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록타임제 중학교 사회수업의 구성형태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일상의 최적화론과 수업정책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선운 ( Sun Un Park ),조영달 ( Young Dal C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lock scheduling Social Studies classes. For this purpose, micro-ethnographic research such as classroom observations, videotaping,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was performed in the Social Studies classes of first-grade in a middle sch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ree concepts; ``Lesson organization``, ``Social participation mode``, and ``Transformation of content struc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lock time classes focused on delivering knowledge and memorizing unlike its original intention because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multimedia and the Internet materials were functioning as means for class efficiency. Second, teachers run two independent but same classes repeatedly in one block scheduling class. Third, behaviors of teachers reflected the perception of the changes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system; that supports Optimization in Teaching of Everyday Less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thick description about new educational policies and world of the real classes. And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goals of a new instructional policy and teachers` behaviors, we should deeply consider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teaching of everyday lessons. Finally, the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should be facilitated for teachers to accept new attempts and changes in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경제적 합리성과 형성 요인 -경제교육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박선운 ( Sun Un Park ),조영달 ( Young Dal Ch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1 경제교육연구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qualification of economic rationality in Korean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it.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economic rationality was carried out to 704 high school student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The survey revealed that (1) Korean students do not qualify as a high standard in economic rationality, (2)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each content of economic rationality that students acquired; the acquired levels for each content are low except for ``cost-benefit analysis``, and (3) there are some factors that influence on each content of economic rationality such as gender, GPA, grade(school years), economic state of family, and taking economics courses. However, there is no factor that leads to ``pursuit of self-interest.`` The results of this survey might suggest that economic educ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alification of economic rationality is needed for Korean adolescents in post-crisis economic world.

      • KCI등재
      • KCI등재

        법교육 관점에서 본 학생징계 시행 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성혁 ( Sung Hyeok Park ),박선운 ( Sun Un Park ) 한국법교육학회 2009 법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생징계의 시행 중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 하고, 법교육의 관점에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내봉사, 사회봉사, 특별교육 이수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생징계 시행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생징계를 받은 학생들의 ‘처벌회피형’ 준법의식이 형성되고 있었으며, 이는 법규범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생징계가 학생징계 대상 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의미 있는 활동으로 학생들에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생징계는 지역사회와 지속적으로 연계되지 못하는 일회적인 활동에 그치고 있다. 이와 같은 학생징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징계의 내용 중에 법교육을 포함하여 학교교칙, 법, 규범 등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인식이 가능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징계에 내·외적인 반성을 포함시켜 의미를 지닌 ‘학습’으로서의 학생징계가 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와의 협조가 강화되어 학생징계가 학생들에게 지역사회와의 유대감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guidance program for students and to suggest thereby the way that can improve the program in law-related education`s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of an high school in Seoul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the problems were founded below. First,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guidance program have punishment-avoid type of the law-abiding consciousness and negative recognition about laws and norms. Second, the guidance program 랙 students did not seem to be a meaningful program relate to the students` behaviors that break the school rules. Third, the program dose not continue with the local community. To improve the guidance program, it is needed that the program includes law-related educational contents so that students change their negative ideas about laws and norms to positive ones. In addition, students who participate the program should have a chance to reflect their behavior in order to make the guidance program valuable and meaningful. Finally, intensifying the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y can have students enhance the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 다수 학교에 대한 비교 사례 연구: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조영달 ( Young Dal Cho ),박선운 ( Sun Un Park ),윤경 ( Yun Kyoung Park ),김재근 ( Jae Guen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2

        다문화가정 학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학교 인구 구성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학교 다문화교육 환경 변화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환경 맥락에 있는 세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학생 다수 학교에 대한 비교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 다수 학교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고 학교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 연구 대상은 도시 지역, 농촌 지역 및 동일한 출신국적 배경의 학부모가 많은 초등학교로 선정되었다. 자료 수집은 학교 구성원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은 SWOT 방법을 적용하여 학교 내부의 강점과 약점, 지역 사회로부터의 기회와 위협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학생 다수 학교는 모두 학교 및 지역 사회의 지원 및 노력을 바탕으로 통합적 다문화교육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이는 다문화가정 학생이 다수라는 데서 기인한 강점이었다. 하지만 동시에 지역 사회로부터의 위협에 직면해 있었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학교 맥락의 차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도시 지역 학교는 지역 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 교류가 부족하고,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요구를 공식적으로 수렴할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가정으로부터 역차별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에 직면해 있었다. 농촌 지역 학교는 지역 사회 구성원 간 상호 교류가 긴밀함에도 불구하고 동정적, 시혜적 관점에 기반해 있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동일한 출신 국적 배경을 가진 다문화가정 학부모가 많은 학교에서는 학부모의 학교 활동 참여가 활발한 대신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학교 참여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비교 사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다수 학교가 가지는 학교 다문화교육차원에서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논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학교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schools in which multicultural children are in the majority and to fin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se schools from a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will be suggested. For this purpose,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ree elementary schools was performed. Each school ha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majority in common; the schools differed with regard to school regional background, and the degree of homogeneity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y population. The first school was located in urban area with a heterogeneous multicultural family population, and the second in a rural area with a heterogeneous multicultural family population. The third was located in an urban area with multicultural students whose parents had same national background. Data were in the form of in-depth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s, and were analyzed using the SWOT method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Threats). Four major findings emerged from the analysis. First, all three schools had the capability for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facilities, programs, and commitment of teachers to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urban school lacked communication channels that could officially gather requests of the local community for the content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Third, the weaknesses of the rural school created a risk of unsustainable operation. Fourth, in the urban school with a homogeneous multicultural population, threats came from having a bifurcated association of parents; one parent group comprised multicultural parents with the same national background, while the other included only ethnically Korean par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mplies the followings: First, the study recommends tracking changes in the cultural demographics within each school district, and subsequently adapting each district``s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to reflect the voices of the diverse members of each community in order to minimize conflicts within them.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s and their local communities should be strengthened. Finally, in-depth understanding of each school``s strengths and limitations is required for improving the capacity of schools to implement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