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회 침묵의 문화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연구

        박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침묵이 갖는 사회적 의미와 역할은 다양하게 평가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침묵이 명령과 통제라는 억압적 기제로 작용한다면, 침묵의 문화는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적 성찰과 실천을 가로막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다. 특 히 한국 사회 내에서는 왜곡된 가족주의 문화와 같은 집단 이기주의를 중심으로 부정과 부패에 관해 침묵하는 문 화, 사회적 신뢰집단의 상대적 부재로 인해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하는 침묵의 문화, 개별적인 책 임적 자아의 가치판단과 실천에 개입하여 순응시키고 통제하여 침묵을 강요하려는 문화 등이 존재해 왔다. 한국 사회 내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이야기를 풀어낼 표현의 자유보다 획일적 순응과 복 종이 성숙이라는 잘못된 메시지를 통해 침묵을 학습해 왔다. 교회는 현실주의적 이원론을 근거로 비정치화된 기 독교 신앙을 중요하게 여겨왔기에, 사회 속에서 도덕적 주체들을 형성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도덕적인 숙고와 실 천을 이끌어가도록 제대로 돕지 못했다. 신학의 현장은 사회적 악의 문제에 대한 비판과 악의 구조를 새롭게 명 명하여 읽어낼 작업을 지속적으로 감당하지 못할 때, 신학의 침묵이란 신학적 죄에 빠지게 된다. 한국 교회 내에 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앙고백적 언어와 현실분석적 언어를 구별해 내는 작업, 인간의 기본가치 실현을 향한 다양한 노력들을 포용해야 할 것이다. 침묵의 문화를 넘어서기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첫째로 침묵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의 층위가 매우 복합적이라 는 점, 둘째로 누가 왜 사회적인 침묵을 강요하는지 지속적으로 질문하는 작업, 셋째로 지역 공동체, 신앙 공동체 등과 같은 크고 작은 공동체들의 서로 다른 의견들이 공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는 일, 넷째로 다양 한 신뢰집단의 생성이란 과제들이다. 이와 같은 방향성을 향한 실천의 도덕적 주체로서 교회 공동체가 사회적으 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침묵의 문화를 극복하려는 방향성은 단 하나의 진리라는 폐쇄적 구조에 서 벗어나 ‘자기-관계적 진리’라는 차원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진리로 여겨지는 것이 새로운 관계성들 가운데서 어떠한 동인이 되고 있는지를 참여적 실천을 통해서 알아가고 경험해 가는 것이다. 획일적 명령과 통제에 의한 강요된 침묵이 아니라, 서로의 다른 의견과 가치, 그로 인한 새로운 방향성과 실천에 감탄하고 동의하는 의미의 침묵이 새롭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social meanings of silence could be variously evaluated. However, if a culture of silence works as an oppressive system for order and control in the society, it can be a major obstacle to not only individual but also communal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there have been a distorted culture of familism based on collectivism which leads to silence on injustice and corruption, an absence of trustful social groups that can speak for the marginalized, and a coercive culture of internalization of others' values. Youth members in Korean schools have been forced to accept uniform orders and obedience rather than to express their own stories and thoughts, which can lead to a culture of silence. Korean churches based on a strong dualism between church and society have emphasized a depoliticized Christianity as a goal of people of faith. As a result, Korean churches could not help lay members to be active moral agents and to consistently make a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theology, theological sin could be committed when theology gets lost in responsibly criticizing current structures of social evils and creatively naming concealed social evils.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Korean churches and theological fields, I suggest that we should distinguish between confessional languages and realistically analyzing languages in our harsh realities and try to realize human basic values like freedom, equality, and justice. To go beyond a culture of silence in Korean society, these critical points need to be reconsidered: 1) socially multi-layered meanings of silence, 2) critical questions of who wants to force a culture of silence and why, 3) official channels through which various opinions and thoughts of different local communities and churches, and 4) a process of building up socially trusted groups that speak for the marginaliz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suggested points, the major role of Korean churches as communities of faith need to be reevaluated. Finally, a direction toward overcoming a culture of silence is related to changing the closed system of truth into multi-dimensions of participating in 'truth in relations.'

