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ulti-level composite estimators and the evaluation of the three-way balanced multi-level rotation designs

        박유성,김기환,최보승 한국통계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ol.40 No.1

        The general concept of the three-way balanced multi-level rotation design has been discussed. It has four elements expressing the number of reports in a interview, the number of months for a unit to be in sample and out of sample, and the number of interview waves. However, the role of each element in the three-way balanced multi-level rotation design remains unevaluated, since past research for rotation designs only focused on the balancing conditions and effects and making efficient estimators under the correlation structure from the rotation designs. In this paper, we evaluate effects of the elements in the three-way balanced multi-level rotation designs using numerical studies. We propose multi-level composite estimators (MCEs) and introduce old and new designs from the US Monthly Retail Trade Survey, as criteria in comparative studies with some alternative designs. We also derive variances and mean squared errors of the MCEs, assuming the correlation from the measurements of the same sample unit and the three types of biases in the monthly sample. MCEs are used in numerical studies as main tools to measure the design efficiency of the three-way balanced multi-level rotation designs with three types of biases and revisions between preliminary estimators and final estimator.

      • KCI등재

        기대효용최대화를 통한 한국형 기업 신용평가 모형

        박유성,송지현,최보승,Park, You-Sung,Song, Ji-Hyun,Choi, Bo-Seung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3

        A well estimated probability of default is most important for constructing a good credit scoring process. The maximum expected utility (MEU) model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of the tra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Because the MEU model has been constructed using financial data arising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an countries, the MEU model may not be suitable to Korean private firms. Thus, we propose a Korea-specific MEU model by estimating the parameters involved in kernel functions. This Korea-specific MEU model is illustrated using 34,057 private firms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MEU model relative to the usual logistic regression model. 기업의 신용을 평가하는데 있어 정확한 파산확률의 추정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다. 선형로지스틱회귀모형보다 성능이 좋은 기대효용최대화 (Maximum Expected Utility) 모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모수의 일부가 북미와 유럽지역의 자료를 토대로 경험적으로 추정되어진 것이므로 우리나라 기업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자료를 바탕으로 모수를 재추정하여 한국형 MEU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34,057개의 중소기업을 이용하여 한국형 MEU모형을 설계한 결과, 기존의 북미 유럽형 모형과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능면에서도 선형로지스틱회귀모형보다 전 산업분류에 걸쳐 한국형 MEU모형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동적구조를 갖는 대기행렬 모형: Speed-Flow-Density 다이어그램을 중심으로

        박유성,전새봄,Park, You-Sung,Jeon, Sae-Bom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6

        Management of the existing traffic network and understanding current traffic conditions is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way to solve traffic conges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atus of Korea expressway through the Speed-Flow-Density diagram and finds the best suitable queueing model for each area. Dynamic structure in the queueing model enables us to reflect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road in case of traffic congestion. To find the best model and estimate the parameters, we use the Newton-Raphson method. Finally, we examine the road efficiency in view of the optimal speed and density using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of speed and density of a S-F-D diagram. 교통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도로 교통망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안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흐름에 대한 연구로 대기행렬 모형이 이용된다. 특히, 속도, 통행량, 교통밀도에 대한 S-F-D(Speed-Flow-Density) 다이어그램은 도로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교통 속성들 간에 구조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기 행렬 모형내에 구조변화를 포함함으로써 정체 시 도로 상황이 구조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모형에 반영하여, 국내 고속도로의 현황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S-F-D 다이어그램을 제안한다. 각 구간에 대한 최적의 대기행렬 모형을 찾기 위해 뉴튼-랩슨 방법으로 최적화 모수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속도와 밀도를 산출하여 요일별 시간별 도로의 이용현황 및 효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자료에 적합한 생명표 작성방법에 대한 연구

        박유성,김성용,Park, You-Sung,Kim, Seong-Yong 한국통계학회 2011 응용통계연구 Vol.24 No.5

        생명표는 특정 집단의 사망 경험(mortality expereience)을 반영하여 각 연령에서의 기대여명을 추정하는 통계적 모형이다. 사망 경험은 사망확률(death probability)을 통해 반영되는데, 사망확률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는 사망률(death rate)로부터 사망확률을 추정하는 방법의 선택이며, 둘째는 사망확률의 불규칙성을 해결하기 위한 평활 방법, 셋째는 초고령 자료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망확률 추정 및 확장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망확률 추정방법의 선택을 위해 Chiang 방법, 상수방법, Greville 방법, Reed and Merrell 방법 및 Keyfitz and Frauenthal 방법을 비교하며, 평활 방법으로는 Beers 방법, Greville 방법 및 이동평균 방법을 비교하도록 한다. 또한 초고령에서 사망확률 추정 및 확장을 위해 총 12가지 수학적 함수를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방법들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에 적합한 생명표 작성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생명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또한 기간별 성별 기대여명의 역전현상(cross-over)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The life table is a statistical model for life expectancy and reflects mortality experiences exposed to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The following three issues are prerequisite for constructing the life table : a selection of how to estimate the death probability from observed death rates, a graduation method to smooth irregularity of the death probabilities, and an extension method of the death probabilities for oldest-old ages. To construct the life table that is fittest to Korean mortality experiences, we examine five estimation methods such as Chiang's and Greville's for the death probability, three graduation techniques including Beer's and Greville's formulae, and twelve mathematical functions for the extension of death probabilities for oldest-old ages. We also propose a method to resolve the cross-over problem arising from construction the life table.

