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박인경 ( Inkyoung Park ),김효미 ( Hyomi Kim ),박승하 ( Seungha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이 성별, 수준(중·고등학교·성인),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의 요인 간 관계를 확인하여 중· 고등학교·성인 개인종목 선수들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개인종목 선수 57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5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남성: 325, 여성:215, 평균연령: 17.07세). 설문지 구성 내용은 총 55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5문항, 코칭행동 25문항, 선수만족 10문항, 탈진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3.0과 AMOS 23 프로그램 통해 전산 처리 하였고,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이 성별, 연령, 선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이 선수 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탈진이 성별, 연령, 선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지각된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코칭행동의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훈련 및 지도, 긍정적 보상이 선수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권위적인 행동과 선수만족이 탈진에 영향력이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선수 경우 훈련과 지도, 긍정적 보상에 대한 코칭행동, 고등학교 선수 경우 민주적 행동과 사회적 지지, 성인선수 경우 민주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이 선수만족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중· 고등학교· 성인 모두 탈진에 선수만족과 권위적 행동이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결론: 성, 경력에 따라 지각된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에 대한 반응은 일부 요인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수준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 하위요인들에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고, 중·고등학교·성인 모두 선수만족과 코칭행동의 권위적인 행동이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에게 지각되는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과 선수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현장에서 지도자가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토대로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 out by gender, levels and careers and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variable of athletes. Methods: Five hundred seventy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student sports players and athletes. Among them, total 540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325, female: 215, Mage= 17.07years). Leadership scale for sport, satisfaction in athletic and athlete burn out questionnaire were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 out by gender, levels and careers. 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 out of athlete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made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existing knowledge about athletes`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 out.

      • KCI등재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및 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

        박인경 ( Inkyoung Park ),박성아 ( Seong A Park ),박승하 ( Seungha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4

        목적: 본 연구는 코치의 직무열의에 삼분법적 효능감이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가 그들의 코칭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코칭경력에 따른 영향관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운동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코치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지속의도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의 자기효능감, 타인효능감 그리고 관계추론 효능감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 코칭만족 그리고 지속의도 간의 영향력 있는 경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칭경력에 따라 형성된 경로의 변인에 대한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코치와 선수간의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가 코치의 긍정적 심리와 코칭의 지속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코치의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선수와의 상호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효능감이 직무열의에 더욱 중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dentify the impact of the coach’s tripartite efficacy on their job engagement, coaching satisfaction and adherence intentions, and also reveal differences in coaching career. Methods: To achieve us goal, we surveyed 220 coaches who were coaching athletes. The investigative tools we used are test sites for coach’s tripartite efficacy, job engagement, coaching satisfaction, and adherence intentions, which were modified and used to suit research purposes. Results: First, The self-efficacy, other-efficacy and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of coach’s tripartite efficacy had an effect on coach’s job engagement.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an influential path between coach’s tripartite efficacy, job engagement, coaching satisfaction and adherence intention is formed. third, The influence on the variables of the route formed depending on the coaching career was differ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partite efficacy and job engage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 and the player, effect the coach’s positive psychology. In addition,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player is important when the coaching experience is high. Follow-up research in this needs to be continued to build practical data for field leaders.

      • KCI등재

        다이빙 심판의 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의 차이

        박성아 ( Seong A Park ),박승하 ( Seungha Park ),김연진 ( Yeonjin Kim ),민상운 ( Xiangyun Mi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4 No.2

