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기독교 민족운동의 역사적 쟁점과 과제

        박양식 기독교학문연구회 2006 신앙과 학문 Vol.11 No.2

        Discussing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Korea, the first thing to review is about the matter of n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al movement may be defined according to how to define the matter of nation and how to grope for the solution of it. A acknowledge of the matter of nation makes grasping a historical problem of the moment. Joining hands with nationalism in Korea,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got a dynamic power of development. Therefore, the Korean Protestants raised the sense of mission, by which they would construct a new country based on the christian ideology as the new universal system. A new review is needed about the role that the christian nationalism in Korea played for a common goal of the nation called the integration of a nation. In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Korea, the national leaders who belonged to Christianity showed their intention to a integration of nation. That did not have been come true because of the division due to a differentiation of ideological line. A new approach to the christian nationalism in Korea, especially its logic and plan should be requested. The historical studies lead to a historical reflection and raise awakening to the task of the times. Awakening makes historical actions motivate, and making a history caused by it becomes the responsibility of the times of the Korean Christianity. 기독교 민족운동을 논하면서 먼저 생각해 볼 것은 민족 문제에 관련한 기독교인의 사고와 행동이다. 민족 문제를 어떻게 규정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하느냐에 따라 민족운동의 성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민족 문제에 대한 인식은 역사적 당면 과제를 파악하게 한다. 기독교 민족운동은 민족주의와 제휴하여 동력을 얻었다. 개신교를 받아들인 근대한국인은 새로운 보편적 체계인 기독교적 이념 위에서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사명감을 높였다. 이렇게 세워진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가 민족 통합이라는 민족 공동의 목표를 위해 행했던 역할에 대한 조명이 필요하다. 한국 기독교 민족운동에서 기독교인 민족 지도자들은 민족 통합의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그 목표는 노선 차이로 인한 분열 때문에 달성되지 못하였다. 이에 비추어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와 그것이 지닌 논리와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청된다. 역사 연구는 역사적 반성을 이끌어내며 시대적 과제에 대한 각성을 일으킨다. 각성은 역사적 행동을 자극하고 그로 인해 이루어지는 역사 만들기는 한국 기독교의 시대적 책임이다.

      • KCI등재후보

        종교개혁 이전 시기 한 독일인의 불만 감정

        박양식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We can think about certain emotions that people come to have just before revolution or reformation. It is a dissatisfied emotion that especially discovered and noted in such peoriods. This essay aims to observe a dissatisfied emotion that a German lower clergyman had before the Reformation. It deals with the emotions that he had discontented against a system of the Roman church generally. a dissatisfied emotion is conveniently chosen. This essay tries to pursuit emotional lines dissatisfied with a current situation and historical layers included a dissatisfied emotion. Firstly, I deals with various emotions involved in behavior sent a letter by a German lower clergyman. His recipient was dual, Cardinal and church council. His confusion reflects his entangled emotions. Despair and hope were crossed. He felt shame that he send anonymously and had a feeling of resistance that he ought to send. Then to him, distrust of Cardinal and expentacy to church council were entangled. Those kind of feelings were social as well as personal. Secondly, I reads a cluster of emotions from dissatisfied articles that stimulated him. His main emotion was rage. However, there were various emotions, a cluster of emotions behind his rage. Those were the betrayal, disappointed, distrustful, insulting, sympathy ones so and forth. Moreover he felt national sentiment as German compared with Italian. This means that his emotion did not confine to personal but to national. His affection toward Germany and antagonism to Roman Church and Italians became clear a national emotion that motivated national behavior as the Hussites. Lastly, I present the issues for deepening historical study of emotions. We insist to recognize that emotions in history are regarded as a kind of historical drives. To deepening historical study, historians try to grasp social relations and a matter of time in emotions seriously. 혁명이나 개혁 운동이 일어나기 직전에 사람들이 갖고 있을 감정의 문제를 상정해보자. 그러면 개혁이나 혁명 이전 시기에 사회 속에 표출되는 불만 감정들을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종교개혁 이전 시기의 한 독일인 하급성직자가 갖고 있는 불만 감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독일인이 로마교회 체제 전반에 대해 갖고 있었던 불만 사항들에 얽힌 여러 감정을 통칭하여 불만 감정이라고 규정하여 접근해 가고자 한다. 이 글에서 말하는 불만 감정이란 감정 이론가들이 제시하는 구체적인 감정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현 상황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사항에 얽힌 일군의 감정들을 지시하기 위한 편의상 용어이다. 이렇게 불만 감정이라고 규정한 것에 얽힌 감정선을 추적하며 그 감정선이 담고 있는 역사적 층위의 논점을 검토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첫째로 다룬 내용은 서신 발송 행위와 수신 대상에 얽힌 감정들이다. 서신 발송 행위 자체와 수신 대상의 혼란스런 기재에 관련하여 이중으로 교차되는 감정들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실망감과 희망이 교차하는 가운데 익명으로 서신을 보내는 부끄러움과 그래도 보내어 개혁을 요구해야 한다는 저항감이 부딪쳤으며, 추기경에 대한 강한 불신감과 종교회의에 대한 일말의 기대감이 얽혀 있었다. 이러한 독일인 하급성직자의 감정은 개인적인 감정이지만 사회적 관련성을 담고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둘째로 세세한 불만 사항들에서 읽어낼 수 있는 독일인 하급성직자의 여러 감정들을 살폈다. 불만 감정의 주된 기조는 분노의 감정이지만 그 분노의 감정 그 뒤에 숨겨진 세밀한 감정들이 있음을 찾아보았다. 배신감, 실망감, 불신감, 모욕감, 동감 등이 그것이다. 또한 독일인 하급성직자의 그 감정이 개인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민족적 차원으로 발전되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독일 민족에 대한 애정과 로마 교회와 이탈리아인들에 대한 적대감은 후스파와 같이 민족적 행동을 추동할 수 있는 민족 감정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하급성직자의 불만 감정에 관련하여 앞으로 감정의 심층적 역사 연구를 위해서 생각해야 논점들을 제시하였다. 우선 역사 현실 속의 감정 문제는 행동 유발 요인으로 중요한 역사적 동인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심층적 역사연구를 위한 논점으로 감정에 담겨 있는 사회관계적 내용의 성격을 파악해야 하고 감정이 지닌 시간성의 문제는 역사적 논의에서 진지하게 고려해 볼 사항이라는 점을 다루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혁명가와 청중반응-타보르파의 천년왕국운동을 중심으로-

