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아동영역 및 부모영역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박민지,하은혜 한국놀이치료학회 202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problems of infants with mental disorder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 The participants comprised 129 mothers who have infants at the age of 21 months to 59 months with mental disorders. The infants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respectively based on Chid Behavior Checklist(CBCL 1.5-5),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Parenting Stress Index(PSI).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influence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higher PSI score was shown in both Child and Parent domain, the higher Depression score was shown among mothers. Third, both scores of Parent and Child domains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verified that two domai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mediated when the behavioral problems of mentally disabled infants influence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 및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소아정신과 병원 2곳, 재활의학센터 1곳, 그리고 발달장애 클리닉 1곳에서 정신장애 진단을 받은 21개월에서 59개월 영유아 12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 어머니 우울평가척도 (BDI), 그리고 양육스트레스 척도(K-PS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증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과 부모영역은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의 아동 및 부모영역 수준이 증가할수록 어머니의 우울 수준도 증가했다. 셋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칠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일부 원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즉, 두 문제행동은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을 통해서 부모영역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이중매개를 통해 어머니의 우울증상을 유발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으로 이어질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일부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특히 양육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할 때 양육스트레스의 두 영역 사이에서 경로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Major royal jelly protein 2 acts as an antimicrobial agent and antioxidant in royal jelly

        박민지,김보연,박희근,Yijie Deng,윤형주,최용수,이광식,진병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22 No.3

        Royal jelly (RJ) is a well-known functional and medicinal food for human health promotion. Major royal jelly proteins (MRJPs), which are the major protein components in RJ, exhibit antimicrobial activities. However, the identities of the MRJPs of RJ responsible for its antioxidant effects have remained unclear. Here, we report that honeybee (Apis cerana) MRJP 2 (AcMRJP2) acts as a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gent in RJ. Using recombinant AcMRJP2, which was produced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we establish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roles of MRJP 2. AcMRJP2 bound to the surfaces of bacteria, fungi, and yeast, which then induced structural damage in the microbial cell walls and led to a bro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cMRJP2 protected mammalian and insect cells via the direct shielding of the cell against oxidative stress, which led to reduced levels of caspase-3 activity and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apoptosis, followed by increased cell viability. Moreover, AcMRJP2 exhibited DNA protection activity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ur data indicate that AcMRJP2 could play a crucial role as an antimicrobial agent and antioxidant in RJ, suggesting that MRJP 2 is a component responsible for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J.

      • ‘숙명역사관’뮤지엄 아이덴티티 개선을 위한 마케팅, 디자인 전략 수립 -특별 기획전, 홍보, 기프트 샵을 중심으로-

        박민지,박한빛,서예원,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디자인과 마케팅이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질 수 없음을 인식하고,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스페이스 디자인 마케팅을 통한 뮤지엄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3월~6월 총 15주간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 서 진행된 결과물로서 작업물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장소(場)를 중심으로 ‘숙명역사관’의 그래픽, 제품, 공간을 개발하는 브랜드 매뉴얼과 연관하여 한정한다. 이에 본 연구는 ‘숙명역사관’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컨텐츠와 가치를 통해 현재 상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명역사관’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디자인 전략과 해결 방안을 통해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을 꾀하였다. 아울러 SWOT 분석을 통해 로고, 명함부터 새로 기획하는 숙명역사관 기프트샵, 인테리어디자인, 디스플레이, 공간연출과 그 안의 제품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통일성을 추구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뮤지엄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 매뉴얼을 총체적으로 정리함에 있어서 뮤지엄 브랜딩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또래 유능성, 자아존중감, 교사-유아관계와 유아 행복간의 구조 관계 분석

        박민지,김민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ow such variables as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enhance self-esteem and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se variables and children’s happiness. This study collected data of 250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n the data were analyzed by EQS 6.2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ffect self-esteem of children. Second, self-esteem of 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happiness of children. The finding thereof indicates that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can influence self-esteem of children and consequently euphoria of children. In conclusion, this study comformed that peer compet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elf-esteem of children were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 happiness of children directly or indirectly.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enhancing self-esteem by improving peer competence and making posi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s are essential.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행복, 또래 유능성, 유아가 인식하는 교사-유아간의 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또래 유능성과 교사-유아 관계 변인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시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50명과 그들의 교사 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EQS 6.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 유능성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 교사-유아 관계, 그리고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행복한 유아로 기르기 위해서 유아교육기관에서 또래 유능성 증진과 긍정적 교사-유아관계 형성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가증권시장 전환사채 발행법인의 재무 및 비재무적 특성

        박민지,류두진 한국금융학회 2023 금융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유가증권시장에서 전환사채를 발행한 법인의 재무 및 비재무적 특성을 살펴보고, 발행목적별로 발행의 동기와 비율 그리고 횟수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10여 년간 전환사채를 발행한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사채 발행법인은 비발행법인보다 성장성은 높으나 재무구조가 취약하고 최대주주지분율이 낮다. 발행목적별로 보았을 때, 타법인 증권 취득을 목적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법인은 상대적으로 성장성이 높고, 시설투자 목적으로 발행하는 경우 안정성이 높았다. 둘째, 최대주주 변경시기에 전환사채를 발행할 확률이 증가한다. 특히 최대주주 변경시기에 타법인 증권 취득을 목적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할 확률이 높다. 높은 성장성, 취약한 재무구조, 낮은 최대주주지분율도 전환사채 발행을 높이는 요인이다. 셋째, 최대주주 변경시기에 전환사채 발행비율과 발행횟수가 증가한다. 다만, 발행동기가 시설투자인 경우, 다른 발행목적과 달리 전환사채 발행비율 및 발행횟수와 뚜렷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는다. 넷째, 최대주주 변경시기에 전환권 행사 비율이 증가한다. 재무구조가 악화되고 시장가치가 저평가될수록 기업가치 희석효과가 증가한다. 본 논문은 최대주주 변경시기가 전환사채 발행의 규모, 횟수, 전환권 행사와 관련이 있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도출하였고, 공시제도 개선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의 현황과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박민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09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1 No.-

