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의 자원무기화 ― 희토류 패권의 취약성

        선령 ( Park Sun Ryung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7 세계정치 Vol.27 No.-

        본 논문 은 희토류(Rare Earths)라는 전략자원에서 중국이 지니고 있는 패권의 이면을 분석한다. 각종 첨단산업에 필수불가결한 원료로 사용되는 희토류는 대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략 자원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희토류 시장에서 중국은 전 세계 수요의9 0% 이상을 공급하는 희토류 패권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2010년 중일 영토분쟁 당시 중국이 취한 대일 희토류 금수조치와, 같은 해 시행된 희토류 수출쿼터 삭감은 국제사회의 희토류 자원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사건이었다. 특히 중국이 희토류 공급독점적 지위를 무기처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중국의 대표적인 자‘ 원무기화’의 사례로 꼽히기도 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중국 희토류 패권의 이면에 집중하여 , 그 공급독점적 지위가 지속적이고도 일방적으로 타국의 희토류 자원안보를 위협하는 것은 아님을 보이고자 한다. 즉, 높은 상호무역의존도와 중국 희토류 산업내부의 문제점으로 인해, 중국의 희토류 패권 이면에도 취약한 면모가 있음을 주장한다. 이는 역설적으로 중국의 희토류 공급독점적 지위도 수입국과의 무역 의존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의미하며, 주어진 전략자원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할 경우 중국의 자원안보도 저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chapter analyzes the hypocricy of China’s hegemony over Rare Earths. As one of the strategic minerals, Rare Earths are irreplaceable and indispensable materials used in a wide range of industries. China enjoys its hegemony by producing more than 90 percent of the world’s demands. Given that China’s monopoly in the Rare Earths produc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continuously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China may weaponize its Rare Earths hegemony at any time. During the 2010 Sino-Japanese ter- ritorial disputes over the Senkaku-Diaoyu Island, the concer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re validated. China imposed an embargo on its Rare Earths exports to Japan, and Japan had no choice but to release the Chinese captain in question. In addition, China’s decision to slash its Rare Earths export quotas intensified international concerns, which led to the international Rare Earths prices skyrocketing by 16 times. These two cases demonstrate China’s Rare Earths hegemony and the vulnerability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this shows that China also reveals its vulnerability in Rare Earths. The majority of existing studies tend to focus on one-time threatening cases and fail to analyze whether China’s hegemony has continued to threaten other countries’ resource security in Rare Earths. To address this gap in research, I investigate two cases. The first reveals that Japanese consequential responses after the embargo also damaged Chinese Rare Earths industry. The second evidences how the chronic smuggling and fragmented industrial structure in Chinese Rare Earths industry have almost nullified the slashed export restrictions. While I do not deny existing arguments on China’s Rare Earths hegemony, I argue that “exclusively producing a resource”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having leverage over the resource security of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워즈워스의 시에 나타난 신비주의와 상상력

        박령(Park, Ryung) 새한영어영문학회 2014 새한영어영문학 Vol.56 No.4

        Wordsworth is both a sensual naturalist and a transcendental mystic. His long poetic career shows the conflict and the unification of the two Wordsworths. Approaching his maturity, the poet gets strongly inclined for the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the spiritual world of mystical vision. Wordsworth’s mysticism develops through several steps: sensual experience, creative sensibility, philosophical thought, and finally transcendental imagination. The imagination ultimately develops itself towards seeing into “the life of things,” and gets the mystical vision of immortality, ultimately establishing “a second nature” in his own mind. In “Tintern Abbey,” the sensual empiricist Wordsworth precariously conflicts with his transcendental mystic self, yet still remaining typically dependent upon the beauteous forms of nature. But in “Ode: Intimations of Immortality,” the poet presupposes the idea of pre-existence, revealing the immortality of human soul; thus his mystic self strengthens all the more. In The Prelude, through the repetitive recollections of “spots of time,” the poet exerts himself continuously to reinforce the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finally, in the vision of Mountain Snowdon, incarnates “the type of majestic intellect” in the emblems of nature, showing the tremendous strength of his imagination; his poetic mysticism has become complete.

