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의 자원무기화 ― 희토류 패권의 취약성

        박선령 ( Park Sun Ryung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7 세계정치 Vol.27 No.-

        본 논문 은 희토류(Rare Earths)라는 전략자원에서 중국이 지니고 있는 패권의 이면을 분석한다. 각종 첨단산업에 필수불가결한 원료로 사용되는 희토류는 대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략 자원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희토류 시장에서 중국은 전 세계 수요의9 0% 이상을 공급하는 희토류 패권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2010년 중일 영토분쟁 당시 중국이 취한 대일 희토류 금수조치와, 같은 해 시행된 희토류 수출쿼터 삭감은 국제사회의 희토류 자원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사건이었다. 특히 중국이 희토류 공급독점적 지위를 무기처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중국의 대표적인 자‘ 원무기화’의 사례로 꼽히기도 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중국 희토류 패권의 이면에 집중하여 , 그 공급독점적 지위가 지속적이고도 일방적으로 타국의 희토류 자원안보를 위협하는 것은 아님을 보이고자 한다. 즉, 높은 상호무역의존도와 중국 희토류 산업내부의 문제점으로 인해, 중국의 희토류 패권 이면에도 취약한 면모가 있음을 주장한다. 이는 역설적으로 중국의 희토류 공급독점적 지위도 수입국과의 무역 의존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의미하며, 주어진 전략자원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할 경우 중국의 자원안보도 저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chapter analyzes the hypocricy of China’s hegemony over Rare Earths. As one of the strategic minerals, Rare Earths are irreplaceable and indispensable materials used in a wide range of industries. China enjoys its hegemony by producing more than 90 percent of the world’s demands. Given that China’s monopoly in the Rare Earths produc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continuously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China may weaponize its Rare Earths hegemony at any time. During the 2010 Sino-Japanese ter- ritorial disputes over the Senkaku-Diaoyu Island, the concer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re validated. China imposed an embargo on its Rare Earths exports to Japan, and Japan had no choice but to release the Chinese captain in question. In addition, China’s decision to slash its Rare Earths export quotas intensified international concerns, which led to the international Rare Earths prices skyrocketing by 16 times. These two cases demonstrate China’s Rare Earths hegemony and the vulnerability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this shows that China also reveals its vulnerability in Rare Earths. The majority of existing studies tend to focus on one-time threatening cases and fail to analyze whether China’s hegemony has continued to threaten other countries’ resource security in Rare Earths. To address this gap in research, I investigate two cases. The first reveals that Japanese consequential responses after the embargo also damaged Chinese Rare Earths industry. The second evidences how the chronic smuggling and fragmented industrial structure in Chinese Rare Earths industry have almost nullified the slashed export restrictions. While I do not deny existing arguments on China’s Rare Earths hegemony, I argue that “exclusively producing a resource”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having leverage over the resource security of others.

      • KCI등재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and Producers

        Sun Ryung Park(박선령),Joo-Youn Jung(정주연)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5 국제관계연구 Vol.20 No.2

        본 논문은 중국 희토류 산업 내에 만연한 밀수출 문제를 중국 중앙정부가 근절하지 못하는 원인을 분석한다. 중국의 희토류 밀수출 문제는 전략적 ․ 경제적 가치가 높은 희토류 자원을 보호하려는 중국 정부의 조치를 심각하게 저해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중국 정부가 밀수출 문제의 심각성을 공식적으로 제기한 2006년 이래로 이를 근절하기 위해 수출통제 및 산업통합정책이 시행되었으나 밀수출 근절에는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수출통제 및 산업통합정책 그 자체에 집중하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지방정부와 지방 소규모 희토류 생산기업들의 인센티브에 초점을 두고 있다. 희토류 외의 자원이 미비한 지역의 지방정부들은 관할 지역의 소규모 희토류 생산 기업들을 보호함으로써 세금수입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지방정부의 묵인 또는 방조하에, 생산능력 과잉상태인 소규모 희토류 생산기업들은 불법채굴과 밀수출을 지속하는 양상을 보인다. 본 논문은 중앙정부 소유의 대규모 국유기업 위주로 희토류 산업을 통합, 재편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밀수출 문제가 쉽게 근절되기는 어려울 것이며, 중국이 전략적 레버리지로 희토류를 활용하는 전략을 저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ason why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has not been able to eradicate the smuggling problem that is prevalent in its rare earth industry and hinders its attempts to protect its scarce resources, which is of great strategic importance and economic value. Since 2006 when the Chinese government officially recognized the gravity of the smuggling problem, export restriction policies and consolidation measures have been implemented to root out smuggling; however, illegal practices seem to have been little affected. This paper focuses not on the Chinese rare earth policies per se but on the incentives of two key actors: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local small-scale producers of rare earth elements (REEs).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rare earth abundant inland regions with few other resource advantages have an incentive to maximize tax revenues by protecting small-scale REEs producers in their jurisdictions. Given the connivance or acquiescence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ce gap, small-scale producers with overcapacity continue illegal mining and smuggling. This finding suggests that, despite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s recent attempts to restructure the REEs industry based on central state-owned conglomerates, it would be difficult for it to eradicate rare earth smuggling within the near future, possibly hindering China’s resource strategy to utilize rare earths as a strategic leverage.

