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爾林, 가야 속 고구려 땅- 지명으로 본 고대 越境地의 일례 -

        박승홍 한국지명학회 2021 지명학 Vol.34 No.-

        The matter of identifying Irim 爾林, the place name of a Kogureo territory found only in Chronicles of Japan 日本書紀, has been a topic of debate due to the seemingly impossible historical records that imply its proximity to Gaya which is far distant from Koguyeo. Several places in central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have been said to correspond to Irim, but none of them has been proved to be a Koruryeo territory, and at the same time in or around Gaya. This paper assumes that identifying Irim as an exclave is the only way for a Koguryo territory to be in the vicinity of Gaya, and locates it at Yeonghyeon 永縣 in southern Korea based on the phonological similarity between Irim and Irmɒi 一善/一買, the ancient name of Yeonghyeon, and a passage of History of Koryo 高麗史 that says Changseon island around Yeonghyeon was a territory of Koguryeo. More evidences supporting this theory are: (1) King Gwanggaeto’s southern campaign can explain the existence of the isolated exclave. (2) Dasa/Daesa 多沙/帶沙, the ancient name of Hadong can be identified with Daesan fortress 帶山城 people of Gaya built around Irim. (3) Gammun 甘文小國 (Gimcheon) and Georyeol 居烈 (Geochang), two ancient place names around Yeonghyeon, can be identified with Gamra 甘羅 and Gonan 高難 that made up East-Han territory 東漢之地 along with Irim. 일본서기 에만 나오는 ‘爾林’은 그동안 위치 비정이 매우 어려운 고대 지명으로 알려져왔다. 고구려 땅이었지만 그곳에서 가야인들이 백제인을 죽이고 인근에 帶山城을 쌓는 등 가야와 인접한 곳으로 묘사되어, 그 비정지가 고구려에 가까운 한반도 중부에서 가야에 가까운 남부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림이 월경지였다는 발상의 전환과 유사 지명의 음운 대응을 근거로 이림을 경남 고성반도 일대에 비정함으로써 이 문제 해결을 시도하였다. 즉, 고성군 영현면의 삼국시대 지명 ‘一善’이 ‘一買’로 훈독되어 ‘爾林’과 음운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과 인근 남해군 창선도가 고구려 有疾部曲이었다는 고려사 기록을 조합하면, 이 일대를 고구려 땅이면서도 가야와 가까왔다는 이림으로 볼 수 있다. 이 일대에 고구려 월경지가 설치된 계기로 광개토왕의 남방 원정이 제시될 수 있다는 점, 인근 하동의 옛 지명 ‘多沙/帶沙’가 ‘帶山城’과 대응할 수 있다는 점, 이림과 함께 東漢之地를 구성한 甘羅, 高難과 고대 지명이 대응하는 김천(甘文小國)과 거창(居烈)이 영현 북쪽에 있다는 점 등은 이 비정을 더욱 확신케 한다.

