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기반 성인여성 인재양성 기능 강화 방안

        박성정(Sung-Jung Park),신선미(Seon-Mi Shin),김남희(Nam-Hee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Research Needs and Objectives With the advent of a new era of low fertility, population aging, and knowledge, Korea has supported universities with human and material education infrastructure to shift their focus from a school-age students-based system to an adult-friendly education system to effectively react to socio-economic changes such as the rise in demand for new types of educational servic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ims to seek ways to enable universities to reinforce their function to nurture talented adult women and thereby to more actively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such women, based on Lifelong Education Centers,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Career Development Centers for College Women, the Center for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Re-employment Support Centers for Women, and so forth. Ⅱ. Fact-Finding For this research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lifelong education administrators awareness of needs and conditions for and constraints on college-based education for adult women. 261 out of the population of 462 successfully responded to this survey that used 2015 data, posting a response rate of 56.5%. 1. Project Team Operation and Women s Participation How project teams surveyed operated courses for adult learners in 2015 was studied and analyzed for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82.0%, 27.2%, and 40.2% of the teams operated non-degree, degree, and credit courses,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women in students newly enrolled in degree programs in 2015 was also examined. The share of women in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College-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stood at 55.4%, 75.1%. The reasons for the lower share of women in degree courses were asked of the survey participants. 43.7% replied that the percentage of programs preferred by men was high while 16.9%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for women to attend programs during the education service hours. 14.1% chose lack of women who meet admission requirements as the main reason for the issue. 2. Difficulties in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The recruitment of adult students” (61.7%) was cited as the most signifiant difficulty that universities encounter in the process of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projects. It was followed by “the faculty’s and students’ lack of understanding of adult learners” (38.3%), “inflexible educational operation” (32.5%), “adult learners’ lack of academic capability and their unfaithful attitude” (22.3%), “employers’ lack of cooperation” (18.0%), and “adult education administrators’ lack of expertise” (8.5%). Degree program operators had more prejudice against and assumed a more critical attitude towards adult learners. The largest percentage (30.3%)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operating degree courses for the employed cited “employers’ lack of cooperation” as the biggest difficulty. Survey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about the biggest difficulties facing adult learners. Housework (child care and learning-work-life balancing) was chosen by 60.5% of the respondents, followed by “inconvenience in education service hours” (17.6%), “school expenses” (12.3%), and “lack of academic capability, self-confidence, and enthusiasm” (9.2%).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평생학습사회에서 대학들은 정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고등교육 기능과 더불어 성인들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해가고 있다. 지역대학의 경우 앞으로 입학생 수의 급격한 감소와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증가로 성인들이 더욱 중요한 교육대상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확장교육(University extension),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성인대학(adult university) 등 성인교육을 위해 대학의 자원을 개방하는 것은 평생학습사회에서 대학의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저출산?고령화와 지식사회 도래에 따른 새로운 교육수요의 증대 등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서, 우수한 인적?물적?지적 교육인프라를 가진 대학이 학령기 학생중심 체제에서 성인 친화적인 체제로 전환하도록 지원하고 있다(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 2010). 평생학습중심대학으로의 변화를 주도하는 교육부는 물론 여성가족부, 미래창조과학부도 경력단절여성 교육, 재직여성 교육, 여성과학기술인 경력복귀 지원 등 고학력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수행기관으로 대학의 인적, 물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을 기반으로 한 평생교육원, 평생학습중심대학사업,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새일센터 등 여성인재 양성과 관련된 기관 및 사업들을 중심으로, 대학이 성인여성 인재양성을 위한 평생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전문성을 제고하여 여성인재 양성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Ⅱ. 성인을 위한 대학교육의 개방 대학이 지역사회의 성인들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대학의 주된 목적은 아니었지만,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으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학평생교육원을 통해서 대학평생교육이 발전해왔지만 그것은 대학의 ‘부설’ 기능으로 역할을 인정받았을 뿐이다. 그러나 2008년 이후 대학의 체제를 평생교육체제로 개편하려는 ‘평생학습중심대학 사업’에 정부의 의지가 투입되어 큰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배경에는 평생교육 이념의 확산 외에도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가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고령화로 인한 성인계속교육에 대한 요구 증대, 대학에 대한 평생교육기능 강화 기대, 대학의 지역사회봉사 요구,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가 대학입학자원 확보에 미치는 위기 등이 대학과 정부에 대학체제 개편을 실행하도록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성인들을 대학에서 교육하기 위해서는 대학학사 운영의 근본적 개편이 필요하다. 첫째, 가장 중요한 것은 입학기준을 학생들의 경우와 달리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다. 성적 외에 자격증, 경력, 학습활동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 대학에서 수학할 수 있는 능력을 시험을 통해서 검증하는 전통적 방식을 따라야한다면 성인들이 대학에 입학하는 것은 매우 큰 장애에 부딪힐 것이다. 이에 국내외에서 성인들의 경험과 경력을 평가해서 입학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전학습경험인증제’에 대한 논의가 발전해왔다. 둘째, 시간제 등록제, 야간, 주말과정 등 교육과정을 성인들의 편의에 맞게 편성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성인친화적 학사운영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성인학생을 위한 장학금, 주거 지원, 보육 지원 등 성인들의 생활과 학업을 병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서비스들이 도입되어 왔다. 학생들이 학업을 따라가기 힘들어 하는 강의에 대해서는 무료로 보완교육을 제공하거나, 성인학생들이 다른 일반 학생들이 누리는 경험과 혜택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대체 프로그램도 마련해놓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성인학생들이 졸업후 노동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도록 돕기 위해 각종 커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전통적 성인학생들끼리 상호 연계하고 네트워킹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 고령층 여성의 직업능력개발 지원 방안

