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가 노인의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우권,김미영,Park, Woo Kuon,Kim, Mi Yo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rdening programs using therapeutic gardens on the fall efficacy of the elderly. This study was applied to 31 elderly facility users from April to August 2019 at a nursing home P located in Gyeonggi-do. Among the 31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16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program, a fall program consisting of fall education and strength training four times a week and a horticultural occupational program were implemented once a week in a healing garden for a total of 15 week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fall program for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5 weeks. The fall efficacy of the tested group increased by 5.50 points from 29points before the program to 34.50points after the program,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p=0.000). The control group who only progressed the fall program increased 3.63 points from 28.87points before the trial to 32.50points after the tria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p=0.000). From this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orticultural program using the treatment garden has the potential as a program related to falls. In the future, various studies are needed so that gardening programs using gardens can be applied to prevent falls of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 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가 노인의 낙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P 요양원에서 2019년 4월부터 8월까지는 노인 시설 이용자 31명에게 적용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31명 중 무작위로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15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군 프로그램은 매주 4회는 낙상교육과 근력운동으로 구성된 낙상 프로그램과 매주 1회는 치유정원에서 원예작업프로그램을 총 15주 동안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매주 5회 30분씩 낙상교육을 총 15주 동안시행하였다. 실험군의 낙상 효능감은 프로그램 시행 전 평균이 29점에서 실시 후 평균이 34.50점으로 5.50점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낙상프로그램만 진행한 대조군은 시행 전 평균 28.87점에서 실시 후 평균 32.50점으로 3.63이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이 결과를 통해 치료정원을 활용한 원예프로그램은 낙상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정원을 활용한 원예작업프로그램이 노인의 낙상 예방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탄성 밴드를 이용한 노인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우권,김성렬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exercise program with elastic-band for elderly who over than 65 years old in terms of depression and physical self efficacy disabilities. We aim to suggest exercise program with elastic-band interventions for elderly. Methods : The study subject was selected female or male 65 years old or over who can walk without assistance, possible to talk daily living without mental or physical disorder. Total eight subjects were participated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Before and after exercise program, the subjects was monitored for the change i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depression. To measure the physical self efficacy, we used perceived physical ability scale and physical self presentation confidence scale (Cronbach α=0.942). To measure depression, we used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Cronbach α=0.969). The data obtained from each measure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determine the change of before and after exercise program. The exercise program consists of three part (warm-up, main exercise and cool-down), including upper extremity, lower extremity and trunk exercise with elastic-band(yellow and red). The program last for 15 weeks, once a week, lasting for 60 min. Results : After 15 weeks of elastic-band exercise program,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d on depression scale (p<0.05) and significant improve on physical self-efficacy scale (p<0.05). Conclusion : Based upon our result, we demonstrated that the exercise program using the elastic-band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the elderly.

      • KCI등재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인지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박우권,부정아,김보중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인지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참여한 25명 중 무작위로 실험군 13명과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 가상현실재활훈련 기기를 활용하여 재활훈련을 주 3회와 일반 작업치료 주 2회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일반 작업치료만 매주 5회, 회당 30분씩 진행하였다.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 진행한 결과 인지기능은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 실시한 실험군은 3.39점 증가 하였고, 일반 작업치료만 실시한 대조군은 실험 후 1.5점이 증가하였다, 상지기능은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 실시한 실험군은 4.84점 증가 하였고, 일반 작업치료만 실시한 대조군은 1.34점이 증가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은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 실시한 실험군은 20.38점 증가 하였고, 일반 작업치료만 실시한 대조군은 7.61점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인지와 일상생활활동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만성 뇌졸중 연하장애 환자의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효과

        박우권,우희순 대한연하재활학회 2010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2 No.2

        목적 : 발병 후 1년 이상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온도-촉각 자극, 구강운동, 멘델슨 메뉴버를 포함한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의 연하기능 증진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도 안산지역에 위치한 OO요양병원에 뇌졸중으로 입원중인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주 5회,1회 에 30분씩,3개월간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후에 연하기능 평가(MASA)와 삶의 질 (SWAL-QoL)평가를 실시하여 전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중재 결과 대상자 모두에게서 MASA,SWAL-QoL점수의 증진을 보였으며,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 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만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실제 삼킴 기능 수준을 높이고 삶 의 질을 증진시키므로,만성기 환자들을 대상으로한 지속적인 연하재활 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 SCOPUSKCI등재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박우권,김성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7 No.6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실험군 17명과 대조군 13명으로 나누워서 주 5회 30분씩 12주 동안 실시 하였다. 실험군은 주 4회는 일반적인 작업치료(상지기능증진치료 및 일상생활훈련)를 실시하고, 주 1회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치료 를 실시하였다. 반면에 대조군은 주 5회 일반적인 작업치료만 실시 하여,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삶의 질 향상이 나타났지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 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치료정원을 활용한 원예작업치료 프로그램은 환자가 활동을 이해하고 적절한 수준의 활동을 제시받 기 위해 작업분석 후 동기부여, 적응, 수행기술, 사회적응기술이란 4단계로 등급화(garding)하여 각 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구 성하였다. 치료정원에서의 원예활동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생활에 서 자기만족감이 향상되고, 우울감이 감소되어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원예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 미치고, 구체적 개선부분을 찾기엔 제 한이 있으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치료기간이 늘어나고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치료공 간이 확대됨에 따라 장기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며 만성뇌졸중 환자가 지역사회에 생활 할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한 시기 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원예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만성뇌 졸중 재활과정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healing garden on quality of life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 current study was applied to 30 chronic stroke patients that were hospitalized at rehabilitation facility of S hospital in Seoul between March and September 2008. The group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N=17) and a control group(N=13), and the therapy was given 5 times a week for 12 weeks, and each session lasted 30 minutes. Patients in the experiment group went through four sessions of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combining a treatment that enhances upper-body functions and training for daily activities.and one session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healing garden. Meanwhile,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went through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5 times a week. For the pre- and post-evaluation of the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the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was applied. After undergoing the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patients in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by 12.8 points from 151.4 to 164.2,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p=0.001). In comparison, the average score of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increased by 7 points from 124.9 to 131.9,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p=0.01). Although patients in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QOL after the therapy program, the increase of average score was greater for the experiment group. This finding suggests that a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healing garden affects chronic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it is time to establish a long-term planning and implement the therapy program as the treatment period of chronic stroke patients grows longer and the community-oriented spa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increases.

