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성격 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

        박수연(박사) ( Su Youn Park ),황진숙(교신저자,교수) ( Jin Sook Hw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소비자 특성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였다. 소비자들의 사고와 가치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들 중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성격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소비자 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패션/뷰티TV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최종 631명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성격특성 요인은 성실성, 모험성, 사교성, 민감성, 정감성 5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패션/뷰티TV 미디어 이용은 이용시간, 우연노출, 관심이용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소비자의 특성 중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패션/뷰티TV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용시간, 우연노출, 관심이용 모두에서 전체적으로 종합해 볼 때 30대 연령에서 관심이 많았다. 끝으로 성격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용시간과 관심이용은 모험성에서 영향력이 나타났고, 우연노출은 사교성, 민감성, 모험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 중 모험성 성격은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시간이 높으며, 우연노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관심이용으로 까지 연결될 수 있는 성격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패션/뷰티 TV미디어의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 소비자가 자신의 특성에 따라 제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구입방법, 구입매체 등의 신뢰도는 소비자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지표임에 틀림없다. 도출될 결과들은 소비자들의 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예측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패션/뷰티 시장 세분화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표적고객 대상으로 성장 잠재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sumers``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characteristic analytical instrument on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It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raits, great influencers on their thinking and value view, exerted on the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In the research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employed as the measurement instrument. It was made up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on the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only for the consumers with experiences of using fashion/beauty TV media. Final data obtained from 631 respon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were found to have five personality trait factors such as sincerity, adventurousness, sociability, sensitivity and warmth. The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was set as the hours of use, accidental exposure and attentive use. Second, the consumers in their 30s had great interests in the hours of use, accidental exposure and attentive use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fashion/beauty TV media. The hours of use and attentive use had an effect on adventurousness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ir personality traits on the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s of adventurous personality spent a high number of hours on fashion/beauty TV media and responded sensitively to accidental exposure which could lead to attentive use of the media. Fashion/beauty TV media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consumers. It is certain that in purchasing the product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ir confidence in the method and media of purchase is a good indicator for estimating them.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elicited findings not only help estimate how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ir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but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segmented fashion/beauty market strateg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identify the growth potential within the target consumer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