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자 윤리의 실천 수단으로서의 시민사회적 공공성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6 현상과 인식 Vol.30 No.3

        The Self was discovered and established in the coming of modern age, but it wa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elf-identification which was ego-centered and exclusive against others. Lots of social problems resulted from this thinking required that we admit the others as an absolute being and an important basis of social peace and self-actualization. Based on this turnover of thinking, rose to the surface the altruistic responsibility as a social value and the means to practice it. This paper aims at addressing the publicness of civil society as a practical means of ethics for the other. Here, I will research the other as a being basis of the self, define the altruistic responsibility and publicness, classify the publicness of civil society, and analyze the activism of voluntary organizations practicing the altruism. I define publicness of civil society as a sphere of language and behavior which is not only publicized to everybody but also opened to everybody's participation. It also includes the moral emotion of reciprocity. I classified the publicness of civil society into four territories by two criteria of private-public interest and language-behavior. Each territory of the civil society publicness practices different kinds of altruism through different methods by the diverse voluntary organizations acting in the civil society. Civic organizations are especially important in the civil society publicness as a means practicing altruism because it maintains a high level of publicness and practices behavioral altruism.

      • KCI등재후보

        이케다 다이사쿠의 평화사상의 배경과 평화실현 방법

        박상필 ( Park Sangpeel ) 현대일본학회 2017 日本硏究論叢 Vol.45 No.-

        대체로 현대적 산물인 평화연구는 그 대상이 인간의 마음부터 시작하여 국제체제의 구조까지 다양하다. 평화사상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데, 종교지도자의 평화사상에 대한 연구도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평화사상가로서 이름이나 있지만, 제대로 연구되지 않은 SGI(Soka Gakai International)회장, 이케다 다이사쿠(池田大作)의 평화 사상의 배경과 평화실현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언어적 접근법을 통해 개념간 연계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범위는 그가 1983년 이후 매년 제언하고 있는 1 · 26 평화 제언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은 최근에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문제로 인해 □ 글에서 키워드로 검색하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35년간 총 35회의 평화제언에서 이케다는 적극적 평화의 사회윤리적 측면(6405회)에 대한 평화 관련 개념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정치윤리적 측면(1616회), 타자윤리적 측면(1214회) 순이었다. 이러한 적극적 평화의 사상적 배경으로서는 정치윤리적 측면에서는 대체로 불교사 상과 연계된 것이 많았고(총 118회 중 80회), 사회윤리적 측면에서는 스승의 지도와 유훈과 많이 연계되어 있었다(총 223회 중 140회). 타자윤리적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적었지만, 역시 스승의 지도와 유훈과 연계된 것이 많았다(총 54회 중 31회). 평화실현의 방법으로서는 정치윤리적 측면에서는 주로 유엔의 역할을 강조하였고(총 339회 중 217 회), 사회윤리적 측면에서도 유엔의 역할과 연계된 것이 다수를 차지하였지만(총 719회 중 437회), 시민사회/NGO의 활동(100회), 국가의 역할(99회), 개인의 노력(83회)도 평화 실현의 방법으로서 적지 않게 등장하였다. 타자윤리적 측면에서도 유엔의 역할과 연계 된 것이 다수를 차지하였지만(총 652회 중 355회), 시민사회/NGO의 활동(144회)도 평화 실현 방법으로서 일정 정도 언급되었다. 전반적으로 그는 평화에서 사회윤리적 측면의 전쟁·폭력 반대(4930회)에 대해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그 중에서도 핵무기와 같은 대량살상 무기의 금지를 가장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 해결방법으로서는 유엔의 역할을 가 장 중시하였다. Peace researches, which in general started in the modern age, are diverse ranging from studies on human mind to those on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regime. Peace philosophers are also actively studied and studies on religion leaders have some significance. This paper aims to study peace philosophy of Daisaku Ikeda who is the leader of SGI(Soka Gakai International). He is renowned as a peace philosopher, but relatively less studied. I will grasp relations between concepts of positive peace and the background of Ikeda`s peace philosophy as well as methods of peace realization with a sociolinguistic approach targeted at his peace proposals which proceeded on January 26th each year since 1983. He referred to social ethics 6405 times on concepts related positive peace, subsequently 1616 times to political ethics and 1214 times to ethics of the other in the peace proposal. In the background of peace philosophy, political ethics was mainly related to buddhism(80 times among 118 times), while social ethics and ethics of the other to his teacher`s guidance(140 times among 223 times and 31 times among 54 times respectively). In the method of peace realization, he put emphasis on the role of the UN in the aspect of political ethics(217 times among 339 times). On the other hand, he underlined the activities of NGOs(100 times), the role of state(99 times), and individual efforts(83 times) besides the role of the UN(437 times among 719 times) in the aspect of social ethics. Meanwhile, in the aspect of ethics of the other, the UN`s role(355 times among 652 times) was emphasized the most with the activities of NGOs(144 times). In general, he described on anti-war and anti-force the most(4930 times) and above all, on opposition against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s nuclear weapons. He thought the role of the UN as the most important method of peace realization.

