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Increased Tuberculosis Burden Due to Demographic Transition in Korea from 2001 to 2010

        박영길,Yoon-Sung Park,Kyoung In Na,En-Hi Cho,Sang-Sook Shin,김희진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13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4 No.3

        Background: Notified tuberculosis (TB) cases in Korea have not decreased over the last decade (2001–2010). Methods: To clarify the reasons, we analyzed an annual report on notified tuberculosis patients and age-specific population drift in Korea. Results: Compared to the age-specific notified TB cases between 2001 and 2010, distinctive features in notified TB cases and new cases increased markedly in people aged 45–54 years and in patients over 65 years old, whereas those between 15–34 years in 2010 decreased drastically. In particular, notified TB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occupied 29.6% of the cases in 2010, which was 1.5 times higher than that in 2001. The main reason not to decrease in notified TB patients for the last decade (2001–2010) was due to the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as well as the aging of baby boomers, which have a higher risk of TB development. Conclusion: Korea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older population in order to successfully decrease the burden of TB in the future.

      • KCI등재SCOPUS

        폐경기후 여성의 난소에 발생한 평활근종 1 예

        박영길(Young Kil Park),한치동(Chi Dong Han),한재수(Jae Su Han),박미옥(Mi Ok Park),박재복(Jae Bok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2

        Leiomyoma is one of the rarest solid tumor of the ovary. Approximately 50 cases have been published to date. However, most reported leiomyoma of the ovaries were small and rarely induced serious symptoms. We report a case of ovarian leiomyoma in 57-year-old woman which has been experienced in our haspital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레짜까(Recaka), 뿌라까(Pūraka), 꿈브하까(Kumbhaka)의 정의 : 라그후비라(Raghuvīra)의 『꿈브하까 편람』(Kumbhakapaddhati)을 중심으로