      • KCI등재후보

        우륵 출신지 省熱縣 위치 비정의 재검토

        박승홍 한국지명학회 2011 지명학 Vol.17 No.-

        가야 악사 우륵의 출신지 省熱縣은 省熱:辛尒:斯二 음운 대응을근거로 가야 소국 斯二岐國과 함께 신라 지명 辛尒縣인 경남 宜寧郡富林面 新反里 일대에 유력하게 비정되어왔다. 그런데 주자본 『삼국사기』에는 ‘辛尒縣’이 ‘辛分縣’으로 나온다. 그 동안 ‘分’은 ‘尒’의 오기로 여겨졌지만, 본 논문에서는 ‘辛分縣’이 고려 지명 ‘新繁縣’, 현재 지명 ‘新反里’, 별칭 ‘朱烏村’과 대응하는 등 ‘辛尒縣’보다 이표기 대응을더 많이 보여주는 데에 착안하여 오히려 ‘尒’가 ‘分’의 오기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 경우 斯二岐國과 散半奚國을 기존 辛尒縣과 草八兮縣(합천군 초계면)에서 三岐縣(합천군 대병·봉산면)과 辛分縣(부림면)으로 재비정하면 斯二岐:三岐, 散半:辛分 대응에 의해 언어학적유연성이 더 강화된 지명 대응도 가능하다. 그리고 봉산면 저포리에서 출토된 명문 ‘下部思利己’의 ‘思利己’는 ‘斯二岐’의 이표기로서 이지역이 고대 斯二岐國이었고 대가야와 上·下部制로 정치적으로 결속되었음을 입증하는 결정적 자료이다. 省熱:斯二 음운 대응을 인정하는 한 우륵의 출신지를 합천군 대병·봉산면 일대에 비정할 수 있다. Soni(省熱) or the ancient Gaya state of Saniki(斯二岐國) is the birthplace of Ureuk, the famous Gaya musician in the 6th century, and widely believed to be located in Shinban(新反)area (Uiryeong County, Southern Kyeongsang Province) based on their supposed linguistic associations with Shini(辛尒), the ancient name of Shinban. (i.e. Soni-Saniki-Shini) But,according to a version of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hini may be a typo of Shinbun (辛分) (尒 vs. 分) because Shinbun rather than Shini is well associated with other ancient names of the site such as Shinbeon (新繁縣) and Sabio (赤烏村). I think that Daebyeong·Bongsan area (Hapcheon County), the ancient name of which was Samki (三岐縣), is a likely site for Soni and Saniki, and Shinban is a likely site for Sanbanhae (散半奚),another Gaya state. ‘思利己’, the inscription on an ancient pot excavated in Bongsan denotes Saniki(斯二岐) and proves that Ureuk was born there.

      • KCI등재후보

        于尸山國考

        박승홍 한국지명학회 2010 지명학 Vol.16 No.-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ys there were two neighbouring ancient states of Usisan(于尸山國) and Geochilsan(居柒山國) around Gyeongju(慶州). But the distances between Gyeongju and the two places we have believed Usisan and Geochilsan refer to were too far. So I worked out what places Usisan and Geochilsan really refer to. (1) The ancient state of Geochilsan has been thought to refer to Dongnae(東萊), one of the earliest names of which was Geochilsan, but I consider it more likely that Dongnae's original name was Jangsan(萇山) as written in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and that jang, the first element of the name was replaced with geo, the meaning of jang and that chil, the genitive particle was inserted to form Geochilsan as a derivative of Jangsan. So it seems to refer to Eonyang(彦陽), whose original name was Geojihwa(居知火), rather than to Dongnae. (2) The ancient state of Usisan turns out to refer to Daun-dong region of Ulsan, whose original name was Gulhwa(屈火), when we realize that the original name of the state was not Ulsan but Gulsan, on the basis of the Sino-Korean sounds inferred from Old Chinese, not from Middle Chinese. 『삼국사기』에는 신라 탈해이사금 때 居道가 張吐의 들판에서 말놀이를 하는 척하다 于尸山國과 居柒山國을 기습해 동시에 정복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우시산국과 거칠산국은 서로 멀리 떨어진 울주군 熊村面과 부산 東萊區에 비정되어왔기에 위 기록은 믿을 수 없는 설화로 치부되었다. 본고에서는 지명 재비정을 통해 위 기사의 합리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居柒山’이 동래의 초기지명 ‘萇山’의 훈독에서 파생함을 밝혀 동래의 본명(최초지명)을 萇山國으로 확정함으로써, 본명이 居知火인 彦陽에 거칠산국을 비정할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 于尸山國은 ‘于’를 상고음 ka로 읽어 屈火(울산 茶雲洞)에 비정하고, 지금까지 屈火에 비정되던 屈阿火村은 ‘屈’을 /ㄹ/>/j/ 음운변화를 근거로 ‘戒’에, ‘阿’를 ka로 읽어 ‘邊’에 대응시켜 신라 말의 戒邊城(울산 鶴城洞/伴鷗洞)에 비정했다. 이로써 나중에 東川江 서안의 屈阿火村까지 정복해 太和江 이북을 석권하기 이전, 언양과 尺果川 유역에 있던 거칠산국과 우시산국 두 나라를 신라군이 麻等烏 분지에서 출발해 정복한 기록으로 위 기사를 무리없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신라 6부 명칭의 기원

