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미술표현능력, 미술감상능력,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박외영 ( Woe-young Park ),문승한 ( Sung-han M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 연구는 중학생의 미술표현능력과 미술감상능력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상남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 전체에는 자기효능 중 자기조절 효능감이 가장 크고, 다음에 심리적 안녕감 중 대인관계의 영향력이 크다. 따라서 중학생의 정서조절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의 자기조절 효능감의 증대와 대인관계의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정서조절에 미치는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는 정서조절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능동적 정서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제달성을 위해 자기 판단, 자기 관찰인 인지과정과 자기반응 동기과정을 잘 사용할 수 있는 효능기대감인 자기조절 효능감을 훈련하며, 과제난이도 선호에 적극적 태도를 길러 줄 필요가 있다. 셋째, 회피 정서조절에는 자기효능 중 자신감과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이 그 영향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삶의 목적 설정에 대한 교육과 자신감 향상이 필요하다. 넷째,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에는 심리적 안녕감 중 대인관계와 자기효능 중 조절효능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지지추구적 정서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자기조절 효능감의 훈련이 필요하다. With a view to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rt expressive ability, appreciation abi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nd their emotional control and relativ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foregoing factors on the emotional control,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494 middle school student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 control efficacy among the sub factors of self efficacy has the largest effect on the entire emotional control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to improve the emotio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we should focus on improving self-control 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on emotional control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al control. Therefore, to improve active emotional control, training on self-control efficacy, which is efficacy expectation that enables using cognitive processes that are self-judgment and self-observation and self-response motivational processes well is necessary for task accomplishment and attitudes active for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levels should be fostered. Third, evasive-distributed emotional control is negatively affected by self-confidence and the purpose of lif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urpose of life and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are necessary. Fourth, training on self-control efficacy training is necessary to improve support seeking emotional control and training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also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