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국경도시 여성들의 시장 경험과 삶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박병애(Byungae Park)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1

        본 연구는 북한의 시장에서 경제활동을 수행했던 북한이탈여성들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시장에서 경제활동과 밀무역 수행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수행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했으며, 북한 정권에 대한 인식과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으며, 이러한 변화는 그들의 정체성을 어떻게 구성했는지를 분석했다. 연구는 Yin(2009)의 사례연구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자는 최근 동향을 알기 위해 김정은 시대 북한이탈여성들 중,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5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했다. 자료는 연구참여자들과 일대일 심층 면접을 하여 구성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별주제가 68개 도출되었고, 이를 경험의 유사성 차원에서 결집하여 19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이러한 범주들을 「시장의 기원」, 「시장경제 체득」, 「밀무역의 계기」, 「시장에서 경제활동 저해 요인」, 「탈북의 계기」, 「결과」로 분석단위를 재배열했다. 이와 같은 모든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이 시장에서 경제활동과 국경 밀무역을 통하여 북한 정권의 모순을 깨닫고, 경제활동을 통한 자유시장 경제원리의 체득과 자기 권리를 찾은 탈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시장에서의 경험을 남한 사회의 적응력으로 강화하기 위한 방법과 북한 남성 위주 사회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했고 북한이탈여성들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했다.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ho previous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and smuggling while in North Korea. The study analyzes the prior economic activity and smuggling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t also examines the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free market economy as well as their identity built through such change. Yin’s(2009) case study method was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ensure data represented recent trends, the researcher selected five participants using snowball sampling among North Korean women who defected during the Kim Jong-un er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total of 68 individual topics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 data. The researcher organized the topics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of experienc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19 categories. These categories were rearranged into the following units of analysis: 「Origin of the market」, 「Acquisition of market economy」, 「Opportunity of smuggling trade」, 「Factors inhibiting economic activity in the market」, 「Opportunity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and「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rough economic activity and border smuggling, the interviewees developed an awarenes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operates inconsistently, learned the principles of free market economy, and found their rights through defe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measures to apply North Korean defectors’ market experience to strengthen their adaptability in South Korean society, criticizes the male-dominated North Korean society, and makes policy-level proposals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 women.

      •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의 정체성 회복과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병애 ( Park Byungae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4 평화통일논총 Vol.3 No.1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의 정체성 회복과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제3국에서 삶과 한국에 입국할 당시 경험, 정체성 회복과 적응에 힘들었던 점, 한국에 살면서 정부나 사회에 건의사항 등 그들의 목소리를 듣고 본질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에는 7명의 연구참여자들이 참여했다. 현상학적 자료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자료 분석은 Giorgi가 제안한 분석 절차에 따라 수행했고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상황적 구조기술과 일반적 구조기술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상황적 구조기술에 44개의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상처받은 존재 뒤에는 위대한 모정’, ‘더 나은 삶을 위한 이주’, ‘차별과 편견으로 적응의 어려움’, ‘정체성 확립’, ‘탈북학생 특별전형의 역차별’, ‘대안학교의 필요성’, ‘외부의 지지와 배려’의 7개 본질적 주제로 구성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어를 빨리 배우고 적응의 어려움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을 일부 개정하여 제3국 출생 탈북민 지원법을 건의하였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identity recovery and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born in a third country. The researcher sought to examine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y listening to their voices, including their lives in a third country, their experiences upon entering Korea, the difficulties they had in recovering and adapting to their identity, and their suggestions to the government and society while living in Korea. Seven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proposed by Giorgi, and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situational structural descriptions and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44 topics were derived. The researcher composed this of seven essential themes: Great Mothership Behind a Wounded Being, Migration for a Better Life, Difficulty in adapting to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stablishing Identity, Reverse Discrimination in Special Screening for North Korean Refugees, Necessity of Alternative Schools, and External Support and Consider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method to quickly learn Korean and minimize adaptation difficulties was suggested, and the Act on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was partially revised to propose a law to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a third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