        박양식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6

        혁명가와 청중반응-타보르파의 천년왕국운동을 중심으로- 박 양 식 서사의 새로운 추구가 역사학의 지평을 넓힌다.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타보르파의 천년왕국운동을 혁명가와 청중반응이라는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혁명가로서 예언자와 청중으로서 타보르파 민중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겠지만 시대적 징조에 따라 반응하는 점도 고려할 것이다. 타보르파 운동이 사회혁명운동으로 전개된 것은 시대적 징조에 통해 자극받은 예언자의 지도력 발휘와 민중의 적극적 반응에 따른 결과이다. 후스파 운동은 로마 가톨릭의 오류에서 벗어나려는 종교개혁운동으로 시작하여 얀 후스의 죽음 이후에는 민족항쟁운동으로 전개되었다. 후스파 봉기로 왕이 죽자 발생한 왕위계승권 문제와 가톨릭과의 관계설정 문제로 인해 후스파 운동은 보수파와 급진파로 나뉘었고, 급진파가 기존의 봉건질서와는 체제를 도입함으로써 사회혁명운동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급진파는 타보르에 모여 근거지로 삼았기 때문에 타보르파라는 명칭을 얻었다. 급진파가 세운 타보르 공동체는 완전사회를 지향하였을 뿐 아니라 평등주의적 공유제 질서를 도입하였다. 기존 질서를 거부하고 새로운 질서를 도입했다는 점에서 타보르는 일종의 혁명사회였다. 지상의 천년왕국으로서 혁명사회의 건설에서 하급성직자들이 예언자로서 한 역할이 결정적 요소였다. 인구 수에 비해 성직자들이 과도하게 배출된 상황에서 소외된 하급성직자들은 설교를 통해 민중의 행동을 이끌었다. 예언자들은 상징적 인물로서 기능하며 민중에게 종말의식을 불어넣어 행동하도록 만들었다. 그들은 요새화된 도시들로 피난하라고 명령함으로써 기존 사회에서 민중을 분리해 내었다. 또한 그들은 민중의 결속력과 조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교회전사로서 행동하게 만들었다. 예언자는 민중을 조직화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타보르파 민중은 예언자의 지도력에 따라 혁명적 반응을 보였다. 이들이 그렇게 반응한 것은 그들이 처한 박탈된 상황 때문이었다. 그들은 경제적으로 빈곤하였고 사회적으로 소외당하고 있었고 정치적인 고립 속에 고통을 받아야 했다. 더욱이 국외적으로도 십자군의 압박 속에서 예수의 재림을 확신하였다. 이런 일들은 하나의 시대적 징조로서 인식되었고, 종말론적 행동을 하게 만들었다. 징벌과 복수와 고난의 시기에 그리스도를 따르는 믿음의 행동을 보여야 한다는 예언자의 독려를 받은 타보르파 민중은 수동적인 평화주의에서 적극적인 혁명가로 변하여 새 시대를 열기 위한 정화작업에 열정적으로 참여하였다. 역사 운동을 서술함에 있어 새로운 서사적 관점을 찾아 적용하는 것은 역사상의 새로운 발견을 낳는다. 그런 점에서 역사 운동의 파악과 설명에서 새로운 역사적 설명 도구를 찾아 적용하여 새로운 역사상을 규명하는 노력은 지속될 필요가 있다. A Revolutionary and Audience-Response: Focusing on the Taborite Millenarian Movement Park, Yang Sik The new pursuit of narrative widens the horizon of historiography. The goal of this paper is what to descirbe the Taborite Millenanrian Movement in the view of a revolutionary and audience-response. This paper focuses on a prophet as revolutionary and Taborite folks as audience, and considers folks’ response according to signs. The Taborite Movement was developed as a social revolutionary movement, which was resulted from the leadership of the prophets and the positive response of the folks according to the signs. The Hussite Movement starts a reformation movement that break away the error of Roman Catholic, and develops a national resistance movement after the death of Jan Hus. It was divided as the conservatives and the radicals because of both succession of kingship and relationship with Catholic. It took on an social revolutionary movement. The radicals got the title called by the Taborite because they gathered Tabor, established a base. The Tabor Community not only aimed at a perfect society, but also introduced an equalitarian communist order. Tabor was a kind of revolutionary society in that they rejected the existing order and introduced new order. Constructing a revolutionary society as an earthly millennium, it was a decisive element that a role that a lower clergy as prophet did. A lower clergy was alienated socially in the circumstance that produced a number of clergy compared by population. They led action of the folks by preaching. Functioned as a symbolic figure, the prophets inspired eschatological consciousness, made the folks have an action. They disparted the folks from the established society by ordering to escape to the fortified cities. They also took a role to reinforce solidarity and organizational power of the folks, had them do as the Church Militant. The prophets took a decisive role in organizing the folks. The Taborite folks showed their response to the leadership of the prophets. The reason they responsed like that is their deprived conditions. They suffered from economic poverty, social alienation, political isolation. They confirmed Jesus’ second coming in pressure of the Crusade internationally. These kind of things were recognized as a sign, made a eschatological action rise. The Taborite folks were encouraged to take an action of faith to follow Christ in the age of punishment, revenge, and adversity, changed a passive pacifist into a positive revolutionary, and involved in purified work to open new age. In depicting historical movement, applicating to new narrative prospective results in a new historical figure. Therfore, in grasping and delineating a historical movement it needs to keep on trying to investigate new historical figure after applicating new tool of historical explan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구술사로 본 한국 민주화 운동의 성격 -인문지리학적 시각의 공간 역사에 대한 시론적 모색-