      • KCI등재후보

        한일 간의 시민사회 역량 비교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6 NGO연구 Vol.11 No.1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compare the civil society capabilities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results of measurement conducted by CIVICUS in 2008-2010. The total capabilities of the two countries were a little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Among the five dimensions measuring the capabilities of the two countries civil society, each states had relatively higher scores in the dimensions of level of organiz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had relatively lower scores in those of civic engagement, practice of values, and perception of impact. With specific comparison, we could detect that Korea was better than Japan in the capability of practice of values, and Japan was superior than Korea in that of perception of impact. We also could discover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delicate comparison of 27 indicators and 61 sub-indicators. Korea and Japan could 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 increase their civil society capabilities and to enhance the solid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displaying their strengths and complementing their weaknesses which were exposed in the paper. 한국과 일본은 다른 영역과 마찬가지로 시민사회의 발전경로, 성격, 그리고 역량에서도 일정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다. 이 연구는 2008-2010년 사이에 시비 쿠스(CIVICUS)가 주관하여 세계 41개국 시민사회역량을 측정한 것 중에서 한일 양국의 시민사회역량을 각 차원과 지표, 그리고 하위지표에 따라 경험적으로 비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측정과 비교 결과 한일 양국의 시민사회역량은 중간보다 조금 높았다. 시민사회역량을 측정하는 5개 차원(시민참여, 조직수준, 가치실행, 영향력 인지, 외부환경) 중에서 양국 모두 상대적으로 조직수준과 외부환경의 역량이 높았 고, 시민참여, 가치실행, 영향력인지의 역량이 낮았다. 그러나 양국 비교에서 가치 실행의 역량에서는 한국이 일본보다 높았고, 영향력인지의 역량에서는 일본이 한국 보다 높았다. 그리고 5개 차원을 측정하는 27개 지표와 61개의 하위지표에서는 일정한 유사점도 있었지만, 여러 가지 차이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의 발견을 통해 양국은 각자의 장점을 적극 발휘하고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대로부터 학습함으로써, 각국의 시민사회의 역량을 증대하고 양국 간의 연대의 효용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시민단체에 대한 정부지원정책의 모색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3 NGO연구 Vol.8 No.1

        복잡한 현대사회의 문제를 정부의 운영원리나 관료제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어렵게 되면서 시민사회의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관심이 증대 하였다. 이러한 관심의 증대는 정부와 시민사회 사이에 협력의 증대로 이어 졌고, 협력의 증대는 시민사회에 대한 지원정책의 개발을 촉진하게 되었다. 이 글은 시민단체에 대한 정부지원의 이유와 지원모델에 대해 살펴보고, 지방자치 수준에서 실현가능한 지원정책을 탐색하려고 한다. 정부는 시민단 체(NGO)가 공공성을 지니고 공익을 추구하고, 각종 공공서비스를 효율적 이고 효과적으로 생산하며, 재정부족을 겪고 있기 때문에 지원한다. 정부가 시민단체에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은 행정적 법률적 재정적 인지적 지원 등으로 다양하다. 이 중에서 핵심인 재정지원은 공개경쟁, 단독계약, 단체설립 지원, 기금설립 및 지원, 특별지원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그 동안 시민 사회에서는 독립재단을 통한 대안적 지원방식을 요구해왔다.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크게 거버넌스위원회의 설치와 지역재단의 설립과 같은 정책을 개발할 수 있다. 전자는 시장 산하에 위원회를 만들어 시민사회의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참여민주주의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후자는 정부가 정기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되 자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하여 지역NGO센터의 설립 등 지역 시민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양자를 서로 결합하여 통합적 지원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Today,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utilizing the voluntary energies of civil socie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solve complex social problems by the governmental bureaucracy. The concern resulted in increases of partnership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which subsequently promoted developing governmental support policies for civil societ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realizable support policies for civil society by local government after studying the reasons and models of governmental supports for civil society. Government supports NGOs because they connote public spirits and pursue public interest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product public services on behalf of government, and suffer a financial crunch in itself. Government can support civil society in administrative, legal, financial, and cognitive ways. There are also several methods that government can financially support NGOs, such as open competition, an exclusive contract, supports for organization building, creating or contributing a fund, special supports for GONGOs. Here two policies are suggested in which local government can utilize in the real world. One is institutionalization of a governance committee which activates participatory democracy by assuring citizen participation. Another is building a community foundation which encourages local civic activism including establishing local NGO centers. Both can be integrated to an integral support system to create a synergy effect.

