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독가시치류의 일종 Siganus canaliculatus(PARK)의 산란기 생식소와 난발생

        박무억,이영돈,노섬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1992 해양자원연구소연구보고 Vol.16 No.-

        Mature adults of Rabbit fish, Siganus canaliculatus. which is generally known to be distributed up to the southern costal waters of Korean peninsula, were captured in Ham-duck, northeast of Cheju on August 2. 1992. Gonad of the Rabbit fish was investigated histologically on the view point of gonadal development. Pale yellow ovaries are consisted of the mature oocyte groups and early growing oocyte groups, while Yellowish red ovaries consisted of the ripe oocyte groups and early oocyte group. Milky white testis is mostly filled with spermatozoa in the lobular cavity. The eggs and sperm were stripped and fertilized by the wet method on the laboratory. The fertilized egg diameter varied from 0. 57mm to 0.61mm. The water temperature throughout incubation ranged from 26℃ to 27℃. The hatching took place in 32 hour after fertilization. The newly hatched larvae are averagely 1.94mm in TL, possessing yolk sac.

      • 독가시치류의 일종, Siganus canaliculatus(PAPK)의 産卵期 生殖巢와 卵發生

        朴武億,盧暹,李榮敦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2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6 No.-

        1991년 8월 2일에 제주도 함덕 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체포한 S.conaliculatus 50미를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사육조로 옮겨 사육하였다. 채집된 재료중 생식소 조직관찰을 위해 40미를 사용하여고, 인공수정에 의한 난발생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성숙한 친어 암컷 2미와 수컷 1미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 숙도지수(GSI)는 암컷 18.43(±3.93), 수컷 16.33(±6.09)을 나타낸고 있고, 담황색을 띤 난소내에는 난경 284∼292㎛인 성숙난모세포군과 난경 70㎛ 내외의 어린난모세포군이 존재하고, 담홍색을 띤 난소내에는 388∼426㎛인 완숙난모세포군과 어린난모세포군이 출현하고 있다. 유백색의 정소 내에는 변태된 정자들이 소엽내강과 수정소관에 집괴를 형성하고 있다. 2. S.conaliculatus의 성숙한 암컷포란수는 체장 20.0∼20.9㎝에서 638.000∼835.000개이고, 체장 21.0∼24.0㎝에서는 1,359,000∼1,986,000개였다. 3. 수정난은 침성부착난으로서 난경 0.57∼0.61㎜(평균 0.57㎜ n=34)이고, 80∼100㎛되는 대형유구 3∼5개와 30∼50㎛되는 소형유구 6∼8개가 혼재하고 있다. 4. 실내사육수온 26∼27℃에서 수정후 32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자어는 1.89∼2.03㎜(1.94±0.095, n=20)이고, 근절수는 8+16=24이며 복부난황에 대형유구 1개와 소형유구 1개가 존재한다. 부화후 2일째 전장 2.45∼2.59㎜(2.53±0.092, n=20)이고, 눈에는 흑색색포가 착색되고, 입이 개구된다. 그리고 위와 장이 분화되면서 난황은 거의 흡수된다. Mature adults of Rabbit fish, Siganus canaliculatus, which is generally known to be distributed up to the southern costal waters of Korean peninsula, were captured in Hamduck, northeast of Cheju on August 2, 1992. Gonad of the Rabbit fish was investigated histologically on the view point of gonadal development. Pale yellow ovaries are consisted of the mature oochte groups and early growing oocyte groups, while Yellowish red ovaries consisted of the ripe oocyte groups and early oocyte group. Milky white testis is mostly filled with spermatozoa in the lobular cavity. The eggs and sperm were stripped and fertilized by the wet method on the laboratory. The fertilized egg diameter varied from 0.57㎜ to 0.61㎜. The water temperature throughout incubation ranged from 26℃ to 27℃. The hatching took place in 323 hour after fertilization. The newly hatched larvae are averagely 1.94㎜ in TL, possessing yolk sac.

