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겔 자연철학에서 중력과 무게

        박병기 ( Byoung Kie Park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6

        이 글의 목적은 헤겔이 ‘die Schwerkraft(vis gravitatis)’와 die Schwere (gravitas)’를 구별했으며, ‘die Schwerkraft’가 아닌 ‘die Schwere’ 개념을 통해 자연을 철학적으로 해명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우리가 그와 관련된 헤겔의 텍스트를 읽을 때 둘을 구별하는 것이 헤겔의 텍스트를 더 세밀히 독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헤겔은 자연의 본질적 속성인 무게를 단순히 양적 개념인 중력으로 환원하여 자연을 이해하려 한다면 무게라는 사상에 들어있는 더욱 심오한 것이 무의미하게 되고 개념과 이성의 여지는 사라진다고 보았다. 물질이 무게를 갖는다는 것은 자연이 자신과 달리 있는 타자존재이면서 자신의 중심을 자신 속에서가 아니라 자신 바깥에서 가지고 있는 외자존재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둘을 다같이 ‘중력’으로 번역할 것이 아니라 ‘중력’과 ‘무게’로 구별하여 읽어야 한다. 예를 들어 “물질의 실체는 중력이 되는 반면에 정신의 실체는 자유이다”라는 명제는 헤겔이 물질의 본질, 물질의 실체를 중력이 아니라 무게로 보았다는 것을 감안하면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지만, 중력을 무게로 읽는다면 정연하게 이해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Hegel distinguished ‘die Schwere(gravitas)’ from ‘die Schwerkraft(vis gravitatis)’ and philosophically elucidated nature by using the concept of ‘die Schwere’, not ‘die Schwerkraft’, and to show that distinguishing the two allows us to comprehend Hegel``s text more precisely when reading his text on them. Hegel believed that the profundity in the idea of gravity would be meaningless and its concept and reason would disappear if we try to comprehend nature simply by converting gravity, which is an essential property of nature, into the force of gravity, which is a quantitative concept. The fact that a matter has gravity shows that nature is the otherness external to itself and Being-outside-itself with its center outside itself. Therefore, the two terms should not be translated as ‘the force of gravity’, but they should be classified into ‘the force of gravity’ and ‘gravity’. For example, the statement, “The substance of matter becomes the force of gravity, but the substance of the mind is free,” is contradictory, but it can be logically comprehended if the force of gravity is replaced with gravity as Hegel considered the essence or substance of matter as gravity, not the force of gravity.

      • KCI등재

        헤겔 자연철학 체계화 진화론

        박병기(Park Byoung-Kie)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7 No.-

        헤겔은 발전을 개념과 정신에만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서 자연에서의 진화를 거부한다. 그러나 헤겔은 자연을 하나의 단계가 다른 단계로부터 필연적으로 현출하는 여러 단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체계로 봄으로써, 자연에서 일종의 계단식 상승 과정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또한 그러한 과정들이 자연과정으로서 시간적 성격을 갖는다는 것 역시 의심하지 않는다. 다만 그것을 ‘발전’으로 규정하지 않았을 뿐이다. 나는 이 글에서 이러한 계단식 상승을 (헤겔 자신의 생각과는 달리) 진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정하여 해석할 수 있고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자연철학 체계의 변증법을 자연 변증법으로 확장 해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논증했다. 자연 변증법은 이러한 수정과 재해석을 통해 자연의 계단식 상승과정, 즉 진화를 자연이 포함하고 있는 가능성이 실현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고, 자연과정을 새로운 속성이 출현하고 그와 더불어 자연의 근저에 놓여 있는 관념적인 것(개념)이 점차 증대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는 존재론적·방법론적 기초를 갖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헤겔의 자연철학, 즉 자연 변증법은 오늘날 신진화론에 존재론적이고 방법론적인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Hegel regarded the development(Entwicklung) as the thing which is belonged to only concept and spirit, and therefore, he refused evolution(Evolution) at nature. However, Hegel admitted that in nature, there is kinds of stair-type elevation(Aufstufung) process by regarding the nature as one system that is consisted of various levels which one level is expressed inevitably from other level. Also, he did not doubt that these processes had temporal characteristics as natural process. He only not to insist it as "development". I suggested that in this paper, these stair-type elevation can be interpreted to mean evolution (which is different with Hegel’s own thought) by correcting and they need to be corrected. I demonstrated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to interpret extensively dialectic of natural philosophy system as natural dialectic. Through this correction and re-interpretation, dialectic of nature becomes a process of realizing possibility which nature includes stair-type elevation process and evolution of nature. And through this correction and re-interpretation, it can also have ontological and methodological basis which can explain natural process as the process that new property is emerged and it is indicated as the method of increasing in conceptual thing(concept) putting on the root of nature. Natural philosophy of Hegel, that is dialectic of nature which is re-interpreted like this can provide ontological and methodological basis to new evolution theory of recent days.

