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토론능력의 구성개념 및 척도의 타당성 연구

        박세환(Park Sae-Hwan),허경호(Hur Gyeong-Ho) 한국언론학회 2001 한국언론학보 Vol.46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debate competence scale and validate the scale. For this purpose, we considered the concept of debate competence as communication traits. We extracted the four dimensions of debate competence (i. e. , communication skill, critical thinking, listening, and investigation) from previous literatur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by identifying the dimensions of debate competence and comparing the result with the forementioned on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he four dimensions: communication skill, critical thinking, prediction, and listening competence. They were identical to the forementioned dimensions except for the investigation competence. Instead, a new dimension, which we called the prediction competence, was emerge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o validate the debate competence scale. We established the three hypotheses from previous literature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We expected that the debate competence would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viewing motivations of debate programs on current issue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rgumentativen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ed for cognition. Results showed that the listening competence of debate competenc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formation seeking motiv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ntertainment and exciting motivation. Also, the debate competence (i, e., all four sub-dimensions of debate compet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rgumentativeness and need for cogni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cept and scale consisted of the four dimensions are valid. In sum, We argued that debate competence as a communication trait is a useful research construct and researchers should be able to study the concept and scale with another communication related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use the concept and scale to develop programs for debate competence training. Finally, som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 마케팅 연구 논문의 분류와 분석

        김용준(Yong June Kim),박세환(Sae Hwan Park),정상호(Sang Ho Jung),임양환(Yang Whan Lim),백수경(Soo Kyung Paik) 한국마케팅학회 1999 마케팅연구 Vol.14 No.2

        한국 경영학계에서 마케팅 분야는 「경영학연구」 창간호(1971년)에 마케팅 논문이 2편이 게재된 이후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여왔으며, IMF이후 실무적인 측면에서 마케팅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 논문은 30년 동안 국내 마케팅 관련 연구들이 어떠한 형태로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는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학술지는 익명의 심사를 하고 있는 학술지들 중에서 「경영학연구」, 「마케팅연구」, 「소비자학연구」, 광고학연구」이다. 해당 학술지들의 창간호부터 1998년 말까지 게재된 399편의 논문을 연구의 주제, 연구의 범위, 연구 목적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요 연구 주제는 ① 소비자 행동. ② 광고, ③ 상표 및 제품, ④ 마케팅 관리와 마케팅 전략으로 전채 논문의 65.1%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 범위에 있어서는 전체 논문 중 77.2%가 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실증적 연구가 82.2%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에 의한 분류상으로는 인과적 연구가 64.4%를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각 학술지별로 마케팅 관련 논문의 특성들을 분류한 후, 한국 마케팅문헌의 현황과 추세를 분석하여 향후 한국 마케팅 학문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