessary for each of the students to live in his/her home, school, and community shall be first selected and taught to them in actual environments. The actions required to achieve this purpose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he ecological curricula areas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should be territorialized; second, the ecological inventories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shall be prioritized; third, the ecological inventory areas and priority inventories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should be presen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3 persons selected from teachers at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ave sound knowledge of the curricula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ents, workers in organizations relat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distribution of the participants by group was as follows; 110 teachers (27.3%), 110 parents (27.3%), 87 workers in organizations relat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21.6%), 96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23.8%).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ecological inventory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consisting of 96 questions in four areas including leisure/entertainment (14 questions), housework/home (44 questions), community (21 questions), and occupation (17 ques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e-mails, mail, and personal visits, and were collected in the same methods.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2.0 for Windows and the AMOS 7.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study. First, the ecological inventory areas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were indicated to be 18 inventories in the area of home/housework; 16 inventories in the area of occupation; 20 inventories in the area of community; 8 inventories in the area of hygiene; 11 inventories in the area of leisure; and 9 inventories in the area of safety. Second, the priority inventories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by ecological inventory area, within each of the areas and for all the area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iority inventories by ecological inventory are were indicated to be hygiene; safety; ; leisure; community; and home/housework in this order of precedence. Third, and in conclusion, the authors six ecological inventory areas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also schematized and presented the priority inventories by ecological inventory area, within each of the areas and for all the areas thereby proposing a frame for developing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생태학적 목록을 영역화하고, 교수목표를 결정하기 위해 교육과정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목록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지체장애학교 교육과정 구성과 관련이 깊은 네 그룹 즉, 지체장애학교 교사, 학부모, 지체장애 관련 기관 종사자 및 성인 지체장애인으로 총 403명을 목적표집 방법에 의해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에 관한 조사지」로서, ① 여가/오락(14문항), ② 가사/가정(44문항), ③ 지역사회(21문항), ④ 직업(17문항)의 4개 영역 9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v.12.0 for Windows)와 AMOS(v.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영역과 우선순위는 위생 영역(8개), 안전 영역(9개), 직업 영역(16개), 여가 영역(11개), 지역사회 영역( 20개), 가정/가사 영역(18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태학적 목록의 전체 우선순위는 ‘대소변 처리하기’, ‘몸의 청결 유지하기’, ‘화장실 사용하기’, ‘아프거나 다쳤을 때 어른에게 알리기’, ‘양치하기’, ‘세수하기’, ‘안전 규칙 지키기’, ‘응급/비상 상황에 대처하기’, ‘옷 입기/벗기’, ‘성적인 학대 피하기/알리기’ 등의 순으로 위생 영역과 안전 영역의 생태학적 목록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비추어 본다면, 중도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위생 영역과 안전 영역에 대해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의 과정과 어려움

        박은송,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2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s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nactment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ir teaching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tal of 17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swered offline survey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y perceive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nd how they actually enact it during their actual instructional planning. As a result of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all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implement these activities considerably as much as they perceiv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challenges in managing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in terms of learning objectives,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instructional adaptation, evaluation, and teacher reflection. The implications for not only instructional design but also teaching and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천정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수업설계과정을 조사하여 지체장애 특성을 고려한 실제적인 지원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 175명을 목적 표집 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수업설계의 각 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정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수업설계는 학생 현행수준 및 요구분석-교육과정분석-교육내용선정 및 수업 목표설정-학생수준별 목표설정-수업모형 및 교수학습방법계획-형성평가-돌발 상황 대비의 7단계로 수행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업설계를 하면서 학습목표의 설정, 교수·학습 활동의 계획, 수업자료의 선정 및 제작, 수업 실행, 개별화된 교수적 지원, 교육성과의 평가, 수업개선 노력 등에서 상당한 도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장애학생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수업설계과정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앞으로 지체장애 특수교육에서 실천해 나가야 할 수업설계에 대한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공적인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방향성 탐색

        박은송,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Current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classes in Korea focus mainly o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yet measures for this are not sufficient.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of measures to help such students'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reconstitution of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regard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was conducted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transition program and curriculum for disabled students to the society was analyzed. Seco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garding adaptation and social skills test tools was analyzed. Third,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model that reconstituted the transition education within 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proposed 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work for discussions on the transition educ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course and other general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하기 위해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적응행동검사 도구 및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를 Snell과 Brown(2006)의 개별화 전환교육프로그램 진단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및 적응행동검사 도구에 포함된 진로교육의 영역은 가정생활,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직업생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의 영역은 개인생활영역은 하위영역이 11개, 지역사회생활은 3개, 여가활동에 2개, 직업생활영역에 5개로 영역 간 불균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향후 생태학적 모델에 입각하여 미래 사회에서 조화롭게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성인기에 요구되는 4개의 영역과 내용요소로 구성해야 한다. 교육활동목록은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는 학생 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 적용이라는 진로·직업교육의 재개념화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 KCI등재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변화 분석