      • 폐쇄순환여과시스템에서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사육밀도와 성장

        박무억,송춘복,노섬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5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9 No.-

        전복 치패의 중간육성은 자연에 방류한 증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외해에 면하고 있어서 해양 여건상 해상가두리와 수하식 전복채롱과 같은 중간육성시설의 설치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육상수조에서 유수사육을 할 경우 필요한 과다 경비의 절감과 함께 안정적인 전복치패의 중간육성을 위해서 사육이 용이하도록 고안한 폐쇄순환 여과시스템에서 전복치패의 성장에 미치는 밀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평방미터당 1000, 2,000 3,000개체를 수용하여 182일동안 사육하였다. 그 결과, 성장은 평방미터당 1000개체와 2000개체를 수용하였을 경우가 3000개체를 수용했을때 보다 좋았다(P<0.05). 증육계수는 세가지의 밀도군에서 각각 8.7,9.6,13.1로서 낮은 밀도일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생존률은 각각 75.3, 70.8, 68.3으로 높은 밀도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Secondary seed culture has known to be very important for the purpose of stock conservation and production improvement by increasing the survival of released seed abalones at the natural inhabit. However,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proper places for the facilities of secondary seed culture in Cheju Island where only few sheltered coastal areas can protect floating net cages or nets for hanging culture from strong waves, culture facilities on land can allow us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fore, the indoor tanks with a closed recirculaing water system have been used for the secondary abalone seed culture in this experiment. We reared the abalones of Haliotis discus hannai at the three different culture densities including 1,000,2,000, and 3,000 individuals per square meter for 182 days in order to know density effect on the growth of juvenile abalones. As a result, their growth turned out to be better in the first two density groups of abalones than in the third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grow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 95% confidence level. The value of conversion factor was smallest in the lowest density group, and showed 8.7 in the first, 9.6 in the second, and 13.1 in the third density group, whereas survival rates estimated from the three different density groups were 75.3, 70.8, and 68.3, respectively.

      • KCI등재

        동애등에 발효물의 문치가자미 치어 성장 및 장내 유익균 증진 효과

        조현솔,박무억,홍선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is study examines the growth and distribution of intestinal microbes of juvenile fish raised on a diet supplemented with fermented BSF (H. illucens ; Hi_LpLl). Hi_LpLl was obtained through a bioprocess using BSF (5%) and L. plantarum and L. lactis , and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s. The efficacy as a feed additive (replacement 4.5% of total feed) was evaluated using the marbled flounder (P. yokohamae ; Pv). A total of 600 juvenile Pv (5-6 g) were randomly placed in six tanks (100 fish each) for 10 weeks, and classified as control (Cont) and experimental (Exp) groups. After 10 weeks, the average lengths obtained for Cont and Exp fish were 11.68 and 12.20 cm,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weights were 28.06 and 31.01 g, respectively. The IBR and SGR of the Cont and Exp groups showed a difference of 4.9% and 0.3%/day, respectively, but were not significant (p <0.05). Furthermore, 99.88% LAB (19 strains announced by MFDS) were determined in the intestine of the Exp group, including L. lactis (96.88%) and L. plantarum (2.72%), whereas the distribution in the Cont group was 56.2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4.5% Hi_LpLl is less effective in promoting juvenile Pv growth but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본 연구는 동애등에 유산균 발효물이 어류 치어 성장과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동애등에 분말(H. illucens ; 5%)과 어류 병원체(비브리오균, 연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을 가지는 2종의 유산균(LAB; L. plantarum , L. lactis )으로 바이오공정 한 동애등에 발효물(Hi_LpLl)을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 ) 치어 사료첨가물(4.5%)로 제조하고 그 효능을 분석하였다. 사료 실증실험을 위해 총 600마리의 문치가자미 치어(약5∼6 g)를 공시하여 100마리씩 수조 6개에 임의 배치한 후 각 3수조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10주 간 평균 체장과 체중, 증체율, 일간성장률 및 장내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10주 후에 대조군의 평균 체장은 11.68 cm, 실험군은 12.20 cm이며, 대조군의 평균 체중은 28.06 g, 실험군은 31.01 g으로 Hi_LpLl 첨가에 있어 성장 효과가있었다. 증체율은 대조군 214.4%, 실험군 219.3%로 실험군이 4.9%p 더 높았으며, 일간성장률도 대조군 3.1%/일, 실험군 3.4%/일로 실험군이 0.3%p 더 높았으나 유의성(p <0.05)은 인정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고시된 19종 유익균 대상으로 10주차의 문치가자미 장내 미생물 분포 조사 결과, 대조군에서는 유익균 19종이56.52%, 실험군에서는 발효에 사용된 L. lactis 가 96.88% L. plantarum 이 2.72%, 그 외 유산균 9종으로 전체99.88% 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10주간의 문치가자미 치어사료로서 동애등에 발효물(Hi_LpLl)의 4.5% 첨가 실험에 있어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높은 증체율과 성장률은 유의성(p <0.05)은 적으나 장내 유익균 증가에 유효한 것이확인되었으며 이는 어류 외의 가축, 반려동물 등의 사료첨가물로서의 동애등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동애등에 유산균 발효물의 산천어 체지방 개선 효과

