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표준선량과 저선량 프로토콜의 확대율 변화에 따른 화질과 선량 비교 평가

        박비석(Bi-Seok Park),손정우(Jeong-Woo Son),김재광(Jae-Kwang Kim),윤태영(Tae-Young Yun),조명주(Myung-Ju Cho),김동성(Dong-Sung Kim),Dae-Yong Kim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8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1

        목적 : 혈관 조영 시술시 표준선량과 저선량 프로토콜의 확대율 변화에 따른 화질과 선량을 비교하여 임상적 지표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재료 및 방법 : 본원의 SIEMENS 장비와 NEMA팬텀, Unfors Xi meter를 사용하였다. 표준선량과 저선량 프로토콜을 사용하였을 때 영상 확대 변화를 주어 30초간 총 5번의 누적선량을 측정후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또한, 두 프로토콜 간 평균 선량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SPSS t-test)을 하였다. 확대율에 따른 화질 비교를 위하여 공간분해능, 저 대조도 분해능, 와이어분해능을 측정하였다. 결과 : 확대율 변화에 따른 표준선량과 저선량의 누적선량을 비교한 결과, 저선량이 표준선량에 비해 48cm 27.88%, 42cm 39.92%, 32cm 29.68%, 28cm 38.72%, 16cm 11.71%, 11cm 0.83%의 선량 감소율을 보였다. p-value값은 11cm를 제외한 48cm, 42cm, 32cm, 22cm, 16ccm에서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았다. 화질 변화는 48cm에서의 화질 차이는 없었다. 42cm, 32cm, 22cm에서는 공간 분해능만 저하되었다. 16cm와 11cm의 화질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저선량은 표준선량 프로토콜에 비해 48cm, 42cm, 32cm, 22cm에서 평균 34.05±6.14%의 선량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서 16cm는 11.71%로 낮게 나타났고, 11cm에서는 0.83% 감소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선량 감소율에 비해 NEMA Phantom을 이용한 화질 비교에서는 42cm, 32cm, 22cm에서만 공간분해능 저하가 나타나고 다른 확대율에서는 화질 변화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20cm 두께의 NEMA Phantom에서의 저선량 프로토콜은 선량 감소율에 비해서 화질의 차이는 표준선량과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image quality and dos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magnification power of standard dose and low dose protocol in angiography to utilize it as clinical index. Matrials and method : This study used SIEMENS equipment, NEMA phantom, Unfors Xi meter. The study conducted comparison on average value after examining accumulated dose during 30 seconds for 5 times by giving variation to magnification power of image when using standard and low dose protocol.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an dos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otocols. To compare the image quality in accordance with magnification power, the study measured spatial resolution, low contrast resolution, wire resolution. Result : As the result of comparing accumulated amount of dose, the low dose had decrease rate of dose compared to standard dose(48cm 27.88%, 42cm 39.92%, 32cm 29.68%, 28cm 38.72%, 16cm 11.71%, 11cm 0.83%). Excluding 11cm, all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as p<0.001. As for the image quality, there was no image quality difference in 48cm. spatial resolution showed decrease in 42cm, 32cm and 22cm. There was no image quality difference in 16cm and 11cm. Conclusion : When low dose showed average decrease rate of dose about 34.05±6.14% in 48cm, 42cm, 32cm, 22cm compared to standard dose protocol, 16cm had decrease rate as low as 11.71% and 11cm had decrease rate of 0.83% which was similar. However, compared to decrease rate of dose, in image quality comparison using NEMA Phantom, only 42cm, 32cm and 22cm had spatial resolution, and other magnification power did not show difference in image quality. In conclusion, the low dose protocol in NEMA Phantom with 20cm thick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quality with standard dose compared to decrease rate of d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