      • KCI등재

        신앙공동체의 실천과 기독교 현실주의와의 관계성 연구 - 기독교 현실주의의 재해석 필요성을 중심으로 -

        박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9

        본 논문은 사회 정치적 영역에 놓여있는 신앙공동체인 교회가 실제적인 도덕적 숙고와 실천을 이루어가기 위 한 도움을 기독교 현실주의의 재해석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관심으로부터 출발한다. 기독교 현실주의와 신앙 공동체의 실천의 관계성에 관심하는 이유는 기독교 현실주의가 여전히 인간의 집단적 죄성에 관한 깊은 인식 과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전적인 개입이란 역사발전에 관한 이해를 통해 사회 정치적 영역에서 신앙공동체가 직면하는 사회적 악의 문제를 보다 사실적합하게 이해할 사고의 틀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 다. 니버가 인간의 자기초월성과 유한성, 역사 가운데 이상과 한계, 절대와 상대의 영역을 긴장관계로 이해함 으로써, 신앙공동체가 쉽게 빠질 수 있는 자기만족적 실천보다는 자기성찰적 실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기독교 현실주의가 체제유지적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 정치 영역 내의 힘없는 자들을 소외시킨다는 비판, 그리고 현실 사회 정치영역에서 타협주의적 성격을 보인다는 비판을 점검하면서도, 본 논문은 기독교 현실주의의 지속적 관심인 집단적 이기성에 관한 자기 비판적 사고와 현실분석적 사고를 강조한다. 이러한 특성들이 신앙공동체의 도덕적 성찰과 실천에 지속적인 자기 교정적 실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보았다. 타협적 힘의 균형이란 관심으로부터 시작해서 대항적 권력을 형성하는 과제에 신앙공동체가 참여하도록 하 는 동기와 과제로, 그리고 타협주의적인 ‘근사치적 접근’이 아니라 부단한 자기성찰적/ 자기교정적 실천이란 접근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독교 현실주의 재해석을 위해서, 1) 해방신학자 호세 미구에즈 보니노로부터 유토피아적 사고로서의 기독교 소망을 강력한 실천의 추동력으로 현실주의적 사고에 접목하려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고, 2) 존 베네트의 지적처럼, 억눌린 자들에 대한 전략적 집중이 기독교 현실 주의와 신앙공동체의 관계성에 지속적인 성찰의 지점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서 신앙공동체가 사회 정치적 영역에서의 도덕적 주체로 자리매김하는 기회를 삼아야 할 것이다. The article starts with the notion of reinterpreting Christian realism that can help a community of faith to reflect and practice its shared values and beliefs in the socio-political realm. The reason why I am concerned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church as a community of faith and Christian realism is this: Christian realism’s deep understanding of human collective sinfulness and of history interrupted by God could provide us with a basic framework with which we can more relevantly understand social evils that a community of faith cannot help but confront in the socio-political realm. By understanding of the paradoxical tensions between self-transcendence as freedom and finitude in human beings, ideal and limitation in history, and the absolute and the relative in the socio-political realm, Reinhold Niebuhr shows a community of faith a possibility of self-correcting process rather than self-sufficient practices in the society. Christian realism can be criticized because of its tendency to maintain the status-quo, to be compromised with dominant political powers, and to ignore the marginalized /the decentered. However, its self-critical power on collective sinfulness and social analytical power on distorted relations make it possible that church as a community of faith continues to participate in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as a whole’ as a self-correcting process. The notion of ‘balance of power’ can be reinterpreted as a process of building countervailing powers in which a community of faith can participate and the notion of ‘an approximate approach’ can be reinterpreted not as a compromising process but as a ongoing self- metanoia, that is, a self-corrective process. To support these reinterpretations, on the one hand, Bonnino’s emphasis on “utopia-genetic potentiality of Christian hope” as a radical motivating power has to be included in realistic thinking and approach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Bennett’s revision of Christian realism, a strategic concentration on the oppressed/the marginalized/the decentered has to be located in the juncture between a community of faith and Christian realism in order to support continual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as a whole’ in the socio-political realm.

