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생활을 통한 유아의 음악적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박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s musical experiences in their kindergarten classroom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in this study had musical experiences through both everyday routines and planned activities by the teacher. Musical experiences occurred during transition periods and formalities, free play settings, teacher-centered group activities, and outdoor play settings. The meaning of children’s musical experiences were the expansion of musical experiences between teacher and peer interaction, the enjoyment of music in rich musical environments, and construction of the music concept through hands-on music activities. 본 연구는 유치원 생활을 통해 유아들이 어떠한 음악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경험이 유아들에게 주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만 5세 반 하루 일과에 대한 참여 관찰, 교사와 유아와의 면담, 기타 문서 자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들은 일과 속에서 비형식적인 음악적 경험, 자유로운 놀이 상황에서의 음악적 경험, 구조화된 단위활동에서 음악적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생활을 통한 음악적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는 음악이 풍부한 환경 속에서 음악을 즐기기, 교사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경험 확장하기, 직접적인 음악하기를 통해 음악개념 구축하기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음악적 경험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손과 팔 운동 문제 환자 재활 치료 지원 시스템에서의 영상 인식

        박수미,고은수,이하나,하진영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11 정보통신논문지 Vol.15 No.-

        본 논문에서는 나날이 증가하는 운동 장애 환자들이 집에서도 쉽게 재활 치료를 하는 데 도움이 될 손과 팔 재활 치료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PC에 장착된 웹캠을 이용하여 환자의 손과 팔 영역을 추출하고 재활 치 료 지침에 따라 정해진 횟수의 운동을 유도하고 자동 기록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손과 팔 검출방법과 손 모양 인식에 대해 초점을 맞춰 기술하였다. 웹캠을 통한 기존의 손 검출방법은 조명과 배경에 많은 영향을 받 았다. 또한,사람의 전체 이미지에서 손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손과 팔만을 비추었을 때 그중에서 손을 검출 하는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웹캠으로부터 근거리,원거리에서 받은 영상을 바탕으로 피부 영역을 찾고 고정된 배경을 지운 다음 연결 화소 레이블링 과정을 통해 배경의 제한 없 이 원거리와 근거리에서도 손 영역을 검출할 수 있었으며 팔은 마커를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손 모양은 외곽 선을 체인코드로 변환한 후 DP Matching을 통해 미리 저장된 모델 중 가까운 것을 선택하여 인식하였다. 5명 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97% 이상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 KCI등재

        원시 수퇘지신앙을 통해 본 도깨비의 기원 연구

        박수미 국립민속박물관 2009 민속학연구 Vol.0 No.25

        The Tokebi is a traditional Korean folk creature of fancy. it is usually regarded resemblance of goblin. In Korea, the Tokebi is an very well known word.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every Korean knows meaning of the word, and has an arbitrary understanding about the alien substances, from children, who have ability of communication, to their seniors. It is interesting that no one can depict the creature completely, though it is known to all Korean. And also there is no exact definition of it yet. Tokebi is not created by a single person or a group, the character of it has been changed frequently by the people in the passage of time. Therefore, it is hard to grasp the origin of Tokebi for us, who live in 21st century. But still there is need of academic efforts to examine the origin and clear definition of Tokebi, because it is one of very important elements of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Fortunately there are many hypotheses about the origin of Tokebi, but each of them also has a clear limit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origin of Tokebi from a new point of view, which is based on folk tales, shaman songs and folkloric beliefs. There are a few folk tales about the Golden Boar, and those could be considered as the original form of all Tokebi tales. There are many points of resemblance between them, especially the core elements of the stories. The ancient boar religion was created, when cultivation culture was established. Then it lost the sanctity as the medieval times came, and it became an alien creature of fear. I will try to explain that process, and present basis of this new hypothesis, which presume that the Tokebi primarily meant Boar man in ancient Korea.

      • KCI등재

        Visuospatial Functioning and Navigation Learning b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 Virtual City

        박수미,이장한,Simon J. Graham,Sandra E. Black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1

        We studied the navigation ability and visual functioning of patients with MCI in Virtual Environments (VEs). Forty nineparticipants consisted of elderly adults with/without MCI. Neuropsychological tests (RCFT, BVRT, TMT, and Digit Span), the Groton Maze Learning Test (12 trials), and the VE navigation learning task (6 trial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for the immediate-recall RCFT, the delayed-recall RCFT, and the BVRT, but not for the GMLT. For the VE tas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CI and normal group, and no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trials were found. The VE task was correlated with the RCFT, the BVRT, and the GMLT. The RCFT and the BVRT combined accounted for 45% of VE performance. Thus, we concluded that patients with MCI are inferior in VE navigation, and that visual retention/memory play a role in navigation abilities.

      • 저출산과 돌봄노동

        박수미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08 젠더연구 Vol.- No.13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of low fertility and gender equity of married couples in the Korean family system,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daily time use of couples found in the "1999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examine gender equity among couples by following the life cycle, I have sorted the samples into three groups considering 'family size' and 'family cycle'. The first group is a household without children. The second group is families with children in preschool age. The third group is families with children in school age. The results show the gender gap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dramatic level in all of three groups. This study show that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ity in care-taking is a fundamental solution in overcoming low fertility phenomena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박수미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1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ity within family and second birth in Korea. For a factor analysis on the intention of having additional children for women with one child, I have used the data from the "2005 National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Trend"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mong 516 samples(year of 20-44), women planning to have second birth are 54.7%, and others have answered that they have no intention to have second birth. As a result, main causes affecting progressing to second birth seemed to be family planning on family cycle, such as controlling age gaps between first and second child, composing children genders as they wish etc. The variable of "gender equity between couples" in progressing to second birth are of significant only with married working women group. In case of married working women, more the husband's houseworking hours increase, the more prone to progress to second birth. However, in case of housewives, gender equity level, such as husband's housework hours or share of housework are not of significant influence in progressing to second birth. Not only working mothers but also housewives nee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ity within the family and the expansion of social support system for work-family life balance. 이 글은 한국사회 가족내 성 형평성과 둘째 출산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 초저출산 현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정책적·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조사 당시 한 자녀를 둔 20-34세 기혼 여성의 둘째 출산 계획에 대한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516명 가운데 둘째 출산을 할 의향이 있는 여성들은 54.7%, 282명이었다. 분석결과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자녀 터울 조절’과 ‘원하는 자녀 구성’ 등 가족주기상의 가족계획으로 나타났다. 총가구원수가 많을수록(90% 유의도 수준), 첫째 자녀의 성이 여아일수록 둘째 출산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가족내 부부의 ‘성 형평성 요인’은 기혼 취업 여성에게서만 의미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기혼 취업 여성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둘째 출산에 더욱 적극적이였다. 그러나 전업주부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나 가사분담률과 같은 부부간 성 형평성 정도는 그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전업주부의 경우 둘째 출산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자녀양육기간을 단축하고 이후 재취업을 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국 가족내 성 형평성 여부가 둘째 출산 계획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기혼취업여성이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업주부여성 도무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이 어려운 상황에서 개별적인 생애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일 . 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가족내 성 형평성 증대와 사회적 지원이 요구 된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