      • KCI등재

        Centralization through Consolidation

        Sun Ryung Park(박선령),Joo-Youn Jung(정주연)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7 평화연구 Vol.25 No.1

        이 논문은 중국이 독점적 지위를 누리는 핵심 전략자원인 희토류 산업에서 지난 십여 년 동안 일어난 정책변화를 분석함으로써, WTO시대 중국의 전략산업 정책전환을 조명하고자 한다. 2000년대 후반 이후, 중국 중앙정부는 기존의 수출통제 중심의 희토류 산업정책에서 크게 선회, 산업구조의 합리화와 수출통제 폐지를 추진해왔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정책변화가 기실 자유화나 탈규제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파편적인 희토류산업을 통합과 중앙집중화를 통해 대규모 국유기업 중심으로 재편하고 산업전반을 보다 효율적인 중앙정부 통제 하에 두는 것을 목적으로 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희토류 산업정책은 중국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국가 자원산업에 있어 중앙정부의 감독과 통제권을 강화하고 대형 국유기업의 독점체제를 만드는 형태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focuses on recent industrial policy changes in the Chinese rare earth industry, and attempts to show how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is shifting strategies for this important resource industry. Since the late 2000s,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has pursued consolidation of the highly fragmented rare earth industry into one dominated by large state-owned enterprise (SOE) groups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This is far from liberalization and marketization as most media coverage and scholars have suggested.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is pursuing the centralization of the industry through nation-wide consolidation, which can make its intervention more effective and enhance the predominance of large SOEs under the name of efficiency.

      • KCI등재후보

        네거티브 정치캠페인의 성공과 실패: 연구흐름의 정리 및 케이스 비교 분석

        안종기 ( Chong Ki An ),박선령 ( Sun Ryung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1

        본 논문은 네거티브 정치캠페인 혹은 네거티브 정치광고에 대한 상이한 관점과 그에 따른 논쟁적 의문에 대해 다양한 기존연구들을 검토하여 네거티브 정치캠페인이 항상 부정적인 효과를 야기하기 보다는 정치과정과 정치운영에 건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현실 정치현상의 설명과 분석을 통해 네거티브 정치캠페인이 지니는 의미있는 역할을 입증하기 위해 1997년 대통령선거에서의 이회창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 정치캠페인과 2007년 대통령선거에서의 이명박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 정치캠페인의 효과를 비교하는 케이스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네거티브 정치캠페인이 겨냥하는 초점이 상대방의 본질과 핵심을 건드릴 때 그 효과가 발휘되는 반면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 내세운 일종의 브랜드 가치, 즉 핵심적인 정치적 자산과 무관할 경우에는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네거티브 정치캠페인이 과도한 소모적인 정쟁만 불러일으키는 촉매제가 아니라 현대 민주주의의 건강한 경쟁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전망 혹은 현실정치에서의 유의미한 역할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는 것이 한국정치에 던지는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네거티브 정치캠페인의 건강한 존재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그 규범적, 윤리적, 법적 범위와 허용 가능한 수준의 설정에 대한 모든 정치주체들과 참여하는 공중(The Public)의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paper analyzes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debates over negative political campaigns or so-called negative political advertising. It attempt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ver the functions, roles and effects of negative political campaigns,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their potential, positive contributions in overall political institutions and elective systems. Moreover, based on two cases, namely, negative political campaigns against presidential candidate Lee Hoi-Chang in 1997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and those against presidential candidate Lee Myung-bak in 2007 election, this paper pursues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negative political campaigns. The case study will provide opportunity to fully understand regarding under which factors the negative political campaigns would influence on the actual elections in positive way.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further implications on how the negative political campaigns could serve as driving force for desirable competition in democracy, not as an accelerator to excessive, exhausting political str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