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공간용소화용구 소화시험모형의 연소발열특성 연구

        박승근(Seung-Geun Park),유우준(Woo-Jun You),장동하(Dong-Ha Jang),박영기(Young-Ki Park),남동군(Dong-Gun Na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3년 동안 발생한 화재통계를 보게 되면 전기설비가 발화원인으로 발생한 화재는 총 4,220건이며, 그 중 분⋅배전반이 발화원인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는 1,570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분⋅배전반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는 분⋅배전반에 수분이나 먼지가 침투하여 절연이 파괴되거나 노후된 설비로 인한 절연 열화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분⋅배전반 화재는 외부에서 발생되어 확산된 화재가 아닌 내부로부터 발생한 화재로 화재발생 초기에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 대책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분⋅배전반의 화재 발생 시 효율적인 화재진압을 목적으로 소공간용소화용구의 형식승인 기준이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행 기준을 보면 설계화원을 A급 목재화재 및 B급 유류화재 2가지로 분류하여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연구에서는 기준에서 규정한 A급 목재화재 및 B급 유류화재의 열발생률을 측정하고 화재규모 및 화염성장 등의 특성을 분석하여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제 분⋅배전반에는 플라스틱이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A급 목재화재 및 B급 유류화재에 대한 소화시험 이외에 플라스틱 설계화원을 적용한 화재시험 도입을 검토하였다. 플라스틱 설계화원은 분전반 모델을 구성하여 가연물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기존 B급 소화시험의 열방출률을 근거로 설정하였다. 또한, 중합체의 종류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틀릴부타디엔스티렌(ABS)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였다. 연소실험은 현행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체적과 동일하게 제작하였으며, 지난 연구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시험함의 내⋅외부에서 설계화원의 열발생률을 측정하여 화재규모 및 화염성장 등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소공간용소화용구 시험의 설계화원에 대한 합리화를 목적으로 진행한 연구의 일부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후속 연구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 분.배전반의 설계방호체적의 확대를 위한 설계화원의 연소발열특성 연구

        박승근(Seung-Geun Park),신연제(Yeon-Je Shin),박정욱(Jung-Wook Park),유우준(Woo-Jun You),남동군(Dong-Gun Na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지하 공동구의 화재는 전력 통신선 등의 연소로 인해 통신 장애가 발생하므로 시설물의 운영 측면에서 물적 피해가 크다. 예를 들면 2018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통신구 화재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 병원의 응급실 등의 전산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전산 통신구의 화재는 인적 피해보다 물적 피해가 큰 것을 보면 화재 초기에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 대책이 매우 중요하다. 지하 공동구의 화재는 분⋅배전반의 과부하 및 단락 등이 주요 원인이다. 이에 분⋅배전반의 화재 발생시 효율적인 화재진압을 위해 2015년에 소공간용 소화용구의 KFI 인정기준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최근 지하구의 분⋅배전반의 공간 체적이 증가하고 있는데, 현행 기준의 설계방호체적은 0.36 m3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실제 현장의 분⋅배전반의 크기를 반영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분⋅배전반의 공간 체적의 현실화에 대한 현장의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현행 기준의 설계방호체적에 대해 효율화 및 합리화를 기할 필요가 있다. 현행 기준을 보면 분⋅배전반의 설계방호체적에 따라 설계화원의 규모가 달라지므로 설계방호체적의 확대를 위해서는 공간체적 대비 설계화원의 규모를 합리화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분⋅배전반의 설계방호체적의 확대를 위해 현행 기준의 설계화원의 규모를 측정하는 연소실험을 실행하였다. 연소실험은 현행 기준에서 제시한 설계화원을 동일하게 제작하고 시험함의 내외부에서 설계화원의 열발생률을 측정하여 화재규모 및 화염성장 등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시험함 내부의 열발생률은 설계화원의 크기보다 시험함의 개구부의 크기에 좌우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분⋅배전반의 설계방호체적의 확대를 목적으로 진행한 연구의 일부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후속 연구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 KCI등재