      • SCOPUSKCI등재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손 기민성에 미치는 효과

        김미영,박우권,김성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6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e occupation therapy program via healing garden which is increasing the emotional stability and hand Dexterity enhancement on pre-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disorder. The current study included 2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hronic mental disorder under the rehabilitation service at E capital hospital in Seoul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0. All of patients participated with agreement in this study, then were divided randomly by experimental (n=17) and control groups (n=12). Therapeutic program was consisted with total 38 sessions, and performed once a week for 10 months.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a healing garden (one time), as well as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ur times) in a week. Control group was conducted only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ive times a week.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gram,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est and hand dexterity test was used before and after program.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person-centered therapy, then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However, hand dexterity of experimental group was markedly changed between before (112..4±50.9 sec) and after (82.1±40.6 sec) therapy. Moreover, the speed of performance in GPT was increased with rising therapeutic sessions, indicating the hand dexterity was improved after program.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program using the healing garden is beneficial for pre-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disorder.

      • KCI등재

        지역사회인지자극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의 노인의 인지기능과 주관적기억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박우권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주관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 G시 D치매안심센터에서 2021년 4월부터 2021년 8월까지 3개월 이상 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5명으로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3 개월 동안 주 3회 총 36회 인지자극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인지자극프로그램은 지남력 강화, 인지훈련, 회상과 음악, 미술, 신체 놀이 등 다양한 활동으로 인지 기능을 자극하고, 사회기능 향상 목적으로 동용. 민요, 타악기, 국민체조, 춤, 게임, 전래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인지자극 프로그램 진행한 결과 인지기능은 인지자극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이 26.33점에서 실시 후 평균이 28.46점으로 2.13점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주관적 기억은 인지자극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이 7.13점에서 실시 후 평균이 3.60점으로 3.53점 감소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이 결과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인지자극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치매로 인한 비용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나 인지기능 저하는 노인의 삶의 질이 떨어지고 그로인한 다양한 부담을 가져온다. 앞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는 인지자극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글판 Wolf Motor Function Test 기능점수와 일상생활활동 능력간의 상관관계

        우희순,박우권,차태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3

        목적 : 본 연구는 만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한글 판 울프 운동 기능 검사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기능점수와 일상생활 평가도구인 수정 바델 지수(Modified Bathel Index; MBI) 와의 영역별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경기도 안산지역에 위치한 전문재활병원에서 신체기능 증진을 위해 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뇌졸중 환자 100 명을 대상으로 WMFT와 MBI를 적용하여, 대상자의 환측 상지 WMFT 기능점수와 MBI의 총점 및 개별항목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 다양한 MBI 항목 중 상지의 전반적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목욕하기(r=.55), 개인위생(r=.52), 화장실 이용 (r=.50) 등의 일상생활항목에서 WMFT와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WMFT는 MBI 개별항목과 중등도(r=.50) 전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 회 복과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독립성 향상을 위해 환측 상지의 기능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평가에 근거한 객관적 목표 설정이 중요한 만큼, WMFT 활용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Effect of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Program on the Emotional Rehabilitation of Acute and Chronic Mental Disorder Patients

        김미영,박우권 인간식물환경학회 2018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program using a healing garden on the emotion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mental disorders, an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sing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as a 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to promote the soci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In this study, 20 patients diagnosed as chronic mental disorder at Seoul Metropolitan E hospital and 22 as acute mental disorder at Incheon H hospital were divided into 2 groups for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HOT) and Group occupational therapy (GOT).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was provided 4 times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s of patients with chronic and acute mental disorders, and a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a healing garden was provided only once a week, a total of 12 sess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s. For the control groups of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mental disorders, occupational therapy was provided 5 times a week only. Among the acute mental disorder patients,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emotional stress scale (ES),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n’t (p<.001). On the other hand, such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seen among the chronic GOT. Futhermore, the chronic HOT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in physical stress scale (PSE).

      • KCI등재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박우권,김성렬 인간식물환경학회 201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healing garden on quality of life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 current study was applied to 30 chronic stroke patients that were hospitalized at rehabilitation facility of S hospital in Seoul between March and September 2008. The group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N=17) and a control group(N=13), and the therapy was given 5 times a week for 12 weeks, and each session lasted 30 minutes. Patients in the experiment group went through four sessions of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 combining a treatment that enhances upper-body functions and training for daily activities — and one session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healing garden. Meanwhile,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went through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5 times a week. For the pre- and post-evaluation of the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the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was applied. After undergoing the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patients in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by 12.8 points from 151.4 to 164.2,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p=0.001). In comparison, the average score of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increased by 7 points from 124.9 to 131.9,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p=0.01). Although patients in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QOL after the therapy program, the increase of average score was greater for the experiment group. This finding suggests that a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healing garden affects chronic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it is time to establish a long-term planning and implement the therapy program as the treatment period of chronic stroke patients grows longer and the community-oriented spa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in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