        박영길(Park, Younggil) 한국요가학회 2021 요가학연구 Vol.- No.25

        『고락샤의 백송』(Gorakṣaśataka)을 비롯해서 『하타의 등불』(Haṭhapradīpikā) 등 전통적인 하타요가 문헌에 따르면 ‘뿌라까’(Pūraka)는 ‘들숨’을 의미하고 ‘레짜까’(Recaka)는 ‘날숨’을 의미하며 ‘꿈브하까’(Kumbhaka)는 ‘멈춤’을 의미한다. 그리고 바로 이 세 가지 작용에 의거해서 ‘쁘라나야마’(prāṇayāma)의 기법 역시 ‘뿌라까-쁘라나야마’(Pūraka-Prāṇayāma, 들숨 후 멈춤), ‘레짜까-쁘라나야마’(Recaka-Prāṇāyāma, 날숨 후 멈춤), ‘꿈브하까-쁘라나야마’(Kumbhaka-Prāṇāyāma, 멈춤에 의한 멈춤)로 나누어졌다. 물론 풀무(bhastrikā), 승리(ujjayī) 등 전통적인 하타요가 문헌에서 설명된 쁘라나야마의 기법들은 모두 ‘뿌라까-쁘라나야마’(들숨 후 멈춤) 범주에 속하고 ‘숨을 마시는 기법’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쁘라나야마의 기법들’과는 별개로 뿌라까, 레짜까, 꿈브하까의 경우 그 작용이 세분화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표적인 용어는 ‘안따라-꿈브하까’(Antara-Kumbhaka), ‘바히야-꿈브하까’(Bāhya-Kumbhaka), ‘바히야-레짜까’(Bāhya-Recaka) 등이다. 하지만 이 용어들의 경우, 그 실체가 분명치 않았을 뿐만 아니라 원전적 근거도 명확치 않았다. 17-19세기에 아사나(āsana)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듯이 쁘라나야마, 무드라의 기법 역시 적지 않게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부분의 하타요가 문헌이 필사본으로 잠들어 있고 따라서 ‘안따라-꿈브하까’를 비롯한 용어들의 원류와 의미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근래, 새로운 필사본의 발굴과 더불어 하타요가의 다양한 꿈브하까를 설명하는 새로운 문헌이 출현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라그후비라(Raghuvīra)의 『꿈브하까 편람』(Kumbhakapaddhati)이다. 『꿈브하까 편람』은 ‘바히야’(Bāhya), ‘바히야비얀뜨라’(Bāhyābhyantara), ‘안따라’(Antara)와 같은 세부적 작용에 의거해서 뿌라까, 레짜까, 꿈브하까의 작용을 각각 세 종류로 분화해서 설명하는데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뿌라까, 레짜까, 꿈브하까의 개별적 정의와 작용구분 (개별적 정의) 뿌라까Pūraka (들숨) Ⓟ1 바히야-뿌라까 Bāhya-Pūraka Ⓟ2 바히야비얀따라-뿌라까 Bāhyābhyantara-Pūraka Ⓟ3 안따라-뿌라까 Antara-Pūraka 레짜까Recaka (날숨) Ⓡ1 안따라-레짜까 Antara-Recaka Ⓡ2 바히야비얀따라-레짜까 Bāhyābhyantara-Recaka Ⓡ3 바히야-레짜까 Bāhya-Recaka 꿈브하까Kumbhaka (멈춤) Ⓚ1 안따흐-꿈브하까 Antaḥ-Kumbhaka Ⓚ2 바히야비얀따라-꿈브하까 Bāhyābhyantara-Kumbhaka Ⓚ3 바히흐-꿈브하까 Bahiḥ-Kumbhaka 본고에서는 『꿈브하까 편람』에 의거해서 위의 아홉 작용 각각을 정의한 후 ‘들숨-멈춤-날숨’의 순서에 의거해서 아홉 작용의 순서를 분석할 것이다. According to Hatayoga literature, including Gorakṣaśataka, Haṭhapradīpika etc, ‘Pūraka’ means ‘inhalation’ and ‘Recaka’ means ‘exhalation’, and ‘Kumbhaka’ means ‘stop-breathing’. And based on these three functions, ‘Prāṇāyāma’ is also divided into ‘Pūraka-Prāṇāyāma’, ‘Recaka-Prāṇāyāma’, and ‘Kumbhaka-Prāṇāyāma’. However, as can be seen in terms such ‘Antaḥ-Kumbhaka’, ‘Bāhya-Pūraka’, ‘Bahiḥ-Kumbhaka’... Pūraka, Recaka and Kumbhaka were subdivided into according to their action. But, It was not clear whether these terms were neologisms or were actually used in sanskrit text, and there meaning was also unclear. In this respect, the noteworthy text is Raghuvīra s Kumbhakapaddhatī which explains Pūraka, Recaka and Kumbhaka in nine categories in terms of ‘Bāhya’, ‘Bāhyābhyantara’, and ‘Antara’. Acconding to Kumbhakapaddhati, the detailed action of Pūraka, Recaka, and Kumbhaka are as follows. Detailed Definition and Action of Pūraka, Recaka, and Kumbhaka ( Viśeṣalakṣana----- Action ) 1. Pūraka Ⓟ1 Bāhya-Pūraka-----Inhaling through the nose Ⓟ2 Bāhyābhyantara-Pūraka----- Filling vāyu from the nose to lungs Ⓟ3 Antara-Pūraka -----Filling vāyu from lungs to Suṣumṇā . 2. Recaka Ⓡ1 Antara-Recaka -----Vāyu comes out of Suṣumṇā and goes to the lungs Ⓡ2 Bāhyābhyantara-Recaka -----Vāyu goes from lungs to nose Ⓡ3 Bāhya-Recaka----- Vāyu goes 12 aṅgula-s out of nose 3. Kumbhaka Ⓚ1 Antaḥ-Kumbhaka----- Vāyu stays in the Suṣumṇā Ⓚ2 Bāhyābhyantara-Kumbhaka-----Vāyu stays in the lungs Ⓚ3 Bahiḥ-Kumbhaka----- Vāyu stays 12 aṅgula-s outside the body . According to this chart, Pūraka→Kumbhaka→Recaka movements are arranged as follows. Classification of Pūraka, Kumbhaka, Recaka Action Ⓟ1 Bāhya-Pūraka Inhale the Vāyu that was 12 aṅgula-s outside the body through the nose ↓ Ⓟ2 Bāhyābhyantara- Pūraka Vāyu enters the lungs Ⓚ1 Bāhyābhyantara- Kumbhaka Vāyu stays in the lungs ↓ Ⓟ3 Antara-Pūraka Vāyu enters the Suṣumṇā ↓Ⓚ2 Antaḥ-Kumbhaka Vāyu stays in the Suṣumṇā ↓ Ⓡ1 Antara-Recaka Vāyu gets out of Suṣumṇā ↓ Ⓡ2 Bāhyābhyantara- Recaka Vāyu goes from the lungs to nose ↓ Ⓡ3 Bāhya-Recaka Vāyu goes out 12 aṅgula-s from nose ↓ Ⓚ3 Bahiḥ- Kumbhaka Vāyu stays 12 aṅgula-s outside the body Ⓟ1 : Sāmanyalakṣaṇa of Pūraka * Ⓡ3 : Sāmanyalakṣaṇa of Recaka * Ⓚ1 : Sāmanyalakṣaṇa of Kumbhaka

