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지압 하에 있는 대규모 지하공동의 지보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연준(Yeonjun park),유광호(Kwangho You),최영태(Young Tae Choi),김재용(Jai Yong Kim) 한국암반공학회 2004 터널과지하공간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측압이 매우 큰 암반에 대규모 유류저장공동을 병렬로 굴착할 경우, 공동 및 지보재의 역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공동 주변 암반의 거동을 분석하고 주된 지보재인 rockbolt와 숏크리트의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각 지보재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적정한 지보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지보재 모델링 기법, 공동 단면 형상, 지보재의 규격 등이 공동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해석결과 지보재의 타설시기와 다단계 굴착에 따른 공동 형상의 변화가 지보재에 발생하는 응력에 큰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변형 및 파괴 특성을 고려한 해석기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A numerical st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large oil storage caverns excavated in a rock mass under high initial horizontal stress. The behaviors of the surrounding rock mass, rockbolts, and shotcrete were analyzed and stability of the support members were assessed. For a proper support system design, the effect of the modelling technique, cavern shape and rockbolt length on the stability of the cavern was investigated. Results show that installation timing of supports and the change in cavern shape due to step-wise excavation affect the stress induced in support members. Also found was desperate need for a numerical technique which can properly reflect the behavior of the steel fiber reinforced shotcrete.

      • KCI등재

        노르웨이 메로케르 수력발전소의 TBM 굴착

        철환(Chulwhan Park),박연준(Yeonjun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05 터널과지하공간 Vol.15 No.1

        본보는 1998년 노르웨이 토질암반공학협회에서 일히 발간한 Norwegian TBM Tunnelling 전문지에 수록된 논문을 소개하는 기술보고서이다. 노르웨이 중부 Meraker 지방에 새로운 수력발전사업이 진행되어, 발전소 및 터널, 댐이 건설되었다. 단면적이 7 m² 부터 32 m² 까지 다양한 형태의 터널들이 비교적 경암층에 굴착되었으며 이의 총 연장은 44㎞에 달한다. 이 가운데 직경 3.5 m의 터널 10 ㎞가 HP TBM으로 12개월 만에 굴착되었다. 이 터널에서 TBM의 굴착과 장비선정 외에도, 기획, 운영 및 조직 등이 특별한 관심을 끌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article explaining a TBM project overall in Norway. The paper which published in Norwegian TBM Tunnelling by Norwegian Soil and Rock Eng. Assoc. in 1998, contains most of the items considered in TBM tunnelling. New powerplants, tunnels and dams have been built at Meraker in Central Norway. A total of 44 ㎞ of tunnels with cross sections varying from 7 m² to 32 m² have been excavated in hard rock formation. Tunnel of 10 ㎞ with the 3.5 m diameter was excavated by a HP TBM in a year. his project gives the special attention to the TBM drive and equipment selection, including planning, site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 KCI등재

        강관말뚝과 콘크리트말뚝을 혼용하는 흙막이 벽체의 토압분담효과에 관한 연구

        이강근(Lee, Ganggeun),박연준(Park, Yeonjun)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2

        최근 흙막이 구조물의 안전성 향상 및 인접지반의 변형억제를 위해 기성말뚝을 흙막이 구조물 벽체로 활용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가설 흙막이 구조물로서만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을 뿐 건축구조물 벽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토압분담효과는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말뚝 및 강관말뚝과 같은 기성말뚝을 이용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거동특성을 확인하고 건축물벽체의 상호작용을 고려해 토압분담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내모형실험을 통해 강관말뚝의 설치간격에 따른 토압분담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흙막이 벽체의 높이와 지반조건에 따른 토압분담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성말뚝을 사용하는 흙막이 벽체와 건축물 벽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건축물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15%~49.7%의 감소효과가 확인되었다. Recently, earth retaining walls composed of ready-made piles have been studied for improving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wall and restricting adjacent ground deformation. However, these walls have been used in a limited manner as temporary retaining walls, without considering the earth pressure reduction effect, which interacts with the building structure. Hence, in this stud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earth retaining walls with ready-made concrete and steel piles are analyzed. The earth pressure reduction effect is estimated by quantitativel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le retaining wall and building structure. A laboratory model test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arth pressure reduction effect based on the steel pile installation interval; numerical analysis is conducted for effect analysis based on the retaining wall height and ground condition. The earth pressure at the building structure decreases 15%-49.7%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le retaining wall and building structure.

      • KCI등재

        시추공 영상자료와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한 절리 방향성의 수직적 변화양상에 관한 정량적 평가

        김기석(Kiseog Kim),영도(Youngdo Park),박연준(Yeonjun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08 터널과지하공간 Vol.18 No.3

        이 연구에서는 시추공 분석 작업을 통해 획득된 암반절리 방향성이 심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의 확인을 위해 피어슨 카이제곱 통계검정이 실시되었다.대상 암반은 모암이 화강암질 편마암인 두 지역으로서,이와 같은 엽리가 발달하지 않은 괴상의 암상 선정은, 엽리가 존재하는 암석의 경우 절리 방향성이 엽리에 의해 영향을 받고 엽리의 방향은 습곡 등의 지질작용에 의해 심도에 따라 다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암반절리들의 방향파악을 위해 시추공 영상이 이용되었다.획득된 방향자료를 천부구간과 심부구간의 자료로 분류한 후21영역으로 구성된 분할망에 각각 투영 후,분류표를 작성하여 통계검정을 실시하였으며,분석결과 두 지역중 한 지역의 자료는 비동질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터널과 같은 지하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암반공학적으로 중요한 절리면의 방향성에 대한 조사시 원위치 조사가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We have carried out Pearson-type chi-square tests on the orientation data of joints from different depths in order to estimate the homogeneity of joint orientations obtained from a borehole. The orientation data of joints were collected from two non-foliated massive rocks of granitic gneisses in South Korea since orientations of joints in folded metamorphic rocks, for example, are controlled by foliation and also changes as the orientations of foliation change by folding. Borehole imag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orientations of individual joints. The orientation data were subdivided into the upper level data and lower level data. The data from these two levels are plotted on the patch net consisting of 21 orientation patches. Then, the two patterns on the patch net were analyzed using a contingency table. From the chi-square test on the data collected from two sites, we found that some data sets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orientations of joints. Since joints are one of the important parameters in determ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rock masses, in situ investigation of joints are desirable in the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also in design of subsurface structures (e.g. tunnels and underground storages).