      • KCI등재후보

        시민주권시대 시민의 정체성과 주권의 재편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7 NGO연구 Vol.12 No.1

        사회구조의 복잡화 및 개인 욕구의 다양화와 함께 국가중심에서 벗어나 탈중심 화되는 경향을 맞게 되면서 국가주권이 쇠퇴하고 시민주권이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민주권시대를 맞아 시민은 누구이고, 시민주권을 강화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민은 국민, 인민, 민중 등과 의미가 다를 뿐만 아니라, 권리・ 의무 관계를 가진 국가구성원이라는 경험적 의미보다는 공공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기권리를 주장하고, 공동체의 발전에 책임을 지는 규범적 의미가 강하다. 그리고 시민주권을 강화하고 있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시민사회론의 측면 에서 본다면 실질적 민주주의 및 시민사회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의민주 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질적 민주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기획된 다양한 정치제도가 실험되면서 국정에 대한 시민의 참여가 늘어나고 책임도 증대하였다. 그리고 시민사회의 발달은 국정에 대한 시민참여를 증대할 기회구조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공공성의 증대를 통해 시민의 책임을 강화하게 된다. 시민사회에는 다양한 결사체가 있는데, 자원성과 공공성이 강한 NGO가 시민주권의 강화에 중요하다. 물론 실질적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의 발달은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매개하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기존의 참여방식이나 운동방식을 크게 바꾸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시민주권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시민사회적 가치의 발현이 중요하므로, 여전히 자원성과 공공성을 담지하는 NGO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The complexity of social structure and the diversity of individual needs result in declining of state sovereignty and rising of citizen sovereignty. This paper aims to study who citizens are and what factors are reinforcing citizen sovereignty. According to analyses, citizens are different from nation or people in the meaning and normative meanings were inherent in the concept of citizen. The concept of citizen involves responsibilities for the political community as well as individual rights to the state. Although several factors are strengthening citizen sovereignty, I think two factors are critical to the enhancement of citizen sovereignty, such as the development of real democracy and the activation of civil society. It is indebted to diverse political institutions planned to complement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enhance real democracy that participation in and responsibility for public interests is increasing. Meanwhile, the activation of civil society is not only contributing to extend the structure of political opportunities to governance, but also increasing citizen responsibility for public interests. NGO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hich especially retain lots of publicness and voluntarism, are significant in reinforcing citizen sovereignty among diverse voluntary organizations in the civil society. In the information age, it is natural for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mediate the development of real democracy and the activation of civil society and change citizen participation and activism methods.

      • KCI등재

        개인과 사회 발전 개념의 재구성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5 NGO연구 Vol.10 No.1

        개인과 사회의 발전은 개인의 정체성과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문제로 서, 개인과 사회는 근원적으로 발전을 지향한다. 이때 개인과 사회의 발전 개념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하는 중대한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이 글은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초월론적 존재론과 행복발전론에 근거하여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개인의 발전에 대해서는 정신적이고 사회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에 비추어 자기실현과 인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기실현에 대해서는 우주적 본성을 지닌 존재에 근거하여 영성, 이타, 과정을 중심으로 개인의 발전개념을 재구 성하였고, 인정과 관련해서는 다중적 욕구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여 존경과 시민성에 대해 새롭게 규정하였다. 사회의 발전에 대해서는 발전의 양상과 주체 문제를 고찰하였다. 발전의 양상에서는 공리주의에 기초하는 근대 물질문명의 경제환원론적 발전이 아니라 행복지수의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평가가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발전의 주체에 대해서는 국가가 아니라 개인이 발전의 주체가 되어야 하며, 공공영역의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시장과 시민사회에서의 공정한 참여를 중시하였다. 끝으로 개인과 사회의 발전은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하 는데, 비록 양자를 독립항으로 설정하더라도, 이중주의 화음처럼 조화를 이루는 것이 개인의 행복과 조화로운 사회 건설에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An Individual and society fundamentally aim for their own development because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nd society is very critical to the identity and life quality of an individual. At this juncture, we confront the problem of how to define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the concept of individual and societal development based on the transcendental ontology and theory of happiness development.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I inquired of self-actualization and acknowledge considering the mental and social identity of a man. I focus my works on spirituality, altruism, and process of the self-actualization, and respect and citizenship of the ac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society, I studied on the developmental aspect and agent. Of the developmental aspect, I put emphasis on that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should not be evaluated by the material development, but by the happiness of the people. Of the developmental agent, I argued that individuals must be the principals of the societal development, and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individuals to fairly participate in the market and civil society as well as in the public sphere. Finally, I proposed that individual development and societal development should be in harmony like duet for the happiness of all the people in a society and balanced societal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 시민사회의 재인식: 사고의 개방과 전략의 유연화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3 NGO연구 Vol.8 No.2