        농업은 개발도상국 빈곤층들의 생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빈곤 및 기아퇴치를 하는데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있다. 최근 개발도상국에서는 새마을 운동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경험을 전수받고자 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는 다양한 프로젝트 등을 통해 개도국의 소득증대 및 생산성 향상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외형적인 사업규모와 단기적인 프로젝트 위주로 사업을 수행하게 되면서 관련기관 간의 역할분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사업 목표 및 방향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고 있어 양적·질적으로 사업의 원조 효과성을 제고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선진국 국제농업개 발협력과 한국의 국제농업개발협력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선진국 사례연구와 현국의 현황분석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제농업개발협력사업의 효과성을 제고 시키기 위해 현재 가장 비교우위가 높고 우선적으로 실천해야 할 발전과제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발전과제 선정을 위해 발전과제 선정지 표를 설정하고 평가소항목으로 농업농촌분야의 한국형 국제개발협력의 모델구축,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목표,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추진체계,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사업평가 시스템 구축으로 구성하였다. 선정지표를 바탕으로 4가지 항목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도출을 하고자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각항목별로 3가지 세부항목이 선정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발전과제로 가장 우선 시행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세부항목간의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한국형 모델구축 부분에서는 원조전략과 한국형 모델에 대한 국내합의 도출도 중요하지만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기본 이념 및 기본 방향을 정립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사업 목표 부분은 순수한 ODA정신과 신 시장 개척도 중요하지만 국가안보와 이익을 위해 세계적인 식량위기를 대비할 수있도록 식량안보차원의 해외식량기지 확보연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추진체계 부분에서는 수원국의 수요에 맞춰 한국의 경험을 제대로 전수할 수 있는 농업농촌분야 개발전문가 육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업평가시스템 구축 부분에서는 평가 기준과 평가항목별 성과지표 개발과 평가인프라구축 및 평가기법의 선진화도 중요하지만 사업평가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Framework 및 정책체계 확립이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 제농업개발협력이 새천년개발목표등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 다른 선진국과는 차별화된 원조로 국가 이미지 및 원조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 국제농업 개발협력의 기본 이념 및 목표가 설정되어야하며, 둘째 지나치게 분산된 원조체계의 통합과 전략적 파트너십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로 개도국의 농업발전과 빈곤퇴치에 기여할 수있는 농업농촌분야의 개발전문가와 인재 육성이 필요하며 넷째 전문적이고 결과중심의 평가 및 모니터링 기본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비교우위 분야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한국형 국제농업개발협력의 모델을 구축하고 중장기적 계획을 수립하여 지속가능 한 개도국의 농업·농촌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 허베이 스프리트호의 유류유출에 따른 낚시어선 이용객의 경제적 손실에 대한 비교분석연구 - 지역여행비용법과 개인여행비용법의 적용 -

        박민지,표희동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5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경제학 공동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conomic Damages to anglers of recreational charter by the Hebei Spirit Vessel Oil Spill in 2007 which spilled 12,547㎘ of crude oil and caused social turmoil. In order to evaluate the indirect economic loss for anglers of the charter fishing, this study set up the scenarios of the oil pollution damage term and used the Travel Cost Method associating the value of tourism resources and consumption behavior in the market. To estimate the economic losses of anglers of recreational charter,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Zonal Travel Cost Method and 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Based on Zonal Travel Cost Method result using regression equation through distance and visitation rate, Anglers of recreational charter’s consumer surplus per day per person has been derived 534,929 won. In case of 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a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is statistically most significant of the four Count Data Model, and Anglers of Recreational Charter’s consumer surplus per day per person has been derived 277,778 won. The consumer surplus was converted into total indirect economic damages for aggregation reflecting the number of anglers and damage rate based on two scenarios. The economic losses are evaluated to be 129.5 billion won to 168.9 billion won by ZTCM, and 67.2 billion won to 87.7 billion won by ITCM, which means the economic losses estimated by ZTCM are double the amounts by ITCM. The results show ZTCM has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a sensitive bias due to high visitation rate of surrounding region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발달 변인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진로서비스 요구의 차이

        박민지,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is study examined cluster types based o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would be predicting different needs of career services among college students. A total of 30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Clusters were derived using cluster analysis: Certain-Decision-behavior Type (Cluster 1), Uncertain-Indecision-Behavior-oriented Type (Cluster 2), Undeveloped Type (Cluster 3).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were found in needs of career services. These results imply that differential diagnosi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accordingly in career servic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점수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군집유형을 확인하고, 각 집단별로 진로서비스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군집유형을 확인하였다. 각 군집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따른 특징을 고려하여 군집 1은 ‘확신-결정-행동형’, 군집 2는 ‘미확신-미결정-행동지향형’, 군집 3은 ‘미개발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집단별로 진로서비스 요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대상의 진로서비스 제공 시 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