        목적: 본 연구는 체화된 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다이빙 심판의 과거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8명의 다이빙 심판을 대상으로 다이빙 경기의 기술 동작에 대한 온라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평가지는 심판의 선수경험, 기술동작경험, 심판경험, 시각경험에 대한 질문과 함께, 16가지의 다이빙 동작의 기술 점수 평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 기술 동작에 대해 다이빙 규정에 따라 0점에서 10점까지의 점수로 평가하였다. 평가된 점수는 FINA 국제경기에서의 판정 점수와 비교하여 판정의 정확성(판정의 절대오차)과 판정의 경향성(판정의 항상오차)을 계산하였으며 t-검정, 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심판의 과거 경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심판 급수에 따라 판정의 절대 오차에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 1급 심판이 3급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급 심판은 판정 오차 값이 양(+)의 값의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과거 선수 경험에 따라 판정 오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선수 경험이 있는 심판이 경험이 없는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제시된 기술 동작에 대한 과거 수행 경험이 있는 심판이 경험이 없는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작 경험이 없는 심판은 양의 값의 오차 경향을 보였다. 넷째, 최근 1년 동안 실제 경기의 판정 경험이 있는 심판이 그렇지 않은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았으며, 경험이 없는 심판은 양의 값의 오차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심판 급수의 영향력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판정의 절대 오차에 대한 시각 경험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심판 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체화된 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심판의 선수경험, 기술동작경험, 심판경험 등의 과거 경험에 따라 판정의 정확성과 경향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판정해야 하는 기술 동작의 경험 유무가 심판의 정확한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judgment accuracy according to the past experience of diving referees based on embodied cognitive theory. Methods: We conducted online evaluation of the technical movements of the diving competition to 48 diving referees. Questions about the referees’ experiences as an athlete, performance, referee, and visual experience, as well as videos of diving technology movements were presented on the online evaluation paper. The referees’ scores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judgment error according to the level of judges. It was found that the judgment errors of the first-level referees was fewer than that of the third-level refere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the referees’ past experience as an athlete confirming that referees who had prior athletic experience made fewer judgment errors compared to referees with no prior experience. Third, referees who had prior experience in performing technical movements presented in online evaluations had fewer judgment errors and tended to give negative scores compared to referees with no prior experience. Fourth, there has been a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whether the referees have actually gained experience in refereeing over the past year.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according to the referees’ visual experience. However, after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trol for the influence of the referees’ leve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referees’ past experience as an athlete, experience of performance, experience of referee, etc.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past experience of the actual performance can affect the referees’ accurate judgmen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to confirm how participation in physical training or imagery training for various technical movements affects referees judgment errors.

      • KCI등재

        소매틱 교육의 운동제어 관점에서의 이해: 알렉산더 테크닉과 펠든크라이스 기법 중심

        김수연 ( Sooyeon Kim ),박주연 ( Juyoun Park ),박승하 ( Seungha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5 No.2

        목적: 웰에이징과 힐링의 사회적 요구가 부각되면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분야가 소매틱 교육(Somatic Education)이다. 소매틱 교육은 심신 일원론에 근간을 둔 철학으로 소개되기 시작하여 개별 기법의 효과성 및 경험연구를 중심으로 조망되어 왔으나, 운동제어 관점의 기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소매틱 교육의 대표 기법인 알렉산더 테크닉과 펠든크라이스 기법을 운동제어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와 서술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2000년부터 2023년까지 KERIS, Web of Science, Pub Med,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검색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 국내 5편, 해외 76편, 총 81편의 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중 Cacciatore, Johnson과 Cohen의 연구(2020) 및 Buchanan과 Ulrich의 연구(2001)를 중심으로 각 기법의 운동제어 기전을 고찰하였다. 결과: 알렉산더 테크닉의 운동제어 기전은 자세근 톤과 신체도식을 핵심개념으로 정보처리 이론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펠든크라이스 기법은 자기조직화, 어트랙터, 섭동, 다중 하위 시스템, 지각-동작연합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이나믹 시스템 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결론: 각 이론적 관점은 특정 기법의 상황과 과제를 좀 더 잘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이 가능하며, 향후 운동 제어 기전에 관한 구체적인 실험연구 및 신경학적 연구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렇듯 개별 기법의 운동제어 관점에서의 이해는 지도역량을 제고하고 각 기법의 통합적 이해를 촉진하며 운동제어 분야의 현장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Somatic education is a field that has been gain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the social need for well-aging and healing. Somatic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as a philosophy rooted in mind-body unity, and has been investigated mainly through the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d experience of individual technique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mechanisms from a motor control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lexander Technique and Feldenkrais method, which are representative techniques of somat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tor control theory.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narrative review method were used for this study. Using KERIS, Web of Science, Pub Med, and Scopus databases from 2000 to 2023, 81 studies, including 5 domestic and 76 international stud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earch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Among them, this study focused on Cacciatore, Johnson, Cohen’s study(2020) and Buchanan, Ulrich's study(2001) to review the motor control mechanism of each technique. Results: The motor control mechanism of Alexander technique can be analyzed through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ith postural muscle tone and body schema as the core concepts. In addition, the Feldenkrais method can be understood through dynamic systems theory based on the concepts of self-organization, attractors, perturbation, multiple subsystems, and perception-action coupling. Conclusion: Each theoretical perspective can better explain the context and tasks of a particular technique. However, other theoretical perspectives can be analyzed, and future experimental and neurological research on motor control mechanisms will need to be linked. This understanding of the motor control perspectives of individual techniqu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coaching competence, promoting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each technique, and increasing the field value of the motor control field.