      • KCI등재

        삶의 경험으로서의 영시학습

        박령(Ryung Park)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09 영미문학교육 Vol.13 No.1

        A poem embodies a fragment of life experience of a poet. In it, the poet represents, in a very concrete and special way, how he feels and thinks of his life by means of the poetic words and techniques, that is, rhythms, images, metaphors and symbols, etc. Reading a poem sincerely, thus, enables us to share the poet's life experience and to feel and think as he does. In the process, the reader enacts and cultivates one's own sympathetic imagination, an important constituent of human creativity. The English Romantic poets are the great models of human creativity, especially in their passion to correct and innovate their old world into a new one by the performative function of their poetry. English poetry serves as very useful resources to supply the brilliant human creativity paragons. Learning English poetry as life experience can be itself the creativity education demanded urgently in all the educational fields these days. The creativity education has also some fundamentally utilitarian purpose in the modern information-inundated society. In this paper, learning English poetry as life experience is suggested in the case-study of Tennyson's "Tears, Idle Tears". The class begins with the student's presentation concerning all the informative knowledges of the poet and the poem together with the audio-visual materials. The main part of the learning is conducted by the professor with various challenging questions which guide the students' experience of the poem. The students respond either individually or by group according to the kind of questions. The class ends with interesting writing activities. On the way, the students, feeling for the poet's own sense of loss, experience how the poet meditates and analyzes that sense, eventually transmuting the poet's life experience into their own. They also solve the question of what the meaning of the past can be in their present life. In the process, the students' imagination and creativity can be more deeply enlightened.

      • SCOPUSKCI등재

        인공안구 구현을 위한 병렬 구조의 3자유도 회전 로봇 개발

        성령(Sung Ryung Park),양승한(Seung Han Yang)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4 한국정밀공학회지 Vol.31 No.6

        In this research, three degree-of-freedom parallel spherical robot is developed for an artificial eyeball. The proposed system is comprised of a moving and a base plate, three prismatic actuators, and a ball joint for an angular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The vector analysis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ons of the actuators and a pose of the moving plate. The required ranges for every actuators are calculated using the derived inverse kinematics in regard to the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levels for the size of the system component. Then the size of every components is determined from the analyzed trend. PI controller is employed for the position control of the moving plate. Finally the proposed system is verified using an arbitrary path of the angular movement.

      • KCI등재

        해석적 방법을 통한 3 축 공작기계의 기하학적 오차 민감도 분석

        성령(Sung Ryung Park),양승한(Seung Han Yang)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6 No.2

        본 연구는 3 축 공작기계에 있어 기하학적 오차가 체적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 방법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기하학적 오차가 공작기계의 체적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는 수학적 모델인 오차합성모델에 대해 분석한다. 민감도 분석은 분산 기반의 방법(Variance based method)을 사용하였으며 해석적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해 평균 및 분산에 대해 목적 함수의 유형별로 그 해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3 축 공작기계의 예를 들어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In this paper, an analytical method is used to perform a sensitivity analysis of geometric errors in a three-axis machine tool. First, an error synthesis model is constructed for evaluating the position volumetric error due to the geometric errors, and then an output variable is defined, such as the magnitude of the position volumetric error. Next, the global sensitivity analysis is executed using an analytical method. Finally, the sensitivity indices are calculated using the quantitative values of the geometric errors.

      • KCI등재

        자서전적 글쓰기와 시간의 문제

        박령(Park, Ry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논총 Vol.32 No.-

        많은 자서전 작가들은 죽음의 음울한 그림자를 예감하면서 인간적 시간을 넘어서기 위해 시간의 문제에 강하게 집착한다. 그리하여 자서전적 글쓰기는 시간과의 필사적인 싸움이라 할 수 있다. 진화론자인 로렌 아이슬리는 이러한 면에서 하나의 전범을 보여준다. 공식적 자서전 『그 모든 낯선 시간들: 어떤 생의 발굴』?에서 그는 어떻게 자신이 과학계의 ‘이단아’로서, 또한 자연작가로서 진화해왔는가를 자기 ‘생의 발굴’을 통해 드러낸다. 이 책에서 그의 주된 관심사는 과거의 삶이 어떠한 모습으로 현재적 의식과 무의식 속에 담겨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그는 지난 삶의 폐허라 할 수 있는 기억이 자서전적 글쓰기를 통해 바로 그의 현재적 자아와 미래적 자아를 형성함을 깨닫는다. 그는 자서전적 글쓰기를 통해 과거의 삶의 ‘화석’들을 탐사함으로써 점진적으로 현재적 자아와 미래적 자아를 만들어나간다. 그 과정에서 그의 정체성은 언제나 인간적 시간의 한계에 대한 의식과 복잡하게 뒤얽혀 있다. 자신의 생을 발굴한 후에 그는 마침내 인간의 삶이 끊임없는 생명 에너지의 흐름에 불과함을 깨닫는다. 그는 자신을 단지 인간의 종에 가두는 한계를 넘어서서 여타 생명체들과의 통합의 비전을 갖고자 하며, 인간 진화의 머나먼 시원으로 회귀하여 인간적 시간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한다. Most autobiographers are deeply obsessed with time, feeling the gloomy shadow of death and desiring to go beyond human time. Autobiographical writing is, therefore, a kind of desperate struggle with time. Loren Eiseley, moreover as an evolutionist, offers an outstanding model in this case. His official autobiography, All the Strange Hours, is an excavation of his own life, revealing how he has evolved in his personal history both as a "heretic" scientist and as a nature writer. In this book, his major concerns are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way how things of his past life are contained in his present 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ness. He realizes that the memories, in a sense, the ruins of past life, are shaped into his present and future self by autobiographical writing. Throughout this book, he progressively probes into his past life "fossils" and formulate what he is and what he shall be. His self-identity is always complexively related with his consciousness of the limitation of human time. After excavating his own life, he finally reaches the conclusion that human life is just an incessant flow of life energy, like all the other creatures". He tries to go beyond the limitation to confine us to mere human species and get a vision to merge into other creatures, returning to our ancient evolutionary beginning, and thus surmounting the limit of human time.

