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적 상상력과 인성 함양을 위한 수학교육

        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문학의 연계를 통한 인문학적 상상력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등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년 동안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79명(비교반 40명, 실험반 39명)을 대상으로,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단원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수학 학업성취도, 인성, 인문학적 상상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학생의 면담 및 산출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인성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고, 인문학적 상상력의 하위 범주에서‘삶에 대한 성찰’,‘긍정적인 자의식’,‘인문학적 상상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삶의 목적’과‘인간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 면담의 응답 내용을 보면, 인간과 세계를 보는 학생들의 관점의 폭이 넓어지고 깊이가 깊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제언으로, 현장 교사들을 위한 풍부한 자료 개발 및 보급, 인문학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시간 확보, 그리고 교사들을 위한 실제적이고 장기적인 연수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humanistic imagination and characters through the link between mathematics and literature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humanistic imagination and characters with the program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rogram and application of this program for two years. After conducting classes on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for 79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39 in the experimental class and 40 in the comparative class) in Seoul and Gyeonggi-do under this program, the researcher analyzed how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ffects students' perception using pre- and post-examinations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humanistic imagination, and characters, including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analysis of outputs of the student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to foster humanities imagination and character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categories of “reflection on life”, “positive self-consciousness” and “humanistic imagination” categorie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life” and “human relations” categories. However, the responses from the students' interviews showed that their perspectives of humans and the world has become wider and deeper. It also did not produce significant results for characters. As suggestions, the ministry should present the need to develop and distribute concerning materials for teachers, secure time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convergence subjects, and operate practical and long-term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 KCI등재

        수학교육에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소고

        박만구 한국학교수학회 202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using the Metaverse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use of the Metaverse started for commercial purposes, and now its use is expanding to all areas, including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the domestic Metaverse platform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use of Metaverse for mathematics education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 and most of the content is limited to mathematical games. However, there are a lot of opportunities and possibilities for mathematics education with Metaverse, and we need to develop the Metaverse platforms specialized for mathematics education with high-quality mathematics content. The researcher suggested to build infrastructure and operate a national level educational Metaverse platform, develop math-specific Metaverse platforms and mathematical content based on field-tested research on the use of the Metaverse platforms. The researcher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to strengthen the utilization capacity of the Metaverse for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초등 수학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를 중심으로

        박만구,박혜민,최은미,표정희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初等 數學敎育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의 초등수학교과서의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하여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수학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은 학생들이 자주오개념을 가지는 것에 비하여 이를 표현하는 최근 초등수학교과서의 비교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한국의 초등 수학교과서와 TIMSS나 PISA와 같은 국제성취도 연구에서 높은 수학 성취도를 나타내는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에서 널리 사용하는 초등 수학교과서를 선정하였다. 분석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과 관련한 초등 수학과교육과정, 지도 시기와 내용, 실생활 소재, 시각적 모델의사용, 알고리즘의 형식화 방법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관련 수학과 교육과정은한국과 핀란드의 경우 어림을 포함하고, 일본과 싱가포르는 실생활 연계를 보다 강조하며 핀란드는 중등에서 연산이 완성되도록 하고 있다. 지도 시기와 내용은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지도하거나 여러 학년과 학기에 분산하기도 한다. 실생활의 소재는 모든 나라에서 간단한 문장제형식으로 제시하였고, 시각적 모델의 사용이나 알고리즘의형식화 방법은 단위 환산 등에서 자연수의 연산과 연계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 개발 및 교사 연수에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초등 수학에서 메타버스 수업 공간 설계 및 적용 사례 연구: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박만구,이윤경,정보화,정유진,김지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23 수학교육 Vol.62 No.1

        본 연구는 메타버스 학습 공간에서의 수학 수업이 가능하도록 메타버스 플랫폼인 젭(ZEP)을 이용하여 가상공간을 설계하고 이를 교실 수학수업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과 효능감, 교과 흥미, 내재적 동기, 수업 만족도및 수업 참여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한된 시간과 공간을 가진 교실 수업에서 서로 다른 미션을 수행함으로써 학생 수준별맞춤형 수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

        박만구 한국학교수학회 2019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수학 수업을 관찰하여 초등수학교과서의 활용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관점을 분석하고 수학 수업에서 교과서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54명의 초등예비교사들은 서울시내 15개 지역청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총 54개 학급(학생 총 1299명)의 수학 수업을 관찰하였다. 수학수업의 관찰을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초등수학교과서의 활용과 수학 수업에서 자료의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동기유발 자료를 각색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수준별 학습을 포함한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돕기 위하여 교과서 이외에 활동지를 포함한 다양한 부가적인 자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수업에서 교수・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TV와 PPT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내용과 체제 자체에 대해서 보통 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었고, 디지털교과서의 필요성도 크게 느끼지는 않았다. 연구자는 수학 교수학습의 질 향상을 위하여 수업의 전반적인 메카니즘 안에서 교과서와 같은 학습 자료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와 교사들을 위한 학교 현장의 적용을 포함한 실제적인 연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justice. In the two years of research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ment of a teaching model, forty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two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as participants for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ents' SES in each group is in the high and average levels, respectively.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12 mathematical classes for social justice, and the eff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were tested by using mixed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s and tendency toward mathematics were changed posi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perceptions on mathematics and tendency toward mathematics were influenced by individual ability, inclination, and condition rather than parents' socio-economic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 qualified and diverse mathematical materials for social justice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ce ability that flexibly copes with future society. It is also necessary for teachers to look at mathematics education in a broader and deeper perspective such as seeing mathematics with humanistic imag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를 위한 초등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2년 동안의 연구에서 문헌 연구 및 수업 모형 개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가정환경이 상 수준과 하 수준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 각각 21명과 19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각각 12차시 분량의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을 실시하여 수학에 대한 인식과 수학적 성향에 대하여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의 학생들 모두 수학에 대한 인식과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이 모두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과 수학적 성향은 부모의 사회 경제적인 차이보다는 개인별 능력, 성향, 조건 등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미래사회에 유연하게 대처할 창의융합인재의 육성을 위하여 수학 교수학습에서 다양한 소재의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사회정의 자료 개발이 필요하고, 교사들에게 인문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수학교육을 보다 넓고 깊은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이고 내실 있는 교사 연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