      • 도시철도 지중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모형실험 연구

        신홍영(Hong-Young Shin),박연준(YeonJun Park),김기홍(Ki-hong Kim),장영두(Youngdu Jang),한영성(Young-Sung Han)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10

        구조물의 내진설계는 탄성설계방법으로 시작되었으나 최근 내진설계에서는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과 붕괴를 고려할 수 있는 경제적인 설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기존의 강도설계 개념보다 구조물의 성능에 근거한 성능설계 개념의 설계법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도시철도 지중구조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하여 새롭게 개발된 복합판을 이용한 연성보강 시스템에 대한 보강효과 검증을 위하여 지중구조물에 대한 보강전후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여야 하므로 실제규모의 모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성능평가 실험을 계획하였으나 실험실 규모 등의 제약조건으로 인하여 대형 지중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할 수 없었으며 기존의 실험결과와 이론적인 접근을 이용하여 근사화된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Earthquake resisting design of the urban rail underground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on the theory of elasticity; however, but recently raised the need for the nonlinear behavior of the structure and cost-effective design metho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structure, so that the performance design concept of the design method has emerg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ngthening system full-size experimental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were planed. Due to the constraints of laboratory full-size experiment was unable to perform. Therefore, the approximate performanc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and theoretical approach.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were validat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E-Defence.

      • KCI등재

        강재로 보강된 숏크리트 거동의 수치해석적 연구

        이상돈(Sangdon Lee),박연준(Yeonjun Park),임두철(Doochul Lim),손정훈(Jeonghun Son),유광호(Kwangho You),김수만(Suman Kim) 한국암반공학회 2008 터널과지하공간 Vol.18 No.3

        숏크리트의 지보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지보재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지만 강지보재 종류별 성능이 파악되지 못하여 설계에 제대로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강지보재에 의해 보강된 숏크리트의 특성을 휨인성 시험을 통하여 파악하고,그 결과를 수치해석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철근보강 숏크리트는H형강이나 격자지보에 비해 지보능력이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험체가 휨인장 파괴를 유도하기에는 다소 짧아서 전단파괴가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 해석을 이용한 안정성 해석 시 숏크리트와 강지보재를 별도로, 그리고 이들 복합체에 대한 등가물성을 구하여 각각 해석한 바 두 결과가 잘 일치하여 등가물성을 이용한 복합체 해석으로도 간편하게 강지보재의 효과를 모사할 수 있었다. The steel ribs which are used to enhance the supporting capability of the shotcrete are estimated to be very effective, but thei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s of steel support are not well understood enough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stage. This paper describes the behavior of the shotcrete reinforced by various types of steel supports. Through flexural toughness test, major strength parameters such as flexural tensile strength, equivalent flexural tensile strength and residual tensile strength were obtained and used in the numerical analyses. Test results show that steel rebar was not as dependable as H-beam or lattice girder but close examination of the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specimen was failed in shear because of the shorter span than desired. Therefore tests on the properly dimensioned specimens are necessary for valid evaluation of the steel rebar reinforced shotcrete. In the first set of numerical stability analyses, shotcrete and steel supports were modelled separately. Then compared with the second set of analyses in which shotcrete and steel supports were regarded as a composite material. The two results coincided reasonably and this equivalent model turned out to be useful. Key words Shotcrete, Flexural tensile strength, Steel supports.

      • KCI등재

        수평경사계를 이용한 토사터널의 선행변위 예측

        김주화(Chuhwa Kim),채영수(Youngsu Chae),박연준(Yeonjun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08 터널과지하공간 Vol.18 No.5

        터널의 굴진에 따른 변위량은 터널 주변지반의 지질상태,굴착방법,보조공법 등에 따라 다양한 값을 보여 그 값을 예측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변위량을 파악하여 터널굴진 시 주변지반의 지표침하 및 상부구조물의 침하량을 예측하고, 상부구조물의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완대책 공법의 대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수평경사계를 이용하여 굴착이전 막장 전반부에서 발생하는 침하량과 굴착직후 발생하는 침하량을 계측 하였다.현장계측 결과를 토대로 역해석을 실시하여 최종 지반 물성치를 도출하였다.도출된 지반 물성치를 이용하여 터널의 굴진이 터널 직상부에 인접한 구조물 기초의 침하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Displacement caused by tunneling is difficult to predict since it is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ground condition, excavation method and supplementary method of reinforcement. In this study, horizontal inclinometer was employed to monitor ground settlements above a tunnel face before and after the excavation. Monitoring results were analyzed to predict the preceding displacement and settlement of the surface structur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used to establish a proper counter measure which keeps the serviceability of the surface struct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onitoring result, ground properties of the site were deduced and the influence of the tunnel excavation on the settlement of the foundation above the tunnel is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