      • KCI등재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 및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박우영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s of 12 weeks complex training using swiss ball and elastic band on senior fitness and sarcopenia index in elderly wom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exercise group (n=13) and control group (n=14). EG were carrier exercise program with swiss-ball and elastic band by 3 times a week, 3sets, RPE 11-13, and 60 minute. Test variables of among this study, senior fitness which is muscle strength, endurance, flexibility and dynamic balance and age-related sarcopenia index were muscle strength, muscle mass and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ment at muscle strength, cardiopulmonary and flexibility but dynamic bal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nd SPPB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complex whole body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dynamic balance and SPPB of the elderly women. 이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및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운동집단 13명과 통제집단 14명으로 분류하여, 운동 집단은 주 3회, 3세트, 운동강도 약간 힘들게, 60분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은 근력, 전신지구력, 유연성과 동적 평형성으로 하였고, 근감소증 지표는 근력 요인과 단기운동수행력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체력 변인에서는 근력, 전신지구력과 유연성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없었고, 동적 평형성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근감소증 지표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없었으나 단기운동수행력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은 동적 평형성과 단기운동수행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사회 침묵의 문화와 도덕적 주체 형성의 문제

        박우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2 No.-

        본 논문은 한국사회 내 아픔의 기억을 공유하고 보다 인간다운 새로운 삶의방향성을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공간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가를 질문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공간의 기능 상실은 1) 신뢰집단의 부재, 2) 국가권력의 검열, 3) 부패한 자들의 연대를 통한 다양성 억압이란 이유와 연관되어 있다. 한국사회내 침묵의 문화가 더욱 강화되는 방식으로는 1) 근본주의 신학과 국가주의의 결합을 통한 폐쇄적 세계이해 강화, 2) 이데올로기가 사회적 암시를 통해 구성원을이끌어가는 방식, 3) 위의 두 문제들을 더욱 내면화시키는 폐쇄적 교육의 장으로서의 한국 교회와 학교를 들 수 있다. 침묵을 강요하는 문화는 획일적 명령과 통제를 강요하는 일종의 사회적 폭력이며 이 구조를 벗어나기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도덕적 주체 형성에 관한 이해가요청된다. 본 논문은 나와 너의 명확한 분리를 지양하고, 나는 너와의 관계로서만설명이 가능하다는 주디스 버틀러의 주체 이해를 통해서, 타자를 전적으로 지배하는 것이 불가한 일임을 인정하는 도덕적 주체를 요청하고 있다. 자신의 수동성을 경험하고, 자신의 주체성이 박탈당하는 경험을 한 도덕적 주체는 자신의 삶의영역을 완전하게 설명하고 통제하려는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근대적주체의 실패를 인정하는 것이 새로운 가치와 방향성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는것을 이해하는 새로운 도덕적 주체이다. 타자를 통해 들려지는 이야기에 귀를기울이는 관계성 가운데 놓여있는 주체는 전혀 다른 새로운 관계성을 열어감으로써 침묵의 굳어진 문화에 균열을 일으킬 가능성을 갖게 될 것이다. The article raises a question of how effectively a social space where different memories of social sufferings and new possible directions toward a more humane society can be shared now works in Korea. The lack of this social space in Korea could be related to: 1) an absence of trustable groups, 2) a censorship of governmental power, and 3) an oppression of diversity through a negative solidarity with corrupt people. A culture of silence in Korea gets much more strengthened by 1) a closed world-view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fundamentalism and nationalism as an ideology, 2) a way in which ideologies leads people in very distorted deep implications, and 3) schools and churches in Korea as a closed educational system that internalizes closed world-views and ideologies in society. A culture that forces a silence in the life of society is considered a social violence which leads into uniform orders and controls. To overcome this critical problem, a new understanding of moral agents is needed in the society. According to Judith Butler, a new subject as a moral agent needs to accept the fact that it is impossible to fully control and dominate others. The new moral agents will experience their passivity and go through losing their 'pseudo' subjectivity.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ey can escape from a temptation that they can fully explain and control their own lives. The new subjects as moral agents who acknowledge 'the failure of modern subjects' can talk about making new directions toward a more humane society and sharing new values in their lives. The moral agents have a possibility of making a chasm in a culture of silence in Korea by listening carefully to others and making totally new relationships.