        박성정(Sung-jung Park),오은진(Eun-jin Oh),김미경(Mi-kyong Kim),성희(Seong-hie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4

        This study aims to develop policies to strengthen the employability of women aged over 50. Researchers analyzed the status of economic activity and the needs for the employment and training of older women in South Korea.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emale workers over 50 tend to work as self-employed(24.9%) and temporary employees(24.3%) rather than regular employees (9.1%). A large number work in Elementary occupations (25.7%), Agricultural, Forestry & Fishery (21.6%), and Services (25.0%) & Sales (12.9%). The main issues of them (of females over 55) leaving work are health (33.4%), family (25.7%), and lack of jobs (16.6%). Barriers of employment are also health (24.4%), age (19.1%), and house works (17.3%). However, 71.8% of males and 44.5% of females over 55 want to work. 61.2% want to have full-time jobs. The purposes of employment are income and meaningfulness. The main requirements of job selection are income and work time. Older women need decent jobs, flexible working hours, employment information, vocational counseling and training, and alleviation of age discrimination in the labour market. To enable older people to work,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create diverse and decent jobs in communities, provide one-stop services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of older women, and support to transform companies and the society into having an older people-friendly working conditions.

      • 불법행위로 인한 위자료 산정에 관한 일고찰 -판례를 중심으로-

        박성정 ( Sung Jung Park ) 한국손해사정학회 2015 손해사정연구 Vol.12 No.-

        위자료는 그 성질상 회복될 수 없는 것이고 또한 금전으로 회복되기도 어려운 손해이다. 이러한 위자료의 법적성질을 전보적배상설로 보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 손해전보의 기능과 위자로서 만족기능, 제재적 기능, 그리고 손해전보의 불균형을 어느 정도 보완하는 기능이 있다. 급격한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적 가치가 침해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서 인격적 법익침해의 호소가 현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에 대한 법적보호의 실현을 위하여 세부적인 유형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최근 비재산적 손해배상에 대한 우리법상 인정사건과 학계와 실무의 연구가 예전에 비해 활발해지고 있지만 그 인정범위는 폭넓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민법은 비재산적 손해배상이 인정될 수 있는 전형적인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특히 신체, 자유 그리고 명예 외에 다른 인격적 법익의 침해의 경우에는 민법 제750조를 통한 구제가 가능하다. 인신손해의 위자료 인정기준금액이 2015년 3월 이후 10,000만원으로 증액되었으나, 인격권침해에 대한 하급심 판례는 일부 고액의 판결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증액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법상 비재산적 손해배상의 유형을 되짚어 보고 유사 판례를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재판의 상당성과 유사성을 확보한다면 우리법상 비재산적 손해배상의 유형에 있어서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Consolation money, by their nature, those which can not be recovered also is also difficult damages financially be recovered. the legal nature of these consolation money is seen in the compensation of damage theory, the function of satisfaction as a consolation and the function of deterrence to its function, Sanction functions, and, there is a function to some extent complement the imbalance of damages. Value of human dignity and personality now appears phenomenon that has been infringed to rapid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complained of personality interests protected by law infringement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for the realization of legal protection against this, it should promote a detailed categorization. recently certification incident by korean law and Academia and practical research on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have become active than before, but It has in fact is the scope of accreditation is not performed widely. Our civil law defines a typical case that can damages of non-pecuniary loss are observed. in particular, the body, freedom and honor of the other, in the case of infringement of other personality interests protected by law is, it is possible to remedy through the korea civil law Article 750. Trafficking consolation money certification standards amounts since March 2015 of damage has been increased to 100 million won, the lower court precedents of moral rights infringement, with the exception of some of the large sum of judgment, reflect these increased if not death. Therefore, our law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by type revisit seen systematic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imilar cases of compensation, if ensured a substantial and similarity of trial, predictability in our method type of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it will be able to ensure.

