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락선을 이용한 다양한 곡선들의 분석

        박민주,이세민,조원형,조윤성,전이배 한국수학교육학회 2014 뉴스레터 Vol.30 No.5

        포락선(규칙성을 가진 곡선 무리의 모두에 접하는 곡선)의 기본적인 정의를 사다리 문제를 통해 쉽게 제시하였 고, 포락선을 구하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설명한 후 이를 사다리 문제에 적용시켜 사다리 자취의 포락선 식을 직 접 구하였다 또한 포락션을 직선, 원, 포물선, 쌍곡선 타원 등 다양한 곡선들의 모양으로 나타나는 포락선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고, 특히 포물선의 형태로 나타나는 포락선의 경우 간단한 물리식을 활용승애 구할 수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고교과정 수준에서 포락선이 적용된 몇 가지 문제와 그 풀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북한 주민의 일상의료 경험: 2000년대 이후 의료지형의 환경조건과 영역별 주민 실천을 중심으로

        박민주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통일인문학 Vol.93 No.-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북한 주민의 의료경험을 일상사적 관점에서 재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제도중심적 시각이 간과한 일상의료의 지형을 세밀하게 읽고자 하였다. 일상의료의 주요 환경조건과 자가의료/시장의료/제도권의료의 영역별 주민 실천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북한 일상의료는 근현대 의료제도·의학의 관점에서 충분하게도, 명확하게도 설명되지 않는다. 자가의료의 큰 비중과 오랜 관성, 시장의료와 제도권의료의 혼란스러운 공명, 전문성과 접근성의 질낮은 균형에 기반한 시장의료, 질병과 상해의 계층화, 감각에 기반한 선호와 결정, 제도권의료에 대한 불신과 거리두기, 당국의 이중적 통제와 방임이 일상의료에 뒤섞여 있다. 역설적으로, 그런 일상의료의 지형 자체가 질병의 ‘발명’을 지연시키고 심리적 면역을 강화하는 측면도 존재한다. 2000년대 이후 20여년의 시간 동안, 시장의료가 나름의 틀을 잡고 확장되는 등 다소 변화가 발견되지만, 가장 혼돈스러웠던 상태를 빠져나왔을 따름이다. 주민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 방향으로 일상의료의 내구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하기 어렵고 출구전략도 보이지 않는다. 의료란 선험적·독립적 영역이 아니라 사회와 주민 일상의 전 영역과 깊이 연계된 것이기에, 향후 북한 일상의료의 지각변동은 사회변화의 최종심급일 확률이 높다.