        박승홍(Park, Seung-hong)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喙-, 彼-, 岐-계열로 뚜렷이 삼분되는 신라 6부 명칭은 분화된 혈연집단의 명칭이나 지명으로 인식되는 등 부의 성격을 반영하는 자료로 주목받아 왔다. 본고에서는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王二本 《刊謬補缺切韻》 에 나오는 ‘喙’의 중고음 ‘탁’ 및 ‘比’의 상고음에 근거하여 喙-계열과 彼-계열 부의 명칭이 각각 하천과 평야 지명에서 유래했음을 국어학적 관점에서 명백히하고, 이어서 漢岐部가 漢只伐部의 축약임을 들어 岐-계열 역시 실제로는 彼-계열로서 예외가 아님을 보였다. 그리고 부의 명칭과 인근 하천 평야 지명의 대조를 통해 지리학적 근거도 추가했다. 한편 그동안 ‘새(新)’의 표기로 여겨졌던 ‘沙喙’의 ‘沙’와 ‘斯彼’의 ‘斯’에 대해서도 ‘모래’로 훈독되거나 ‘삽(習)’이 원형일 정황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이 혈연집단 명칭보다는 지명과 더 잘 어울렸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상의 형태소 해석 결과는 6부의 명칭이 부의 혈연집단적 성격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없음을 뜻한다. The kingdom of Silla started as a union of six villages/districts or ‘bu’s and their names-喙, 沙喙, 岑喙, 本彼, 斯彼, 漢岐-are invaluable sources in understanding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m. Each of the three sub-divisions, that is 喙-series, 彼-series, 岐-series ‘bu’s has long been understood as a group of people in blood relative relations, and each bu in a sub-division as a sect group within the people. But this argument is not based on the meaning of the characteristic morphemes in the names-喙, 彼, and 岐. This study identifies the meanings of all morphemes as geographical. It is concluded that 喙means ‘stream’ and 彼means ‘open field’, based on tak, the sound of 喙found in 王二本 《刊謬補缺切韻》 and beol, the archaic sound of ‘比’ which sometimes replaced ‘彼’. 漢岐, the only 岐-series bu is reclassified as a 彼-series bu according to its original name, 漢只伐.

      • KCI등재

        『천지서상지』 편찬자 연구

        박승홍 ( Seung Hong Park ) 한국과학사학회 2013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5 No.1

        Cheonji seosangji (天地瑞祥志, Records of Auspicious Omens of Heaven and Earth) is a book of astronomy and Confucian portentology, completed in 666. The author, Sal Sujin (薩守眞, Sa Shouzhen in Chinese) has been considered as an astronomer of Tang, China, but recent studies suggest that he might be the same person as Seol Sujin (薛秀眞), a military tactician of Silla, Korea. This paper approves it by taking a linguistic approach to the text and tracing the circulation of the book in Korea and Japan. Some Chinese characters in the text, such as ``jung`` (中) and ``ji`` (之), turn out to be typical examples of the Idu (吏讀) script, the archaic Korean writing system using Chinese characters, and it clearly indicates that the author is from ancient Korea. The first official use of ancient Chinese constellations by Silla astronomers in 668 was possibly triggered by the introduction of Cheonji seosangji and the quotation from the book in 932 also hints at its Silla origin. Japanese astronomy flourished while Japan stopped dispatching envoys to Tang from 669 to 702, and Cheonji seosangji seems to have been introduced into Japan at that time. It is concluded that Seol Sujin completed the book in Tang in January, 666 and returned to Silla in April, 66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