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배경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방법 모색 -“언어자각(Language Awarenes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영옥,이진경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3 No.-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문화 유아가 다중언어 환경과 다문화 환경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학교 언어인 한국어를 잘 습득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도 다문화 유치원을 운영하고 누리과정과 연계한 다문화 유아를 위한 언어프로그램도 개발하였다. 그러나 아직 다문화 가정의 부모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은 부족하다. 유치원 교육에 다문화 배경의 부모가 참여하는 것은 교육의 주요 매개자인 교사뿐만 아니라 학부모가 다문화 유아의 언어 이해에 함께 협업함으로서 사회 언어적 다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언어자각”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 발달에는 모든 언어가 유용하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다중 언어 환경과 다문화적 접근 방법을 통하여 다문화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을 하는 것이다. 또한 유치원 교육에 학부모가 참여함으로서 유아, 교사 그리고 학부모 3자간에 연대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문화 가정 유아가 유치원에 적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다문화 유아는 어머니의 언어를 유치원에서 또래들과 함께 배움으로서 보다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수립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 프로그램은 다문화 유아뿐만 아니라 또래의 일반 유아들 역시 다양한 언어에 노출됨으로서 자신과 다른 언어, 민족, 문화적 배경이 다른 이들에 대하여 좀 더 열린 시각을 갖게 하여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동시에 각 나라 언어의 음소의 구분과 음절의 차이와 유사성을 구분할 수 있는 비교적 시각을 갖게 되어 한국어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 way to support multicultural children to learn Korean language, which is a school language, while multicultural children adopt multilingual environment and multicultural environment naturally. Recently,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tor of Korea has also developed a language program for multicultural children, which has been implemented at a multicultural kindergarten and links with the Nuri curriculum,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Childcare Center education in Korea.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programs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volvement of par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kindergarten education can help sociolinguistic diversity by not only teachers who are the main mediator of education, but also parents as they work together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this context, the “Language Awareness” program is based on the fact that all languages ​​are useful for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It is a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for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multilingual environment and multicultural approach. In addition, participation of parents in kindergarten education can form a sense of solidarity amo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and can help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dapt to kindergarten in Korea. This approach is also helpful for multicultural children to establish a more positive identity by learning their mother tongue with their peers in kindergarten setting. This program contributes to both multicultural children and other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Non-multicultural children are also exposed to various languages, allowing them to have a more open-view of their own and other languages, ethnic and cultural backgrounds, thus helping them gain access to other languages and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is process, it develops the ability to learn Korean with a comparative perspective that can distinguish phonemic distinctions and syllabl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each language.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

        박영옥,장진희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ndergarten teachers’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s into environmental support attitude, social support attitude, and academic support attitu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nd analysis on 550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national·public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 around the nation.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was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towards inclusive attitude according to their variable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ir responsible class, career in inclusiv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towards inclusive education(environmental support attitude, social support attitude, academic support attitude) affected the service agency, teaching experience, career in in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training as a major factor because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and responsible class(general class, inclusive class special class) of kindergarten teachers. To raise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take responsibility for securing kindergarten teachers status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expand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inclusive education to cope with actual situation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raining program of inclusive education.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환경적 지원 태도, 사회적 지원 태도, 학습적 지원 태도로 분석하여 통합교육에 미치는 태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국·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일반유아교사 및 유아특수교사 등 550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태도 분석은 SPSS 20.0과 AMOS 20.0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담당학급, 통합교육 경력 및 통합교육 연수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리고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과 담당학급(일반학습, 통합학급, 특수학급) 간에는 상호 관련성이 있으므로, 담당학급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환경적 지원태도, 사회적 지원태도, 학습적 지원태도)가 유치원 교사의 근무기관, 교육경력, 통합교육 경력, 통합교육 연수 등에 주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사의 신분보장을 국가차원에서 책임져야 하고 통합교육 연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교수 경험과 실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교사교육 및 통합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의 확산 속성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박영옥,이재덕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how teachers, who are the subjective existences of educational reform, perceive the attributes of the diffus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hieved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Rogers’ diffusion theory employ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We find that the attributes of diffusion cover several aspects regarding teachers. First, in terms of relative advantage, it includes enhancing profession, satisfaction, and institutional benefit. Second, for compatibility, the attributes of diffusion show the sense of vocation, valuing education, and a culture of trust. Third, on the other hand, it includes misunderstandings, conflict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related to the complexity. Fourth, with the trial-ability, diffusion attributes include trying in an accommodative atmosphere and a practical and specific idea. Finally, in terms of observable points, it includes checking performance through experiences, and indirect experience by sharing exam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pread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개혁의 주체인 교사들이 교사학습공동체의 확산 속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탐색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방법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였 으며, Rogers의 확산이론을 분석들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대적 이익 측면에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 높은 심리적 만족감, 제도적 이익 등이 나타났다. 둘째, 적합성 측면에서 직업적 소명의 식, 교육적 가치 추구, 소통을 통한 신뢰의 문화 등이 나타났다. 셋째, 복잡성 측면에서 오해와 갈등, 물리적·심리적 장벽 등이 나타났다. 넷째, 시험 가능성 측면에서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시도하 기,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아이디어 등이 나타났다. 다섯째, 관찰 가능성 측면에서 직접 경험을 통한 성과 확인, 사례 공유를 통한 간접 경험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양적 확산뿐만 아니라 질적 확산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산업용 여과포집진장치의 운전 및 성능

        박영옥 한국막학회 1995 멤브레인 Vol.5 No.1

        먼지는 일반적으로 입자크기가 10μm 이상의 강하 먼지와 10μm 이하의 부유먼지로 구분하며, 이들의 먼지는 대기중에서 인간이나 동.식물에 주로 영향을 준다. 입자크기 범위가 0.1~10μm 사이의 부유먼지는 주로 산업공정에서 연료의 연소 또는 고체상 물질의 분쇄 및 수송공정 등에서 주로 발생되며, 입자크기가 2.5μm인 것들은 대기중에서 황산화성 미세먼지와 질산화성 미세먼지로 전환되어 가시도(visibility)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대기중에 부유된 먼지중에서 8μm 이하는 호흡시 호흡기로 유입되는 입자크기로써, 입자크기가 6.0μm 이하인 것은 약 10% 정도가 인간의 폐내로 유입되고, 4.0μm 이하인 것은 30%, 2.0μm 이하인 것은 약 99%가 폐(lung)에 유입되어 폐에 침착된다고 보고하였다. 앞으로 산업발전이 계속됨에 따라서 먼지의 배출량이 계속 증가할 것이며, 이로 인해 먼지에 의한 대기오염이 심각해질 뿐만 아니라 인간에 미치는 피해도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