      • 새만금 방조제 건설기술 체계화 연구

        서동욱 ( Donguk Seo ),구요한 ( Yohan Gu ),김범원 ( Beomwon Kim ),전도철 ( Docheol Jeon ),박승해 ( Seunghae Park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우리나라는 과거 식량증산의 목표아래 1961년 시작한 계화도 간척사업부터 1970년대의 서남해안 간척농지개발 및 1986년 새만금사업 구상 등을 거치면서 수많은 방조제를 계획하고 건설해 왔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나라의 자연환경과 조건에 맞는 독보적인 방조제 및 외곽시설 건설기술을 확립해 왔으나, 우리나라의 탁월한 방조제건설 기술은 학술 논문, 연구보고서, 일부 단행본의 형태로 산발적으로 존재할 뿐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관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방조제 노선의 계획부터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새만금 방조제 끝막이 기술까지 10여개의 방조제 건설 공종별 전문기술 자료를 모아 체계적으로 정리·발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조제 관련 자료 조사와 국내외 산재된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방조제 건설 기술 핸드북으로 정리하였다. 핸드북의 내용으로는 기상, 수리, 수문, 토질 등 기초자료 수집·분석 기법과 수치모델 및 수리시험을 적용하여 물수지 분석, 설계파랑의 결정, 방조제 노선계획, 단면(사석, 성토) 계획, 내진설계, 액상화분석, 기초지반침하 등 안전성분석 기법, 기초지반 피복공, 축조재료 산정, 방조제 최종물막이 및 성토 끝막이 계획, 방조제 누수원인 및 대책공법, 친환경 설계·시공 기법, 기타 방조제 조사설계에 관한 연구내용 등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새만금 방조제 건설기술 핸드북으로서 약 20년간 축적 및 시공된 새만금 방조제 건설기술의 총 집대성하여 이론과 실무 및 현장해결 대책 등이 동시에 포함된 기술서이다. 이는 기존 실무지침서와 병행하여 참고할 수 있는 기술서로 후세대 실무 및 해외 방조제 건설 등에 활용될 것이다.

      • 체육수업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의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비교 연구

        하명남,박승 이화여자대학교 동작과학연구소 2007 이화체육논집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level and physical self efficiency for female students in high school as a function of the styles of P. E. class, specialized P. E. class and generalized P. E. clas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15 items for satisfaction and 17 items for physical self efficiency, based on those of D. Park(2005) and E. Chung's(2005) alternatively. Total 334 data (163 for specialized P. E. class & 171 for generalized P. E. class) were analyzed by using MAN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specialized P. E. class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and greater physical self efficiency than the generalized P. E. class. These suggest that the specialized P. E. class may be one of alternative methods for raising the satisfaction of P. E. class and for enhancing the physical self efficiency through P. E. class in current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 웨이트 트레이닝 참가자들의 운동중독 여부에 따른 운동참여동기와 운동지속요인의 비교

        김세희,박승 이화여자대학교 동작과학연구소 2011 이화체육논집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adherence factor,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 was addicted to exercise or not, an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make people exercise properly and regularly without any exercise addiction by exami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 and exercise adherence factor that affect exercise addiction. This study interviewed 450 male and female adults participating in fitness center located in Seoul, and analyzed the total 424 questionnaires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exercise addiction among weight training participants was 20%. Second, when compared with the people in the other groups who have similar terms of exercise, exercise addic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Except amotivation,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ranked the highest in the five following items of six: enjoyment, achievement of skill development, health-fitness, external display, sociability. Following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excessive exercise group and non-exercise addiction group. In other words, the motivation of both excessive exercise group and exercise addiction group was quite clear. Third, exercise adherence factors of the people who have similar participant period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Exercise addiction group was influenced the most by exercise habits to continue exercising, and the second most important cause was exercise attention. On the other hand, exercise habits were the most important effect to the excessive exercise group and ability to exercise is the second. Also, for non-exercise addiction group, exercise environments were the biggest impact on continuing exercise, and exercise attention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