      • KCI등재

        P-수준교체표본에서 교체그룹내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 복합추정량

        박유성,배경화,김기환 한국통계학회 2001 응용통계연구 Vol.14 No.1

        모집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반복조사 방법으로 겨체표본조사를 고려할 수 있다. 교체표본조사는 크게 일수준교체표본조사와 다수준교체표본조사로 나누어지며 모집단의 특성, 특성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복합추정량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준교체표본조사의 경우 교체그룹내 표본개체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복합추정량과 추정량의 분산을 최소화시키는 최적계수를제시하였다. 또한 수치예에서는 교체그룹내 표본개체의 수, 교체그룹내 상관정도의 변화에 따라 표본개체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일반화 복합추정량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One of the Repeated survey which estimates variability of population, we can be consider rotation sample survey. There are two kinds of rotation sample survey - onelevel rotation sample survey and multi-level rotation sample survey. In rotation sample survey, Composite estimator is used to measure level or level change of the population. This study suggests Generalized Composite estimator as considering intraclass correlation in multi-level rotation sample survey, and optimal weight minimizing variance of estimator. Numerical example shows efficiency of Generalized Composite estimator as considering intraclass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sample unit and change degree of intraclass correlation in the rotation group.

      • KCI등재

        제19대 대선 출구조사 결과 분석과 의미

        박유성,이선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4

        We analyze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as the first long-form exit poll in Korea. This exit poll not only predicts the candidates’ support rates but also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voting decision factors, the next govermental tasks, and political propensities on election approval rates. As a result of the long-form exit poll, voters age and region had a decisive influence on candidate support rate, and voter political propens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voting decision and the next government priority. The political propensity of Moon Jae In’s supporters was found to be ‘moderate progressive’ which is shifted from moderate to slightly progressive, the breakup of conservative voters and the high support of moderate voters were the main result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Candidate Moon Jae-in and his supporters are far more distant from political ideology between candidate Hong Joon-pyo and his supporters. Regardless of generation, region, or political propensity, voters considered the economic revitalization and job creation as the urgent issue of national affairs, and pointed out the National Assembly, political parties, and the prosecution as priority reform targets. Regarding the power structure, THAAD deployment, tax and welfare, which were major issues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generation gap and regional difference were clearly revealed. It is more likely that the direction of Korea depends on the choice of the moderate political voters that increase as voters are younger.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traditional opinion polls, the generational cracks coexist with the fixed age effect and the cohort effect that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 and the generational crack and the political propensity are accompanied by three groups. Cleavage voting was implemented through the age and political propensity but not through policy issues, and it is shown that the previous research that the generation conflict efficacy voting to block up other generations made the turnout high is not valid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심층 출구조사(long-form exit poll)가 실시된 제19대 대선투표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제19대 대선 출구조사는 후보자별 지지율 예측뿐만 아니라 지지율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요인, 투표 결정요인, 차기 정부과제, 정치 성향 등을 함께 조사했다는 특징을 지닌다. 심층 출구조사 분석 결과, 투표자 연령과 지역 요인이 후보자 지지율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투표자 정치 성향은 투표 결정요인과 차기 정부과제 우선순위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후보 지지자의 정치 성향은 중도에서 약간 진보로 이동한 ‘중도적 진보’로 파악되었으며, 보수 성향 투표자의 분열과 중도성향 투표자의 지지가 문재인 후보의 당선 이유임을 알 수 있었다. 문재인 후보와 그의 지지자 간 정치이념성향의 간극은 홍준표 후보와 그의 지지자간 이념성향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투표자들의 정치이념성향, 세대, 지역, 정치이념성향에 관계없이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가장 시급한 국정 현안으로 인식하였으며, 차기 정부의 우선 개혁대상으로 국회와 정당, 검찰을 꼽았다. 대선기간 주요 이슈였던 권력구조, 사드배치 찬반, 세금 및 복지수준 등과 관련해서는 세대 및 지역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한국사회의 방향타는 나이가 어릴수록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도성향 유권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통적인 여론조사를 기반으로 한 기존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세대균열은 고정된 연령효과와 세대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코호트효과가 공존하고, 세대균열과 정치이념성향은 3개의 그룹으로 움직이는 동반효과를 보였다. 정책이슈 투표는 정책이슈 내에 숨어있는 내재변수인 연령과 정치이념성향을 통해 구현되었으며, 다른 세대를 견제하기 위해 투표하는 세대갈등 효능감이 투표율의 결집을 불러온다는 기존연구 결과는 19대 대선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 써프라이즈 (Surprise)와 엔트로피 (Entropy)의 응용 : A 대학교 도서관학과 학생의 수강행태를 중심으로

        박유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통계학과 1986 통계상담 Vol.1 No.2

        연구자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설문지를 작성할 경우, 그 설문지는 연구자의 연구목적에 가장 잘 부합되는 설문들로 구성되어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때, 설문지 작성목적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기술적 ( descriptive) 인 것으로서 현황 파악 및 그 현황에 대한 기초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이고 둘째, 일차적으로 현황 파악 및 분석을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차후의 관심사항에 대한 파악 및 분석이 주 목적인 경우이다. 본 연구는 두번째의 경우로서, 설문지 작성을 위해, 주어진 정보를 가지고 이를 특성화 하는 작업으로 전개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