        포퍼(Karl Popper)는 마르크스주의의 사회공학과 역사주의에 대해 열린 사고를 주문한다. 기든스(Anthony Giddens)는 마르크스주의의 도덕적 신념을 비판하며 전략적 행위를 강조한다. 이 글은 마치 마르크스주의의 사례처럼 시민 사회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지 못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이명박 정부의 시민사회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시민사회에 대한 무지와 무시가 갖는 문제에 대해서는 존재론적 가치실현의 방해, 민주주의의 질적 성장의 저해, 경제적 문제 해결의 한계, 국가신뢰 및 정부지지의 약화 등 네 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즉, 시민사회를 배제하면 인간 실존의 근원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절차적 민주주의를 넘어 실질적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소득불평등과 실업문제를 비롯하여 각종 경제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국가신뢰를 증대하고 정부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공동체의 발전과 그 속의 시민의 삶의 질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시민사회적 가치에 사고를 개방하고 시민사회의 각종 자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와 시장이라는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듯 이, 시민사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criticize the civil society policy of Lee government which do not open door to and make strategic use of civil society. To attain this research purposes, I focused on four factors such as impediment to ontological identity, hindrance to substantial progress towards democracy, limited capabilities to economic hardship, diminished state trust and administrative supports, which are the problems of ignorance and disregard of civil society. I proposed that we should open thinking to values of civil society and make full use of resources of civil society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s we need the systems of state and market to solve the problems confronting Korean society in the present, it is important for us to have wisdoms of using actively civil society, the third sector outside of the state and market.

      • KCI등재

        서울시 사회적 경제 정책의 시민참여행정 평가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4 NGO연구 Vol.9 No.1

        국정관리에 거버넌스가 중시되면서 거버넌스의 중요한 가치 중의 하나인 시민참여가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민참여는 시민사회단체가 행위주체로 나서는 사회적 경제 정책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이 글은 서울시의 사회적 경제 정책에서 시민참여행정의 정도를 정책단계별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행정가치인 효율성(능률성, 효과성) 외에 반응성(개방, 소통, 쇄신), 공정성(합법성, 균형, 다양성 존중), 합의지향(권력분화, 조정, 팀워크), 참여행정(자결/자치, 협력, 공동책임) 등과 같은 가치를 시민참여행정의 가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정책단 계는 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 단계 등 4단계로 나누었다. 사회적 경제 조직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현재 서울시 사회적 경제 정책에서 중요한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 4개의 조직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시민참여행정의 가치에서는 공정성이 대체로 잘 반영되고 있는 반면 반응성, 합의지향, 참여행정에서는 중간 정도였다. 그리고 정책단계에서는 의제 설정단계에서 시민참여행정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정책평가단계에서는 문제가 많았다. 시민참여행정의 구현정도가 조직별로도 차이가 있었는데,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이 대체로 나은 반면, 마을기업은 조금 뒤떨어졌고, 자활기업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사회적 경제 정책에서 시민참여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재정지원제도의 구비, 베테랑 활동가의 전략적 육성, 시민사회의 역량 강화 등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addresses evaluating the degree of participatory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social economy policy of the Seoul City. To evaluate the participatory public administration, are set five valu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to policy process in the perspectives of governance, such as efficiency, responsiveness, fairness, consensus-oriented, and participatory administration. The policy process was also divided into four stages of agenda setting, policy decision, policy implementation, and policy evaluation. Here analysis was limited to four organizations of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 village enterprise, and self-support enterprise in the area of social economy. The results of evaluation show that the value of fairness was generally fulfilled in social economy policy of the Seoul City, which is compared to other values which is not well-fulfilled. In the policy process, participatory public administration was generally realized in the agenda setting stage, but almost not realized in the policy evaluation stage. If we analyze citizen participation into the policy proces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s of social economy, social enterprise and cooperative got a good mark, village enterprise was average, and self-support enterprise got the lowest score. To realize those values of participatory public administration, I proposed some strategies such as installation of financial aid system, training program for nurturing veteran actors, and strengthening ability of civil society itself.