      • KCI등재

        헤겔 자연철학과 진자론

        박병기(Byoung-Kie Park)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의 철학이 계몽주의적 합리성의 한계를 넘어설 철학적 가능성이 있는지를 자연철학 안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헤겔은 저항이 없다면 진자의 운동은 끝없이 계속될 것이라는 근대 역학의 진자론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었음에도 진자의 운동이 본성상 정지로 이행한다고 한다. 이는 헤겔 자연철학이 마찰이나 저항과 같은 ‘우연성’, 즉 ‘비선형적 요소’를 제거해버린 근대 역학의 추상성을 의식적으로 비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며 동시에 헤겔 자연철학이 근대 역학의 근대성을 넘어서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러한 사례는 헤겔 자연철학에서 하나의 에피소드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핵심 사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우연성의 승인이라는 이러한 사상은 현대 분자생물학이나 비선형 역학에서도 동일한 형태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헤겔 자연철학이 죽은 것이 아니라 현재적 능동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할 만한 상당한 근거가 된다. ‘우연성의 승인’을 헤겔 자연철학의 핵심 사상으로 본다면 헤겔이 계몽주의적 합리성을 완성하고 있다는 비난은 적어도 헤겔 자연철학의 범위에서는 일면적이라고 보아야 한다. 헤겔의 ‘우연성의 승인’은 자연에서의 억압된 부정성과 비동일성에 대한 배려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in the natural philosophy that the philosophy of Hegel has a philosophical possibility to exceed a limit of enlightening rationality. Although Hegel was fully aware of the modem mechanics' pendulum theory that a pendulum continuously moves if there is no resistance, he insisted that pendulum's movement eventually finishes due to its own real nature. This is the example of that Hegel's natural philosophy intentionally criticized abstraction of the modem mechanics, which removed 'contingency', 'nonlinear elements' including friction or resist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example of that Hegel's natural philosophy transcends the modernism of the modem mechanics. This example is not just an episode of Hegel's natural philosophy, but one of his core ideas. The idea of an 'approval of contingency' can be found as a same form in contemporary science including the molecular biology, the quantum mechanics or in particular the nonlinear mechanics. Therefore, it is a valuable proof that Hegel's natural philosophy is not dead, rather it has an activity. If the 'approval of contingency' is considered as the core idea of Hegel's natural philosophy, it can be said that the criticism that Hegel completed rationality of enlightenment shows only an aspect. Because We can see Hegel's 'approval of contingency' occurred from a consideration of 'irrationality' and 'non-identity' oppressed in the nature.

      • KCI등재

        소크라테스 대화법의 이론과 실제

        박병기(Park, Byoung-kie)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3 No.-

        이 글은 넬손의 소크라테스 대화법이 학교와 시민사회의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철학 혹은 윤리 도덕교육 방법론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그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 그리고 구체적 시행절차와 규칙을 소개하고 그 효율성을 밝히려는 것이다.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개인 간의 대화인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적 대화와는 달리 대화촉진자가 제기한 소크라테스적 물음을 주제로 대화참여자들이 그 주제와 관련된 개인적 경험을 사례로 내걸고 서로 토론하여 합의를 이끌어내는 집단 담화이다.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주어진 문제를 오직 대화참여자 개개인이 어떤 권위나 선입견에 의하지 않고 자신의 이성의 힘만으로 해결하도록 장치되어있다는 점에서 자율적이며, 참여자들의 개별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토론하여 합의를 도출함으로써 행위결정의 일반적 원리나 추상적 개념에 대한 지식을 습득케 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적 역행적이다. 따라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통해 얻어진 추상적 개념이나 일반적 도덕원리는 우리의 구체적 일상적 삶과 과리되지 않으며 실질적 생활의 원칙이 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철학이나 도덕 윤리 교육이 공허한 추상적 이론의 전달이 되지 않고 실제로 구체적 삶에서 실현해야 할 원칙을 스스로 깨닫게 해주는 살아있는 교육이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oretical background, methodology, and procedure and rule of Socratic dialogue and to reveal its utility in order that Socratic dialogue of Nelson can be practiced as effective philosophical or ethic/moral education methodology in education sites of school and citizen community. Socratic dialogue is a group conversation which dialogue-participants lead agreement with individual experiences related to the theme of Socratic Question by discussing each other for the theme suggested by dialogue-facilitator unlike Socratic dialogue of Plato which was a dialogue between individuals. Socratic dialogue is autonomic in an aspect that it is set to be resolved the given matters not by certain authority or prejudice but only by rational strength of individual of dialogue participants, and is constructive/regressive in an aspect that it makes participants to obtain knowledge to general principle or abstract concept of behavior decision by discussing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of them and by concluding an agreement. Therefore, abstract concept or general principle obtained through Socratic dialogue will not be separated with our concrete daily life, and will become a principle of life. In this point, Socratic dialogue will become an education not to deliver abstract theory in philosophy or moral/ethic education but to realize vivid principle in re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