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래퍼를 이용한 웹 정보 추출 시스템

        박유신(Yu-Shin Park),김희천(Hee-Cher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2 No.5

        본 논문에서는 웹 페이지에 존재하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래퍼 프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시한다. 웹 통합 검색과 다르게 웹에서 원하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래퍼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스크립트 파일은 파이썬 언어를 이용하여 래퍼 기능을 구현한다. 그리고 스크립트 파일과 함께 사용될 추출 규칙이 정의된 엔진을 제공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정의된 규칙을 이용하여 스크립트 파일을 쉽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HTML 페이지에서 테이블 형태로 되어 있는 자료를 효율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This paper presents a system to generate a wrapper program, which is for extracting existing information on a webpage. It requires a wrapper-based system to collect desired data from a webpage unlike an integrated search. A script file that is functioning as a wrapper realizes it by using a python programming language. It provides a defined extraction rule, which is to be used with a script file. The proposed system allows users to make a script easily using a defined rule, which is understandable for the users in an ease. It also shows a method fetching data efficiently that are in a table format on a HTML page.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 분석

        유신복(Yu, Shin-Bok),정(Park, Ch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인 디지털 리터러시 기술, 지식 및 태도에 따라 차별적인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광역시 B교육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응답한 555명을 연구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5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으며, 프로파일의 유형은 디지털 리터러시 지식 열위(31%), 디지털 리터러시 중위(25%),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19.1%),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우수(14.1%),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10.8%)이다. 도출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 디지털 리터러시 중위, 디지털 리터러시 지식 열위,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의 순으로 온라인 학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디지털 리터러시 잠재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지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differential profile exist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skill, knowledge, attitude, which are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ed digital literacy profile typ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in 2020 for students enrolled in B University of Education in B Metropolitan City, and 555 students responded. The collected data were investigat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One-way ANOVA. Results: Five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and the profile types were: poor digital literacy knowledge (31%), middle digital literacy (25%), excellent digital literacy (19.1%), good digital literacy attitude (14.1%), and low digital literacy (10.8). The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typ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e-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excellent digital literacy, middle digital literacy, poor digital literacy knowledge, good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low digital literac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support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digital literacy and e-learning satisfa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Experimental Study on the Drawbar Pull and Structural Safety of an Onion Harvester Attached to a Tractor

        Chang-Seop Shin(신창섭),Jun-Hee Kim(김준희),Yu-Shin Ha(하유신),Tusan Park(두산) 한국기계가공학회 2019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8 No.4

        Recently, due to labor shortages in rural areas within South Korea, the demand for upland-field machinery is growing.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development of systematic performance testing of upland-field machinery. Thus, this study examined structural safety and drawbar pull based on soil properties, as a first step for systematic performance testing on the test bed. First, the properties of soil samples from 10 spots within the experimental site were examined. Second, the strain was measured and converted into stress on 8 points of an onion harvester that are likely to fail. More specifically, the chosen parts are linked to the power, along with the drawbar pull, using a 6-component load cell equipped between the tractor and the onion harvester.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ranged between 5.7%-7.5%, and the strength between 250-1171 kPa. The test soil was subsequently classified into loam soil based on the size distribution ratio of the sieved soil. The onion harvester can be considered as structurally safe based on the derived safety factor and the drawbar pull of 115-1194 kgf, according to the working speed based on agricultural fieldwork.

      • 관리기 운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조작레버 개발

        김병수 ( Byeong-soo Kim ),기정 ( Ki-jung Park ),배건표 ( Gun-pyo Bae ),장주웅 ( Jang-joo Woong ),송문환 ( Moon-hwan Song ),채중수 ( Joong-soo Chae ),태현수 ( Hyun-soo Tae ),유신 ( Yu Shin Ha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밭농업에서 관리기는 경운, 정지, 중경제초, 구굴, 휴립, 비닐피복 등 여러 가지 작업을 두루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농기계이며 농가마다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기종이기도 하다. 관리기의 운전방법은 시동을 건 뒤 주클러치 레버를 앞으로 밀어 고정시키면 관리기기 앞으로 움직이게되는데 주클러치 레버를 작동시키려면 오른손을 핸들에서 뗀 상태로 레버를 조작해야 하는데 이 상태에서 관리기가 갑자기 앞으로 나갈 경우 왼손의 힘으로만 관리기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갑자기 균형을 잃을 수 있어 안전사고에 많이 노출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관리기 운전시 문제되고 있는 급출발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변속레버를 개선 설계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고 조작력을 줄여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작레버를 개선할 관리기 모델로는 아세아텍(AMC-880) 기종을 사용하였고 변속레버의 몸체로 사용할 봉은 대표적인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인 SS400 제품(허용인장응력은 100 N/㎟, 인장강도 400 N/㎟, 최대순간허용하중 337.76 kg)을 사용하였다. 관리기 조작에 이용되는 기계식 막대형 제어 레버의 경우 지렛대와 같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작업자의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이 필요로 하는 조작력이 55N 이내이어야 하므로 허용범위에 들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기존의 레버는 기어를 앞으로미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방식이었다면 본 연구에서 설계한 레버는 기어를 뒤쪽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반대로 설계하여 조작력이 적으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기존 레버는 기어를 넣은 후 손을 놓아야 했지만 본 연구에서 설계한 랜딩기어 레버는 기어 작동 후 손을 계속 잡고 지지대 역할을 같이 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기가 바로 출발하더라도 사용자가 불안함을 덜 느끼면서 안전하도록 설계되었다. 주클러치 레버 형태를 바꾸어 관리기 핸들바부분에 장착시켜 오른손으로 레버 부분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핸들바부분을 움켜쥘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향후 설계 제작된 관리기의 조작레버를 밭농업 포장에서 작동과 주행 실험을 통하여 수정 보완할 예정이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요인 분석 및 Rasch 모형의 적용

        손원숙 ( Sohn Wonsook ),유신복 ( Yu Shinbok ),신이나 ( Shin Yina ),노현종 ( Noh Hyunjong ),상현 ( Park Sanghyun ),김동욱 ( Kim Donguk ),민애 ( Park Minae ),김난옥 ( Kim Nanok ),이빛나 ( Lee Bitna ),신은진 ( Shin Eunjin ),정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A교육대학교의 교육이념과 인재상에 기반 하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해당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평가틀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검사 문항(총 240개)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통하여 본 검사는 총 7개 하위척도, 1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검사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교육대학교 재학생 692명(32.9% 남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Rasch 측정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본 검사 문항의 질을 점검하였다. 먼저 핵심역량별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igher-order CFA)을 실시하였고, 문항 수준에서의 분석을 위해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에 근거한 1-모수 Rasch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이었고, 핵심역량 CFA 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Rasch 모형 적합도, 문항의 난이도 및 응답 범주의 수 역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초등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primary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oncept of talent and key competencies constructed by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lso to describe its psychometric evalu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692 students attending to A university of education. Two complementary analytical approaches, i.e., factor analysis and Rasch analysi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actor models designed by their conceptual factor structure. A Rasch analysis provided further evidence of the psychometric quality of the scale in terms of item properties, the rating scale effectiveness, and item fit statistics. The final version of the scale contains 142 items in seven sub-scales assess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Finally,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scale can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and, therefore, inform educators and researchers about how to enhance per-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