        박은송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 of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after completing their practice by gender, year of practice, and prior field experience. This study also intends to collect information that should be referred to regarding teaching practice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cluding universities and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understanding of students, roles of guid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establishment of a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ducational field experience. In all of the five categor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year of pract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tegory of roles of guidance teachers by prior field experience. In addition, there were suggestions that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should offer systematic and well-organized training courses and that the short period of teaching practice and conveniences for trainees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then discussed the improvements that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are expected to make for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이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교육실습을 마친 후 교육실습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 사전실습 기간, 실습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며,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 기관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에 있어서 교원양성대학과 교육실습 기관 즉,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육실습 시 반영해야 할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설문지 문항은 학생이해, 지도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의 이해, 교직관 확립, 교직실무 경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다섯 영역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며, 교육실습연도별 차이 검증에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교육실습 이전의 사전 실습 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지도교사의 역할 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 실습생들의 교육실습기관에 대한 요구는 체계적이고 짜임새 있는 교육실습지도계획이 바람직하며, 교육실습 기간의 짧음과 교육실습생들을 위한 업무편의 시설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향후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기관에서 갖추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장애학생의 생활지도실태 및 지원요구 분석

        박은송,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life guidance among school activitie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which is one of the sub-domains of student guidance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tudent guidance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guiding student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structure of 127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located in Seoul, and analyzed results of a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9 teachers from a same special school. As the results, the 'health guidance' was highest with 40.9% among daily-life guidance territory in major content analysis of daily-life guidance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sociality guidance' was 37.0%, 'personality guidance' was 14.2%. For the analysis of counseling contents and the role of counselors, 'establishing and supporting behavior modifi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highest with 27.6%, then in the order of 'asking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other appropriate professionals' with 12.6% and 'counseling parents and family memb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11.0%.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a discussion betwee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guid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verified that the life-guidance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require assistance from professional fields as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other tha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they need prepare parents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ird, they need to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ism on the life-guidance and counseling of teachers to help parents to understand better and to persuade them during the life-guidance proces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학교교육활동 과정에서 중도장애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생활지도 및 상담의 내용과 교사들이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생활지도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추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한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27명의 교사가 작성한 중도장애학생 127명의 1년 치 생활지도 및 상담 일지를 분석하였고, 이들 학생을 지도한 교사 9명과 심층 면담을 통해 생활지도 과정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장애학생 생활지도의 주요 내용은 ‘건강지도(40.9%)’, ‘사회성 지도(37.0%)’, ‘성격지도(14.2%)’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수행한 상담자로서의 역할과 내용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행동수정 계획의 수립과 실행을 지원하는 일(27.6%)’, ‘장애학생을 다른 적절한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일(12.6%) 등이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도장애학생들의 생활지도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먼저, 상담과정에서 의료, 복지 등의 전문 분야와 공조가 필요함을 언급하였고, 중도장애학생을 양육하고 있는 가족이 어려워하는 재활 및 의료 정보 및 연계, 그리고 의사소통 지도에 대한 교사의 대비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이와 관련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무형 직무연수 기회 확대 및 상담 매뉴얼 개발 보급을 요구하였고, 중도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전문상담인력의 학교 유입에 대한 신중한 고려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장애학생의 졸업 후 지역사회 전환에 따른 진로·직업 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박은송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Korea's special education has see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since the 1980s and accordingly many student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have advanced into the society after receiving special education. Even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but who were isolated from special education just a few years ago, are now witnessed on the spot of special education including itinerant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career and employment of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the past decade who need overall aid in their daily life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input so far, thereby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organizing and managing educational courses in future special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proper direction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careers and jobs of the adult disabled. This study is a follow-up, complete study; all the graduates from H special school for the past ten years were surveyed. The study result is that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under much poorer conditions after graduation than those with non-severe disabilities to an incomparable degree in terms of their work and leisure and their lives as a whole. Only two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entered university among 84,showing very low ratio in getting a higher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provided to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very poor and, in particular, transition on special education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considered necessary.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review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needed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responsibly establish policies to cope with this issue.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1980년대 이후 질적·양적 증대에 따라 많은 특수학교(급)의 졸업생들을 배출하였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특수교육에서조차 소외되었던 중도장애학생들도 순회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에 등장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의 중도장애졸업생의 진로실태가 어떤지를 파악하고, 투입된 특수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며, 향후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중도 성인장애인에 대한 진로·직업 정책을 수립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추적조사이며, 연구 대상은 지난 10년간 H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중도장애졸업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이다. 연구결과 중도장애졸업생은 다른 장애졸업생들의 진로실태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졸업 후 주거생활, 직장생활,여가생활, 지역사회생활 등에서 열악하게 생활하고 있으며, 진학 측면에서도 매우 낮은 진학률을 보였다. 따라서 중도장애학생에 대한 특수교육의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중도장애학생에 대한 진로·직업교육의 재검토와 중도 성인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및 국가에서의 맞춤식 진로·직업교육 등의 정책 수립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박은송,박경옥,박희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cious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and also is a basic research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with respect to career education for them.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means of Delphi method, and the research panel consisted of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ook charge of career education in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earch results drawn from total 4 rounds of Delphi method revealed that;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the students' future in connection with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focused on the difficulty in selecting career,troubles in finding information about career, non-connectivity of career education with local community, and no responsible government organizat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areer education. Second, included in the teachers' perception towards actual status of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are that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s should be conducted with a focus on independent living, and then such education is required to be linked with local community. Also tha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should have to take a role as experts who link career education with local community. Lastly, the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the career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after their graduation(from high school) were that there lacked protective(eg, day-care center and training center). organization where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could easily participate in. And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raining program is necessary insomuch as to help the students carry on an independent living.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finding an employment for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and also to discuss about the method, contents, and location for career education. 이 연구는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 관련된 문제점, 진로·직업교육의 운영 실제, 졸업 후 진로의 방향성 등에 대하여 특수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연구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조사대상은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진로·직업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3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 첫째,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 관련된 문제점으로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에 대한 진로선택의어려움, 진로에 대한 정보획득 곤란, 진로·직업교육이 지역사회와 연계되지 않은 점 등을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의 운영에 대하여 진로·직업 교육내용은 자립생활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이 되어야 하며, 특수교사는 지역사회와의 연계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졸업 후 진로의 방향성에 대하여 학생이 졸업 이후 계속 참여할 보호(훈련)기관과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취업에 대한 개념 재정립과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한 방향 설정이 필요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 특수학교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박은송,김삼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4