      • KCI등재

        귀농ㆍ귀촌여성의 농촌생활 경험 분석: 진안지역 사례

        진명숙(Jin Myong-Suk),박성정(Park Sung-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2 여성연구 Vol.83 No.-

        최근 귀농ㆍ귀촌자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정책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귀농ㆍ귀촌 여성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어, 귀농ㆍ귀촌여성의 실태와 어려움 그리고 정책요구가 전혀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진안지역 귀농ㆍ귀촌여성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귀농ㆍ귀촌여성들의 귀농ㆍ귀촌동기, 정체성, 자녀교육, 경제활동, 마을주민과의 관계 형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귀농ㆍ귀촌여성들의 농촌생활 경험의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귀농ㆍ귀촌 여성들의 농촌생활 만족도와 어려움, 그리고 성공적인 농촌 정착과 농촌 발전을 위한 활동과 역할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여성들은 귀농ㆍ귀촌의 동기를 자녀의 교육환경, 도시에서의 직장생활에 대한 회의, 생태와 자연에 대한 관심, 시골생활에 대한 동경, 가족의 행복, 좀더 나은 삶 등으로 답하고, 생활 방식과 가치의 전환을 농촌에서 찾고자 하였다. 자신들을 ‘귀농ㆍ귀촌한’ 사람이라기보다는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사’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고, 대부분은 농촌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것에 긍정적이었다. 또 농업 외의 분야에서 귀농ㆍ귀촌여성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었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은 마을 적응 과정에서 주민들의 과도한 관심이나 간섭을 부담스러워하거나 갈등의 요소로 여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은 이를 농촌의 문화나 정서 안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귀농ㆍ귀촌은 ‘가구’ 단위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남편과 아내를 각자 주체적인 위치로 놓고 ‘사람’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귀농ㆍ귀촌을 함께 했다 하더라도 남성과 여성이 처하는 상황과 어려움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귀농ㆍ귀촌여성들이 농촌에 정착하고, 또 귀농ㆍ귀촌이 농촌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귀농ㆍ귀촌 여성들이 자신이 지닌 역량과 재능을 농촌사회에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여성들이 자기 목소리를 표출할 수 있도록 농촌사회의 문화가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As a growing number of people turn to farming or farm villages, the phenomenon draws extensive social and policy-based attention. However, as only little attention is drawn to women who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s, their actual status, the difficulties they face and policy-related demands have not been identifie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asons why such women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s, as well as their identity, education of their children, economic activities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fellow villag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women who have done so in Jinan, The objectives of this analysis are to draw a picture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ir experience in farm villages, and thus to identify their satisfaction levels for living there and their difficulties, as well as the activities and roles required for their successful settle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se villages. Answers indicate that these women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because of a desire to provid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 skepticism about their jobs and urban lives; interest in ecology and nature; yearning for a rural life; happiness for the family; and a desire for a better life. They strove to find new lifestyles and new value systems in farm villages. They saw themselves not as people who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but as those who “moved” from a city to a farm village. Most of them are positive about raising their children in farm villages. They are looking for opportunities to engage in activities other than farming. Most of the interviewees said that they felt uncomfortable or there was possibility of being at odds with local villagers when such villagers excessively paid attention to or interfered with their efforts to settle in the village. However, they conceded that they should approach such issues from the viewpoints of the culture or sentiment in the farm villag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issue of turning to farming or farm village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 - whether it is a husband or a wife - rather than each “household.” This is because men and women - even if they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together as a family - face different situations and difficulties. In order for the women who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to successfully settle down in farm villages and to contribute to the rural community,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show their ability and talents in the rural community, and the culture of the rural community should change so that women can make their voices heard.