        조현솔,박무억,홍선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

        본 연구는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 ) 유산균 발효물이 산천어 성장, 장내 미생물 및 체지방에 미치는영향을 통해 사료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항어병 기능의 4종의 유산균(LAB)으로 동애등에 분말(5%, w/v )을 발효한 후(HiLAB), 산천어 사료첨가물로의 효능을 분석하였다. 사료 실증실험을 위해 총 300 마리의 산천어 미성어(약14∼15 g)를 공시하여 50마리씩 수조 6개에 임의 배치한 후 각 3수조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4주간 급이 후, 일간성장률, 장내 미생물 및 체지방 변화를 분석하였다. 4주 후에 일간성장률(SGR)은 대조군 0.52 %/일, 실험군 0.56 %/일로 실험군이 0.04 %p 더 높았으나 유의성(p <0.05)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고시된 19종 고시균과 접종한 2종의 비고시 유산균을 대상으로 4주차의 산천어 장내 미생물 분포 조사 결과, 실험군은 L. lactis 가 61.8%, L. mesenteroides 4.6%, L. brevis 0.9% 및 L. plantarum 0.6%과 이 외 E. faecium 32.1% 비율로 유산균 5종이 확인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산천어 체지방 분석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의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 비율(UFA/SFA)은 0.98 ug/g과 1.35 ug/g으로, 이는 실험군의 불포화지방산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특히, 실험군은 불포화지방산 중 ω-3(ALA, EPA, DHA), ω-6(LA, ETA) 및 ω -9(OA, EA)이 대조군보다 모두 높았다. 이들 결과는 4.5% HiLAB이 첨가된 사료첨가물은 산천어를 포함하는 어류성장, 장내 유익균 증가 및 체지방의 개선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하며, 어류 외의 가축, 반려동물 등의 사료첨가물로서의 동애등에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Changes in Plasma Steroid Hormone Levels and Gonad Development by the Control of Photoperiods and Water Temperatures on Timing of Sexual Maturity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백혜자,김형배,노섬,이영돈,박무억 한국수산과학회 2004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7 No.1

        Plasma steroid hormone levels in the viviparo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gonadal histology under controlled photoperiods and water temperatures. To investigate those effects in S. schlegeli the photoperiod was maintained at 15L:9D in June and then it was gradually decreased to 9L:15D in October. It was then gradually increased to 12L:12D in January, followed by 14L:10D in February. The water temperature was 19-20℃ in July. From August to October, it was from 18℃ to 12℃. Then, it was dropped to a low of 9-11℃ in November to December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14-15℃ in February. In females, both plasma estradiol-17β (E2) and testosterone (T) levels from August to February showed a similar pattern in both the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s. In the treatment group, the peaks of plasma E2 and T were observed in November, and the peaks were closely correlated to histological observations. Oocytes contained many yolk globules (final vitellogenic oocytes), and oocytes at the migratory nucleus stage increased in size. Plasma levels of progesterone did not change much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 peaks of E2, T, and progesterone were observed in Febru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rolled photoperiod and water temperature accelerated sexual maturity, corresponding to the advancement of plasma E2 and T peaks by approximately 3 months. In males, plasma T levels showed a similar pattern from August to October i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ough level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rom 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treatment group copulated one month earl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