      • KCI등재

        북한 ‘인프라스트럭쳐’ 연구의 확장 가능성과 예시: 포스트 사회주의 인프라 연구 동향과 북한 연구에의 시사점

        박민주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22 북한학연구 Vol.18 No.1

        인프라는 사회·기술의 복합적 연결망이자 자원배분체계로서 기능하며, 그 규모와 기술-물질성 탓에 지속적 유지보수와 관리를 요구한다. 이러한 인프라의 속성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포스트 사회주의 국가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도구로서 유효성을 발휘한다. 포스트 사회주의 도시 인프라에 관한 연구들은 교통과 모빌리티, 주거 및 상수도, 도시재생, 녹지 등의 인프라 재구조화 과정을 분석하여 신자유주의적 변화에 대한 요구와 사회주의 시절의 통치적, 상징적, 사회·기술적 잔존 영향이 뒤섞여 젠트리피케이션, 빈부격차 심화, 서비스 접근성 하락, 낮은 지속가능성의 문제들과 관성-역동, 공식-비공식의 혼종이 나타남을 보여준다. 일련의 함의에 기반하여 향후 북한 인프라 연구는 자원/물질 배분과 통치의 역할, 유지보수와 기술사회적 문제들, 물질-사회적 관계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가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 연구방법은 인프라를 주요 소재로 일상생활사를 서술하는 작업이 가장 시의적절하며 다만 북한의 정치체제, 도시 로컬리티와 물질-기술적 특성, 주로 EU국가에 속하는 포스트 사회주의 도시들과는 다른 국제적 지원 환경 등 북한 특유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착시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공간 레이아웃과 연출 : 독립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박민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독립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서 레이아웃 디자인과 공간 연출에 대한 착시의 활용과 효과, 역할을 연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레이아웃에 있어서의 착시는 단순한 공간 표현의 역할을 넘어서서 장면전환, 플롯 구조의 변화 등을 통해 독특한 영상언어를 만들어내며 꾸준히 활용되어져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간 연출에서의 착시를 작가주의적 시각에서의 다의성의 표현으로 보고 이를 Goldstein이 정립한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깊이 지각의 단서접근, 그 중에서도 회화 단서의 요소들로 분석하였다. 또한 레이아웃에 있어서 착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세 감독의 작품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그들의 레이아웃 연출이 의도하였던 다의성과 메시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독립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착시를 활용한 레이아웃은 이야기의 전개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영상언어로서의 역할을 분명하게 수행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그 활용은 분명한 유형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 effect, and function of visual illusion to layout and space in the production of independent animation. The layout of experimental and artistic animation means more than just a practical method for producing spaces. It produces a unique film grammar through transitions of scenes and changes of plots. This paper takes the visual illusion in spatial layout as an expression of artist's multiple messages, and analyzes it in terms of psychological point of views, especially by the 'cue approach to depth perception' by Goldstein. This research also selected three independent animation directors whose works show the enthusiastic use of visual illusion. In their animation pieces I could find the multiple meanings and messages that the directors intended to express. This paper finally concludes that the layout using visual illu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tory and works as a strong film grammar. Also the uses of visual illusion for animation layout appear with various classification in the pieces.

      • KCI등재

        북한 주민과 초상화: 정동 변화와 연결망의 혼종화

        박민주 북한연구학회 2023 北韓硏究學會報 Vol.27 No.1

        The portrait-people network created a strong affect of “loyalty” once intended by authority. However, as the influence of various devices (home education, qualitative projects, censorship, etc.) that supported it weakened, the portrait-people relationship consisted of identifying an individual’s status and relieving desire. Since the collapse of the rationing system, portraits have flexibly constructed various socio-material characteristics that interact with people and cross the intentions of governance. The network and affect change imply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desire of North Koreans to express themselves, which flowed in the abyss, is amplified with environmental changes. Second, the “loyalty” that governance aimed for has largely volatilized, but gender and hierarchical distinctions through portraits remain and appear in various practices. Third, as governance is reduced, “respectful service” becomes gendered, serving as domestic labor for women and as a mechanism for establishing the male identity for some men with a desire for power. Fourth, individual desires are expressed in the line of balancing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and the sense is based on an emotional or six-sensory order that is not explained in language. 김정은 집권 이후 초상화-주민 연결망에는 약화된 ‘충성심’ 정동과 점증한 자기애적 정동이 공존하며 정동은 지위, 젠더 등과 함께 상호구성된다. 실재로서 초상화는 주민과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사회-물질성을 발휘하여 통치가 예상치 못한 위험과 가능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초상화-주민 연결망과 정동 변화는 다음을 함의한다. 첫째, 북한 주민의 자기애적 열망은 새롭게 등장한 것이 아니라 ‘충성심’으로 불렸던 정동의 심연에 이미 존재하던 것으로서, 다양한 사회변화속에서 그 존재감을 확장한다. 둘째, 주민-초상화 정동에서 ‘충성심’은 상당 부분 휘발되었지만, 통치가 활용해 온 젠더와 권력 위계는 통치력 회복에 기여하기도 한다. 셋째, 통치적 강제는 다소 느슨해졌으나 남성중심의 지위 욕망과 결합하며, ‘모심’의 여성-노동화를 촉발하였다. 넷째, 개인은 가족, 조직, 인민반 등의 집단과 균형을 맞추는 선에서 욕망을 표출하며, 그 감각은 언어로 설명되지 않는 정동 혹은 육감적 질서에 기반한다.