        항해용 레이더를 이용한 파랑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박준수(JUN-SOO PARK),박승근(SEUNG-GEUN PARK),권순홍(SUN-HONG KWON),박건일(GUN-IL PARK),최재웅(JAE-WOONG CHOI),강윤태(YUN-TAE KANG),하문근(MUN-KEUN HA) 한국해양공학회 2006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0 No.1

        In the ocean engineering field, information about the ocean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planning, design, and operation, especially the wave information. High precision wave data is also important for considering environmental problems, like efficient operation of ships. For this purpose, many methods were considered in the past. However, an on-board directing wave measurement system has not been incorporated. The use of conventional marine radar Plane Position Indicator (PPI) images allows the estimation of wave information on a real-time basis, using both space and time information, regarding the evolution of ocean surface waves. In order to achieve data acquisition, the Radar Scan Converter (RSC) has been developed. Three-dimens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comparison of wave information derived from this system, and that of wave buoy, shows that this wave field detecting system can be a useful tool.

      • KCI등재

        파랑에 관한 레이더 이미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레이더 수신 출력 도입 기법 연구

        박준수(Jun-Soo Park),양영준(Young-Jun Yang),박승근(Seung-Gun Park),권순홍(Sun-Hong Kwon) 한국해양공학회 2010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4 No.1

        This study presents a modified scheme for the radar image simulation of sea waves. A simulated radar image was obtai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dot product of the directed vector from the radar and the normal vector of the sea surface. Moreover, to calculate the radar image, we used the radar received power and radar cross section.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 the wave spectrum from field data was utilized to obtain the simulated sea waves. The radar image was simulated using numerically generated sea waves. The wave statistics from the simulation agrees comparatively with those of the original field data acquired by real radar measurements.

      • 소방차량용 대유량, 고압 소방펌프 성능 시험을 위한 동력시스템 구축에 관한 고찰

        장동하(Dong-Ha Jang),박승근(Seung-Geun Park),남동군(Dong-Gun Nam),임우섭(Woo-Sub L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강원도 산불 화재와 더불어 다수의 (초)고층 건축물, 대량위험물시설, 선박, 장대터널(철도⋅도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등 화재 현장에서 가장 유용한 화재 진압 방법은 고성능 소방펌프를 활용한 주수소화로 볼 수 있다. 이에 현재 대유량, 고압 소방펌프 도입 요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소방청에서는 소방장비 표준규격을 운영하여 소방차량용 소방펌프에 대해서도 2020년 12월말 소방펌프 소방장비 표준규격으로 고시하였다. 기술원에서는 이보다 먼저 대유량, 고압 소방차량용 소방펌프 성능시험이 가능한 성능시험장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실제 성능시험이 가능한 펌프시험장을 충북 음성에 구축하였다. 특히, 표준규격에서 제시하는 최대 8,000 LPM 의 유량 시험과 40bar 이상의 고압 시험이 가능하도록 시험장을 구축하여 기존 국내 소방펌프 기준 대비 고사양의 소방펌프에 대한 상세한 성능시험이 가능하게 그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 대유량, 고압 소방펌프의 성능시험이 가능하도록 440 kW 의 성능을 가지는 모터를 구축하여 성능시험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제조사 및 사양에 따른 펌프 형상을 고려하여 상하좌우 3축으로 이동이 가능한 펌프 베드를 제작하여 펌프를 고정하도록 하였다. 참고로 x축은 1100 stroke, y축은 300 stroke, z축은 220 stroke를 가지도록 하여 기존 고성능 소방펌프의 안착 및 흡입⋅토출 배관 연결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그 외에 토크센서, 베어링 장치 등도 2 kN⋅m 토크의 사양을 가지고 있어 성능시험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없던 소방차량용 대유량, 고압 소방펌프 성능시험을 위한 동력계에 구축에 관한 사항을 논의하고 고찰하여 앞으로 다양한 제조사 및 사양별 소방펌프에 대한 성능시험을 위한 최적의 펌프 성능시험 시스템 구축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