        박양식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0

        구술 자료만을 이용한 서사 작업에 대해 회의적 시각이 적지 않은 것이 현실에서 본고는 구술자료만으로 해외 민주인사들의 민주화운동에 관한 역사서술을 시도하고자 한다. 거기에다 인문지리적 시각을 적용하여 새로운 역사적 층위으로서 공간 역사에 대한 시론적 모색을 더했다. 첫째로 다루는 내용은 한국 민주화운동의 지리적 스케일이다. 해외 민주인사의 구술에서 나타난 지리적 스케일에 관한 인식이 한국의 지리적 공간에 국한되지 않고 세계의 여러 장소를 포함한 것이었음을 밝혀준다. 그리고 일본, 미국, 유럽 등에서 물적‧정신적‧사회적 성격의 지원과 참여를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한국 민주화운동의 지리적 스케일은 세계적이었음을 확인해 준다. 둘째로 해외 민주화운동의 지리적 스케일이 세계적이란 점을 더욱 공고히 하는 관점으로서 공간조직의 형성이 있었고, 기능지역의 작동이 있었다고 논의된다. 해외민주인사들은 그런 공간생산과 함께 공간조직을 지역마다 만들어내고 그 전체를 묶어 작동하는 국제 규모의 공간조직을 만들어내었다는 사실과 그들은 그 안에서 공간적 실천을 함으로써 한국과 일본, 북미와 유럽이 하나의 기능지역으로 작동하도록 하였다는 사실이 기술된다. 끝으로 다음의 사실을 언급하는 것으로 이글이 마무리된다. 구술자료만으로 쓰여지는 역사가 낯설게 보이지만 그 이론적 근거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이유에서 그리고 그 주변 학문의 이론들을 적용함으로써 구술사가 보여주는 역사 세계는 미시사의 세계를 더욱 풍성히 해 주는 것이 될 것이다. A research to narrate a history is still doubted.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try to describe a history of the Korean Oversea Pro-democracy Movement by the democratic figures living abroad, making full use oral-documents. Besides it seeks to an introductory history as a new historical layer in related to space history applied to a aspect of anthropogeography. Firstly this paper deals with a geographical scale of the Korean Oversea Pro-democracy Movement. It is worldwide that the democratic figures who live abroad narrate their geographical acknowledge in participating pro-democratic movement overseas. It also elucidates that the geographical scale of the Korean Oversea Pro-democracy Movement was worldwide in causing Japanese, North American, and European Churches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support and join in the Korean Oversea Pro-democracy Movement, materially, mentally, and socially. Secondly, consolidating that a geographical scale of the Korean Oversea Pro-democracy Movement was worldwide, this paper discusses the democratic figures living abroad made spatial organization with creating space. And it delineates they raised working functional region, doing practice in it. Lastly, this paper is finished saying this. A Oral History written by the oral documents only seems like unfamiliar. However A historical world showed by the oral history will bear more abundant fruits in describing micro-historical wor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