      • KCI등재

        북한 주민의 열에너지 기술·생활사: 2000년 이후 북한 주민의 비공식적 난방·취사 실천을 중심으로

        박민주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89 No.-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북한 주민의 난방·취사경험에 관한 기록이다. 고난의 행군 이후 평양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북한 전역에서 난방과 취사는 사실상 온전히 개인의 책임 영역으로 밀려난 것으로 파악된다. 개인의 기술·사회적 실천과 행위성은 연료 벌채, 채탄, 매매, 시설개조를 단속하는 북한당국에 대한 것이면서, 추위·겨울이라는 자연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개인의 지식과 기술은 체계화·명문화되지 않았을 뿐, 오랜 경험을 누적하고 있으며 쉽게 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민의 기술·사회적 실천 덕분에 상황이 점차 다소 나아진 측면도 존재하지만, 여전히 대다수 주민의 일상세계에는 양적·질적으로 열악한 민생 인프라, 에너지원과 그 물질성을 둘러싼 기술-사회적 동학, 일차적 생존이 우선인 현실이 압축되어 있다. 공식성을 찾아보기 어려운 공급체제, 그에 대한 국가적 방임, 현실을 외면하면서도 여전히 전권을 발휘하려는 통치 사이에서 현실-이상, 비공식-공식, 비법-합법이 혼종적으로 나타난다. 이 가운데 주민의 일상은 비공식적, 사회·기술적 실천으로 점철되어 있다. This study is the record of the heating and cook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s since 2000. After the economic crisis, heating and cooking became entirely personal responsibility throughout North Korea, except in some parts of Pyongyang. Individual agency was expressed in two aspects: Informal practice in response to authorities, knowledge and skills about nature(cold and winter). However, in the daily world of most people, the reality that livelihood infrastructure situations at a poor level in quantity and quality, socio-technical dynamics surrounding energy sources and their materials, and primary survival are compressed. The supply system is difficult to find formulation, and authorities are neglecting their duty. While reality-ideal, informal-formal, and illegal-legal appear in such a hybrid manner, the daily lives of north korean are dotted with informal and socio-technical practices.

      • KCI등재후보

        러시아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 유리 놀스테인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이야기 속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4

        Yuri Norstein, Russian independent animator, created his own way to express his unique idea and sense of art with cut out animation which was animated with paper puppets and shot frame by frame. He contributed to enhance not only the techniques of cut out animation but also the value of independent animation field using the most direct figures and the simplest medium, and expressing the most complicate emotions. Norstein showed his careful insight about human beings based on Russian traditions that he was grown up and educated with. He has been evaluated as today's one of the most representable animators and independent animation direct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lluminate the direction independent animation field should proceed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elements that satirize in Norstein's animation piece caused by Russian political background of 1960 and 1970s. This paper shows the roles of independent animation and animator against totalitarianism in that period and their influences that effect to animations nowadays. By analyzing his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using non linear storytelling,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way to students who try to be an independent animator to overcome the limits of techniques and to develope new animation techniques that fit to their own ideas. 러시아 독립 애니메이션의 거장 유리 놀스테인은 배경위에 종이로 만들어진 인형들을 놓고 애니메이팅하며 한 프레임씩 촬영해가는 컷아웃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아이디어와 예술성을 표현한 작가이다. 가장 직접적인 형태로 가장 복잡한 감정을 가장 단순한 재료를 사용하여 표현했다는 점에서 놀스테인은 컷아웃 애니메이션 기법뿐만이 아니라 독립애니메이션의 예술성과 작가 정신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작품에서 그가 태어나고 교육받은 조국 러시아의 전통을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었으며 자신의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낸 현대의 대표적인 애니메이터이자 감독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60년대와 70년대에 걸친 러시아의 시대와 정치적 배경으로 인해 유리 놀스테인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요소들이 풍자하고 있는 의미의 분석을 통하여 당시의 전체주의 이념에 저항했던 독립 애니메이션과 작가의 역할, 그리고 그것이 현대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주의에 끼친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지금의 독립 애니메이션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조명해 본다. 또한 그의 컷아웃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과 넌리니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메시지 전달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실험 애니메이션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자신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기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모성수행기 여성의 우울에 대한 연구: 자기분화를 중심으로