        This study i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s with the trends analysis of research on the curriculum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113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articles from the main academic journal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1) How different are the trends of research of the academic articles by eras, lesion types, and research methods? (2)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for the developer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s? (3) What are the trends of research for the contents and experience(method)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s, and education environment? (4)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for types of curriculum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ain articles for the curriculums were written from 1990s, the era of the 6th curriculum. From the era of the 7th curriculum, the number of articles noticeably increased.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ethnographic studies dominated among articles, thus it seems to be desirable as the studie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need the special education. In terms of the research on curriculum develop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ticles did not include various classes and employee among them. The research for participants also inclined toward a part of them. Though the education environment (i.e. educational place) is very important to the students who need the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 for the environment was insufficient. For the research on the type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s, this study classified into the developmental, ecological, and functional curriculum models. Among the educational types, although the main subject in the special education is the severely handicapped students, the research for them was insufficient. In developed countries on special education, the curriculum research for the students has flourished based on the ecological and functional curriculums, but the research in Korea have not been sufficient. 이 연구에서는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특수학교 교육과정 관련 논문 113편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특수학교 교육과정 연구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① 우리나라 특수학교 교육과정 연구의 일반적 동향(시기별, 장애범주별, 연구방법별, 학술지별), ②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자, ③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내용, 경험, 환경, ④ 교육과정의 종류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교육과정 연구는 최근 제6차 교육과정의 적용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육과정 참여자의 부조화, 교육환경에 대한 연구의 미흡, 특수교육대상 특히 중증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밝혀졌다.

      • 중도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선정과 조직에 관한 고찰

        박은송,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

        이 연구에서는 중도 장애학생의 교육 역사, 교육 가능성, 교육프로그램 등을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중도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을 선정하는 방법을 알아본후, 선정된 교육과정 내용을 조화롭게 조직할 방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학적목록을 선정할 수 있는 원천자료들이 한국 사회의 문화와는 이질감이 있을 뿐 아니라,원천자료들 간의 교육 내용과 영역도 일치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도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은 우리 실정에 맞게, 그리고 중도 지체장애학생의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되고 조직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