      • KCI등재

        해수면 상승과 해양 관할권 범위의 문제

        박영길(Young Kil Park)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37 No.-

        해수면이 점점 더 많이 상승하고 있다. 금세기 말이 되면 1미터가 넘게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보고서도 있다. 만약 이러한 보고서가 맞다면 많은 연안국의 저지대가 물에 잠길것이고 태평양의 소도서국들은 국가로서 존립하기 조차 어려울 것이다. 이 글은 해수면 상승이 국가의 해양관할권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국가의 해양관할권은 기선을 기준으로 그 범위가 정해진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기선이 육지 쪽으로 이동하면 그에 따라 영해, 접속수역, EEZ의 폭도 이동한다. 물론 유엔해양법협약이 기선이나 해역의 범위를 동결시켰거나 국가 간 경계선이 경계협정이나 국제법원의 판결에 의해 정해진 경우에는 관할 해역의 범위가 이동하지 않는다. 이 글은 이렇게 해수면 상승에 따라 기선이 이동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와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자들에 의해 대안으로 제시되는 기선의 동결이라는 관습국제법의 형성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Global sea level has been rising continuously. The Australian government estimated in a report in 2009 that sea level could rise more than a metre by 2100. Sea level rise can lead to side effects to the coastal states. The even more extreme vulnerability of low-lying coastal areas and islands to sea level rise is notorious with the most serious threat being to the continued viability and actual existence of small island states such as Tuvalu, Kiribati and Maldive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sea level rise to the scope of maritime jurisdiction of coastal states. The limits is determined by the baselines of coastal states. In general, as a result of sea level rise, if the baselines of a coastal state move landward, the limits of territorial sea, contiguous zone and EEZ will also move to landward. However if the baselines or boundaries are confirmed by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bilateral agreements or judgments of international courts, the sea level will have no effect on the scope of maritime jurisdiction. The paper studies the legal effects of the movement of baselin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freezing the baselines which is suggested by many scholars as lex ferenda, a new customary international law.

      • KCI등재후보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thayogapradipika) 제3장 「무드라」

        박영길(Park, Younggil) 한국요가학회 2009 요가학연구 Vol.1 No.1

        무드라(mudra)는 하타요가의 핵심 기법이다. Hp.에 따르면 무드라를 수련하는 주요한 목적은 신체에 잠재된 에너지 즉, ‘수슘나 입구에서 잠든 여신, 꾼달 리니(kundalini)’를 각성시키는 것이다. 꾼달리니의 각성이 하타요가의 핵심이자 토대이므로 무드라가 하타요가 수련법의 근간이라는 것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무드라에 대한 학계 차원의 연구는 빈약하다. 본 논문은 대표적인 하타요가 문헌이자 현재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는 고전,「하타요가쁘라디삐까」중 세 번째 가르침(제3장) 무드라를 번역하고 Jyotsna에 의거해서 뜻풀이를 하였다. Mudra is the central topic in Hathayoga practice after one has thoroughly mastered the techniques of asana and pranayama. The goal of practising mudra is to awaken the dormant kundalini at the gate of susumna, the potential energy in the human body. This is a partial translation of the Hathayogapradipika, a representative text of Hathayoga, whch has remained influential up to the present, namely of the third teaching (trtyopadesa) on mudra, relying on Jyotsna, Brahmananda s commentar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