      • KCI등재

        신앙공동체와 사회적 실천 가능성 - 라인홀드 니버와 베벌리 해리슨의 인간과 사회적 악 이해를 중심으로 -

        박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7

        본 논문은 기독교 현실주의 전통의 흐름 가운데 놓여있는 라인홀드 니버와 베벌리 해리슨, 두 학자의 인간 이해, 특히 죄성에 관한 이해 그리고 사회적 악에 관한 이해를 통해서, 이러한 서로 다른 이해들이 어떻게 사회 가운데 정의를 이루어가라는 하나님의 초대에 반응하게 하는지에 관해서 관심한다. 인간의 죄성에 대한 이해가 인간의 도덕적 능력, 자기초월의 능력을 심각히 제한하고 있는지, 아니면 죄의 보편성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악의 구조를 극복해 나갈 실천적 힘을 역설적으로 제공하고 있는지 니버와 해리슨의 견해를 살펴본다. 니버는 인간의 유한성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죄의 경향성, 인간의 자유가 결국 하나님에 대한 반항으로서 교만에 이르는 죄에 머물게 된 것, 사회적 악의 불가피성, 십자가 사랑은 인간의 역사 가운데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전적인 개입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런 점들에서 그가 인간의 도덕적 자기 초월의 지점을 거의 인정하지 않고 있는 듯하지만, 니버의 현실주의적 인간이해, 사회적 악의 불가피성에 관한 이해는 신앙공동체 안의 내적인 죄악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점검하여 실천으로 이끄는 힘을 제공할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왜냐하면 죄의 현실성에 관한 깊은 이해가 없는 도덕적 신앙적 낙관주의가 신앙공동체에게 있어서 매우 심각한 문제임을 역설적으로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해리슨은 니버의 인간의 죄성 이해, 사회적 악의 현실을 인정하면서, 특별히 사회적 악의 실체를 억눌린 자들, 사회 가운데 끊임없이 소외되어온 자들의 도덕적 능력을 마비시키는 지배적 관계성들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므로, 해리슨에게 있어서는 인간의 본성의 정수는 죄성이라기 보다, 도덕적 관계성들을 형성할 수 있는 급진적인 도덕적 창조력이다. 이와 같은 두 학자의 이해를 근거로, 본 논문은 신학적 인간 이해, 사회적 악의 이해가 신앙공동체의 사회적 실천에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또한 사회적 약자들에게 도덕적, 사회적 힘을 부여하는 것이 신앙공동체를 위한 신학적 실천의 잣대가 되어야 함을 말한다. The article raises the question of how different understandings of human nature and social evil could affect different degrees of social engagements into God's call for justice in this world.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focuses on and evaluates Reinhold Niebuhr's and Beverly W. Harrison's understandings of human nature and social evil in their contexts. There are two important questions in the article. One is the question of how their understanding of human sinfulness and social evil could limit a potentiality of the moment of self-transcendence or discourage human moral agency. The other is the question of where we can find human moral agency, that is, the power of praxis to overcome the structure of social evil in spite of accepting human sinfulness in the society. While emphasizing human tendency to sin which does not accept his or her finitude, human pride as a rebellion against God, the inevitability of social evil, and agape achieved not by human effort but God's intervention into history, Niebuhr seems not to make a space for human agency to get to the moment of self-transcendence in the society. However, Niebuhr's rea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social evil could provide a critical power to thoroughly examine inner sinful structures of the communities of faith and to put the communities into praxis for building up moral relations. For he paradoxically points out that a serious problem of the community of faith is a moral optimistic liberalism without its deep understanding of the realistic sense of sinfulness in the society, especially its community. Contrasted to Niebuhr's, Harrison points out that the reality of social evil is an attempt to paralyze the moral agency of the oppressed, the ignored, and the marginalized in the society even though accepting how serious human sinfulness is in the society and social structures of evil. Thus, for her, the essence of human nature is not sinfulness but a radical moral creativity that can imagine and make new and various moral relations. Based on two scholars' understandings, this article finally concludes that ou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social evil in communities of faith are deeply related to our social engagements in God's call for justice. In addition, it puts an emphasis on the fact that how theologies can empower the marginalized into becoming active moral agents should be one of the critical criteria to evaluate the adequacy of our theology for the praxis of our communities of faith.