      • KCI등재

        국가 거버넌스의 평가를 위한 분석틀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4 NGO연구 Vol.9 No.2

        사회구조의 복잡화와 개인욕구의 다양화와 함께 기존의 통치(government) 가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드러냄에 따라 거버넌스(governance) 가 새로운 정치 혹은 행정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거버넌스 실행 에서 거버넌스가 제대로 운영되지 못해 거버넌스가 지향하는 가치가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거버넌스의 효과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 글은 비교적 연구가 부진한 중앙정부 차원의 거버넌스 평가를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물론 중앙정부라고 하더라도 부처마다 조직의 성격이나 업무가 다르고, 다양한 기관이 있다. 여기서는 크게 대상을 준정부기관의 성격이 강한 의결/심의기관과 민간기관의 성격을 띤 실행기관으로 나누고, 각 부처에서 사례 기관을 선정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거버넌스에 시민사회의 NGO가 중요한 행위자로 참여한다는 가정 하에서 의결/심의기관 평가에서는 조직의 설립, 외부행위자의 참여, 조직의 성격, 권력의 분화, 의사결정방식, 책임의 공동이행, 조직의 혁신, 갈등해결 방식 등 8개 지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행기관 평가에서는 네트워크, 의사소통, 자율성, 파트너십, 정부지원, 조직능력 고양, 문제해결능력 증진 등 7개 지표를 개발하였다. Governance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of politics or administration according as the social structure is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the individual needs are diversified, in which government, an olden style of administration would be limited to solve social problems. Nevertheless, governance is not properly gone into action in the administrative field. This entices u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overnance. The purpose of his paper is to present an analysis framework for assessment of national governance that is scarcely researched in the social science. There are, of course, diverse organizations in a depart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are different in their organizational natures and roles. Here I assumed that case organizations are separated into legislative organizations and executive ones. I also hypothesized the main actors in the governance are NGOs. Taking these into consideration, I proposed 8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the legislative organization, such as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participation of outsider, nature of organization, power sharing, decision method, joint implementation of accountability,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yle. I also suggested 7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the executive organization, such as network, communication, autonomy, partnership, public aid,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capacity, and progress of problem solving skill.

      • KCI등재

        한국 시민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역할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5 NGO연구 Vol.10 No.2

        최근 한국 시민사회에 과거 10년 전과는 판이하게 다른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 면서 과연 한국에서 시민사회는 무엇이고, 또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늘고 있다. 이 글은 서구 시민사회의 형성과 성격에 대한 고찰에 기초하여, 1987년 6 월항쟁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최근 일어난 한국 시민 사회의 변화상을 참여방식의 다양화, 조직구조의 유연화, 중간지원조직의 확대, 풀뿌리조직 및 대안사회운동조직의 증대 등 4가지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시민사회가 국가 및 시장에 대한 견제 역할의 견지, 의사 거버넌스의 극복과 자율성의 확대, 첨단 통신기술에 대한 성찰과 사회자본의 강화, 시민사회의 민주성과 사회성의 강화 등 4가지 역할이 필요함을 역설하였 다. 나아가 한국 시민사회가 아시아 문명과 공동체의 구축에 일정한 이니셔티브를 행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Many researchers of civil society in Korea are asking what civil society is and should be experiencing the changes happening in the Korean civil society for the last 10 years. This paper is on the changes and its roles of the Korean civil society based on the building history and characters of Western and Korean civil society. Four changes such as diversity of participation method, organizational flexibility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 expansion of supporting organization, and increase of organizations of grass-roots and alternative society activity were studied. About the roles of Korean civil society in response to those changes, four roles such as continued advocacy action against the state and market, surviving fake governance, enhancing social capital, and reinforcing democracy and sociality of civil society were supposed. Finally I emphasized the initiative of Korean civil society to the establishment of Asian civilization and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