        박민주,김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1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otherhood based on self-differentiation and to seek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motional well-being and social adjustmen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from 277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were analyze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therhood depression, and that effect was sustained even after controlling for parenting efficacy, family support,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arenting stress. This implies that motherhood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a continuous process toward self-differentiation and life development, rather than a completed adulthood. Results also indicated that family practitioners should focus on interventions in parenting stress and family support for young mothers, while working on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efficacy. Furthermore, it is inferred that networking and connections with their community can help reduce depression in motherhood. 본 연구는 자기분화를 중심으로 모성수행기 여성 우울의 촉발 요인들을 탐색하고, 모성수행기 여성의 정서적 안녕감 및 사회적 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영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 277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분화는 모성수행기 여성의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육효능감, 가족내적 지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양육스트레스 등의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모성수행기를 완결된 성인기가 아닌 생애 발달의 과정에서 지속적인 자기 분화와 성장이 필요한 시기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모성수행기 여성의 우울 예방을 위해서는 자기분화와 양육효능감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하는 한편,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개입과 충분한 가족내적 지지가 제공되어야 하며, 나아가 사회로부터의 고립이 아닌 지역사회와의 연결, 즉 지역사회 공동체의 참여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화의 비물리적 카메라 무브먼트에 의한 공간 연출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thods of filmmaking particularly with the spaces in films that non-physical camera creates and to catego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spaces and camera movements. The term, non-physical camera means the virtual camera which only exists in computer software. This study also reconsiders the position of non-physical camera movements in modern films while analysing the new paradigm that the methods brought to film production such as narratives, some particular shots and the ways of editing. Therefore, the research preferentially discusses the notion of hyperrealism of computer generated images that express practically the similarity of our ordinary world. The virtual camera movements in this paper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imation ride, floating camera, and immaterial point of view. For animation ride, the study focuses on science fiction or fantasy movies in order to discuss about realistic computer graphics. For floating(or wandering) camera and immaterial point of view, <Fight Club(1999)> and <Panic Room(2002)> directed by David Fincher are presented as a case study because of their omniscient point of camera view using computer generated images with practical background and suspense story content. The paper has reached to its conclusion that first, non-physical camera movements have presented the new aesthetics of film production by actively adopting computer graphics. Those camera movements are clearly mediated from the ones in traditional films. Second, this method not only offered the virtual camera notion as innovative convenience to filmmakers, but also opened the whole new possibility to create spaces in film productions. Lastly, in the aspect of storytelling, non-physical camera movements tend to reveal the multiple meanings of realism in visual embodiment and implications in narrative struc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영화의 비물질적 카메라가 만들어내는 움직임과 공간의 관계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이러한 카메라 무브먼트가 만들어내는 영화 공간연출의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이 공간표현의 방법이 내러티브, 특정 카메라 쇼트, 편집 등 전체 영화연출에 가져온 새로운 패러다임을 분석하여 카메라 무브먼트의 현대 영화에서의 위치를 재고하였다. 이론적 논의에서는우리의 일상세계에 대한 사실주의성 또는 유사성을 가장 근접하게 표현한 시뮬레이션 이미지의 극사실주의 개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러한 시뮬레이션 공간을 마음껏 유영하면서 이동하는 카메라 무브먼트를 ‘애니메이션 라이드’, ‘부유하는 카메라’, 그리고 ‘비실체적 시점’의 세 가지유형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라이드는 영화에서의 사실주의적 컴퓨터 그래픽에 관한 논의에서 주로 언급되는 SF, 판타지 영화를 대상으로 하였고, 부유하는 카메라와 비실체적 시점은 데이비드 핀처(Fincher) 감독의 <파이트 클럽(1999)>, <패닉룸(2002)>과 같이 현실적 배경에서의 서스펜스 장르에 CG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지적 시점의 카메라 움직임을 연출한 작품을 분석의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비물리적 카메라 무브먼트는 전통적 카메라 움직임에 디지털을 매개로하여 새로운 미학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심미적 관점에서의 영화 창작에 대한 새로운 사실주의를 토대로 영화의 진정성과 예술성을 그대로 이어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둘째, 가상의 카메라 개념은 영화창작의 편의를 제공할 뿐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공간 연출의 가능성을 열었으며 제작자가 자신만의 창작 방법을 개발하여 이를 실현시켜주는데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셋째, 비물리적 카메라 무브먼트는 영화제작에 있어서 스토리텔링의면에서 볼 때 시각적 구현과 의미표현 측면에서 리얼리즘의 다중적 함의를 잘 나타날 수 있게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