      •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향 : 경력단절 예방기능 강화를 중심으로

        오은진(Eun-Jin Oh),박성정(Sung-Jung Park),장희영(Hee-Young J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서론 가.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새일센터의 기능 전면 개편과 관련하여 지역별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서비스 기능 강화, 경력단절여성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서비스 기능 강화, 지역사회의 경력단절여성 대상 일자리 발굴 및 설계, 특히 대체인력과 관련한 일자리 연계 등을 통해 지역사회 여성의 전 생애에 걸친 경력개발 및 설계를 위한 종합 경력개발 지원센터로서의 새일센터의 타당성에 대한 부분을 검토하고자 한다. □ 기존 연구가 주로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지원체계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 등 경제활동촉진법 전면개정을 앞둔 상황에서 새일센터의 기능 개편을 목적으로, 현장을 점검하고 모니터링하는 차원에서 질적연구를 실시하여 새일센터의 경력단절 예방 서비스와 관련된 지점을 집중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경력단절여성 대상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주요 내용은 경력단절 발생 이전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 현황, 경력단절 발생 초기의 경력단절여성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조기 재취업을 위한 서비스 현황을 파악한다. 경력단절 발생이 예측되는 위험여성들에게는 해당 직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경력복귀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새일센터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구체적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대상, 기업체, 경력단절여성 그리고 서비스 전달체계 담당자들을 통한 FGI 및 전문가 회의를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용센터와 지자체 중심으로 경력단절 예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로를 개발하고 이를 새일센터에 어떻게 보급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새일센터의 경력단절 예방 및 지속적 경력개발을 위해 지역사회에서의 대체인력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 관련 기업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 타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 연구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지역 내 여성고용서비스의 전달체계를 파악하고, 관련 기관 서비스 내용에 대해 인터넷 및 문헌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관련 기관 서비스 내용 이외의 보다 심층적인 내용은 현장 방문 시 인터뷰를 통해 보완하였다. 또한 정책 대상자들의 초점집단 면접을 통해, 기업에서의 경력단절여성 고용의 필요성 및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기업의 의지와 제도 또는 서비스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초기 경력단절여성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빠른 재복귀를 위한 서비스 욕구를 면접조사 분석하였다. 서비스 기관담당자들을 대상으로는 현재 재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내용 및 방법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절차의 타당성 등에 대하여 면접조사 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경력단절 예방 사업 영역에서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위한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이외에도 관련부처 및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여 최종적으로 정책개발에 활용하였다. 또한 고용보험 DB, 노동통계,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2015년) 등과 같은 양적 조사자료도 분석에 폭넓게 활용하였다. 1. Research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First, it aims to propose the policy by identifying what services have been offered to career-interrupted women in communities. Specifically put, the following four services are included: 1) career interruption prevention services; 2) services for women whose career has been recently interrupted; 3) services for helping career-interrupted women quickly get reemployed; 4) services for supporting women with a high risk of career interruptions to return to work. Second, this paper is designed to develop specific services that Reemployment Support Centers for Women (RSCWs) should provide to prevent women’s career interruptions. The third and final objective is to newly present the functions and roles of RSCWs as comprehensive service agencies for preventing career interruptions and promoting continued career development. With these objectives in mind, we also tried to identify the probability of replacements in communities to support career-interrupted women to quickly return to work, presenting the validity of the scheme via interviews with related businesses.

      • KCI등재

        직장 여성을 위한 기업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

        김남희 ( Nam Hee Kim ),박성정 ( Sung Jung Park ),( Gary N. Mclea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9 HRD연구 Vol.11 No.3

        본 논문은 한국 기업에서 여직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여직원들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주내용이 무엇이며, 그것에 반영되어 있는 기업의 여성인력에 대한 시각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설 연수원을 가지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베이 조사 결과, 기업체 여직원들이 가장 많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은 현재 직무 기술을 향상시키거나 일반적인 직장내 적응을 돕기 위한 내용 등이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 직무를 대비하거나 경력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내용을 담은 프로그램에의 참여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 기업들은 향후 여직원 교육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지원을 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기업내 여직원들의 역할과 기능이라는 부분에 대하여 조직이 혹은 조직내 구성원이 근원적으로 어떠한 전제를 가지고 있는지를 이론과 실제의 차원에서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formal company-provided in-house training for women employees in Korea. It explores the content of job training for women employees and how organizations view women employees. Based on descriptive survey results reported by managers of participating Korean companies that have in-house training centers, it was concluded that the training programs in which women employees participate are often focused on specific current job skills and general company etiquette rather than on long-term skills for future career advancement of the women employees. However, these Korean companie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more support for women employees in the futu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fessionals should be aware of these issues and support ongoing and varied inquiry, adding to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