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활동 중심 한국어 듣기 교수 모형 설계

        박서윤 ( Seoyoon Pak ),임소연 ( Soyoun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듣기 교수 모형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이를 종합하여 듣기의 3단계에 따라 상호작용 활동중심의 교수 모형을 설계하였다. 문헌 및 선행 연구를 종합한 결과, 듣기 전 단계에서 배경 지식 활성화를 위한 스키마 활동이, 듣기 단계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과제 활동이, 듣기 후 단계에서는 기능 연계 통합 활동과 청자의 정의적·인지적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활동이 포함된 듣기 교수 모형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계된 상호작용 활동 중심 교수 모형을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신장될 것이며, 적극적인 학습자 중심 학습의 장이 열릴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모형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밝히는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listening teaching model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learners.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for this study, and after synthesizing it, the interaction activity-oriented teaching model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three steps of listening. As a result of reviewing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listening teaching model including schema activity for knowledge activation in the pre-listening stage, various types of task activities in the listening stage, functional linkage integration activities and activities that can check the affective and cognitive responses of listeners in the post-listening stage, i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listening ability. Designed teaching model will increas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t is also expected that a place of learner-centered learning will be opened.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applying this study to the classes.

      • KCI등재

        이공계 유학생을 위한 대학 한국어 예비 과정의 일반화학 수업 모형 설계

        임소연 ( Soyoun Lim ),박서윤 ( Seoyoon Pa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이공계열 학문을 전공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화학 수업 모형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과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종합하여 내용 중심 교수법에 따라 언어와 내용을 함께 전달하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문헌과 선행 연구를 종합한 결과, 이공계열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전공 지식의 개념과 어휘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으며 이를 쉽게 풀이한 수업에 대한 요구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설계된 내용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일반화학 수업 모형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어 능력과 전공 지식이 함께 신장될 것이다. 또한 기초학문인 일반화학을 성공적으로 학습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전공과목들도 적극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수업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앞으로 새롭게 연구되어야 할 방향을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general chemistry class model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o this end, we review the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and synthesize them to design a class model that delivers language and content together in accordance with content-driven teaching methods. As a result of combining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students studying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are having a hard time with the concept and vocabulary of their major knowledge, and there are many demands for classes that easily solve them. Therefore, through the general chemistry class model applied with the designed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 learn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major knowledg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successfully study generalization, which is a basic science,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actively study various major subjects. We apply the class model of this study to the actual training site and discuss the directions to be newly studi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