      • KCI등재

        스위스볼을 이용한 코어 저항 운동이 농업 여성노인의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박우영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 effect of core exercise with swiss ball on sarcopenia index in agriculture older women. A total of 30 subjects(15 Ex group, 15 Con group, 65 over agriculture older woma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vention group were assigned to performing a progressive core exercise training program for 12 weeks(2 time/week). Dependent variable were grip strength, chair stand, muscle mass, 4m gait speed, Timed up and go, and 400m walking. As a result were following. Grip streng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ut chair st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ime. And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groups. And 4m gait speed, Timed up and go and 400m walk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ime. In conclusion, lower body muscle strength and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by muscle activating with core muscle strength training. 이 연구의 목적은 코어 저항 운동이 농업 여성노인들의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피검자는 65세 이상의 천안시 거주 농업 여성노인 15명과 통제군 여성 15명으로 하였다. 코어 운동군은 주 2회 60분간 코어 강화 운동을 실시하였고, 종속변인인 근감소증 지표로는 악력,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 근육의 면적과 단기운동수행력으로 4m 보행, 2.44m 걷기 및 400m 걷기를 실시하였다. 코어 저항 운동 결과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의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나 근단 면적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단기운동수행 능력 중 4m 보행속도에서 유의한 상호 작용과 2.44m 왕복걷기와 400m 걷기에서는 유의한 개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코어 저항 운동은 근육의 활성화로 인해 하체근육 및 단기 운동수행능력을 개선을 가져오는 것으로 판명되었 다.

      • KCI등재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해서 인종적 차별과 편견을 읽는 의미 연구

        박우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1 기독교사회윤리 Vol.21 No.-

        It is very important to overcome the dichotomy between virtual/online and real/offline living when we analyze interactions in cyber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s. The fact that power relationships offline permeate other relationships online can be well understood by methodologically using the concept of race in cyberspace. The question of how the discourses of race based on Western-centered thoughts and values work in cyberspace helps us to understand how deeply many discriminations and oppressions of the cultural others are being strengthened. These cultural others can be empowered to be moral agents in their own contexts by naming social evils, based on the socio-historical concreteness and the notion of their new identities. To critically read distorted relationships in cyberspace could be led to open up a possibility for cultural others to overcome their uniformly defined identities and oppressed experiences and to paradoxically use them for their moral agency. The possibility is based on Christian ethical understanding of all human beings as active moral agents who continue to do moral reflections and practices and have the power to create and mediate new interactions in cyberspace. In addition, cyberspace could be claimed as a sacred place when it is used as a communal and responsible place for responding to God’s call for love and justice. 사이버스페이스 속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들을 관계성의 차원으로 읽어나갈때, 현실과 가상현실, 오프라인과 온라인 상에서의 생활이란 이분법적 구조를넘어서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나 오프라인 상의 힘과 권력의 관계성들이 온라인상에 그대로 스며들어와 있다는 사실은 인종에 관한 문제들에 관심하여 사이버스페이스를 읽을 때 보다 분명해질 수 있다. 서구중심적 관계성들이 지배하는인종에 대한 담론들이 사이버스페이스 상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면,문화적 타자들에 대한 차별과 억압이 또한 강화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러한문화적 타자들에게 도덕적 주체로서의 힘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회역사적 구체적 현실성에 근거한 정체성의 새로운 인식과 사회적 악을 스스로 명명해 나가는작업이 요구된다. 사이버스페이스 안에서 일어나는 왜곡된 관계성들을 면밀히읽어나감으로써, 획일적 이미지로서의 인종, 문화적 타자의 삶의 경험이 역설적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은 모든인간이 도덕적 성찰과 실천의 주체라는 기독교윤리학적 인간이해에 근거하며,사이버스페이스 내에서 새로운 상호작용을 창조하고 조정해나갈 힘이 있음을의미한다. 또한, 사이버스페이스가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을 실천해 나가는 책임적 공동의 장으로 이해되어질 때, 차별과 편견을 읽어내고 새로운 관계성을 지향하는 신성한 장소로 쓰여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종교적 영성과 법의 실천적 의미와의 관계성 연구 : 기독교 신비주의 영성과 정의의 실천을 중심으로

        박우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9 No.-

        Mysticism as a spirituality in the realm of religion has motivated moral agents into raising critical questions against traditional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relationships among God, selves, and others in the world and further into saying ‘No’ against distorte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a direct experience of the union with God. Those who experience the true beauty of relationship based on the union cannot help but try to criticize dominant oppressive relationships and to build up new alternative ways of life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resistance. This could be related closely to the praxis of justice as the purpose of law represented by God which Jacques Ellul considers conditions of the covenant with God. In the covenant, people as Mystiker, that is, people as moral agents who practice justice as a practical application of law are invited to creatively make new moral relationships which supports the abundance of life. The conjunction between mysticism in Christianity and the praxis of justice in the realm of law can be a responsible creating task for re-making alternative moral relationships. 종교적 영성으로서의 신비주의는 주관적 열광주의로 수없이 오해되어 왔지만, 사실 근원적 존재와의 만남을 경험함으로써 주체와 객체와의 만남이 지배하는 대다수의 억압적 사회적 관계성들을 새롭게 인식할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신비주의 영성은 도덕적 주체로서의 모든 존재들에게 하나님과, 자아, 그리고 타자의 관계성에 관한 전통 신학적 이해에 비판적 질문을 제기하면서, 사회의 왜곡된 관계성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것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거절하는 저항적 행동을 감당하게 한다. 왜냐하면, 근원적 존재와의 만남이란 직접적 경험이 주체와 주체와의 만남이란 진정한 관계성의 아름다움을 알게 하고, 그것이 사회적 관계성들에 대한 비판적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의 소유자들은 대안적 삶의 방식을 꿈꾸게 되며, 이러한 비전과 그에 따른 실천은 저항적 행위로 해석되어질 여지를 남긴다. 이는 자크 엘룰이 말하는 정의의 실천적 적용으로서의 법의 기능과 일맥상통한다. 엘룰은 언약의 조건으로서 법을 이해하는데, 이 법은 관계의 회복을 향한 하나님의 의지이며 하나님의 긍휼을 통해 적용되어야 한다. 이 언약 안에서, 신비가로서의 모든 존재는 근원적 존재인 하나님과의 다른 존재들과의 급진적 관계성들을 경험할 수 있으며, 생명의 풍성함을 지지하는 새로운 도덕적 관계성의 창출에 이끌려진다. 그러므로 기독교 신비주의 영성과 정의의 실천으로서의 법의 적용이 만나는 지점은 새로운 관계성의 재창출이란 과제가 벌어지는 지점이며, 이것은 관계의 회복을 만들어가는 창조적 작업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