      • KCI등재

        빅토리아 시대 여성시인의 페미니즘

        박령(Park Ryung) 새한영어영문학회 2001 새한영어영문학 Vol. No.

        This paper tries to describe a portrait of a Victorian feminist woman-poet, reading Elizabeth Barrett Browning's Aurora Leigh, and to appreciate her as the 'mother' of subsequent women's poetry. Elizabeth's heroine, Aurora begins her poetic life rejecting her cousin Romney's proposal, thus suppressing her womanhood and identifying herself with a man. After several years' solitary and independent life, Aurora becomes a famous woman poet, and keeps writing an autobiographical poem for her 'better self'. Such an autobiographical writing leads to Aurora's realization that she cannot be a true artist without being a 'complete woman'. Finally, Aurora combines successfully her artistic fulfillment with her romantic one, marrying Romney, who describes the woman poet's future vision. Some modem feminist critics view this happy ending as the author's yielding to the ideology of patriarchy. But viewed from the women's socio-political and literary context of the Victorian age, Aurora's portrait shows us the utmost possible feminist one of the age. And this comes from the author's triumphant realism.

      • 크리스티나 로제티의 『왕자의 순례』 에 나타난 페미니스트적 상상력

        박령(Park, Ryung)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09 젠더와 사회 Vol.20 No.-

        크리스티나 로제티의 『왕자의 순례』 는 시인이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 중 하나였을 낭만적 사랑에 대해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 작품은 당대 가장 인기 있는 텍스트에 속했던 『잠자는 미인』 과 『순례자의 역정』 에 바탕을 두고 이 두 남성 텍스트들의 동화와 기독교적 알레고리의 요소를 십분 활용하면서도 이들을 페미니스트적 관점에서 독특하게 전유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기존 남성 텍스트들을 패러디하면서도 다양한 해석의 자유를 허용하는 우화의 형식 속에 담겨있고, 또한 세속적인 요소와 종교적인 요소가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어 해석의 폭과 깊이를 더해준다 이작품은 동화 속의 왕자와 공주의 관계를 모티브로 취함으로써 공주를 찾아 나선 왕자의 순례를 통해 종교적 색채를 가미시키면서도 무엇보다 당대 남녀관계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비판을 가하고 있다 그 비판은 여성 예술가의 상상력에서 나온 풍요로운 비유와 상징, 알레고리와 환타지 등의 요소를 통해 다충적이고 자유로운 의미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는 남성문학의 전통을 전복시키면서 이를 뛰어넘는 여성 예술가의 예술적 역량을 한껏 돋보이게 한다 『왕자의 순례』 는 왕자의 순례와 더불어 공주의 순례를 다루고 있다 시의 표면적인 순례는 왕자의 순례이지만, 공주의 내면적인 순례는 왕자의 순례의 의미를 규정하는 핵심적인 용인이 된다 세속적 차원에서 본다면 왕자의 순례나 공주의 순례를 모두 순례의 실패로 볼 수 있을 것 이다 따라서 이 시에는 수동성이라는 실존의 장벽에 갇혀서 자신을 구원할 힘이 없이 남성의 구원에만 의지하는 빅토리아 시대 여성의 비극적 운명에 대한 연민과, 여성의 운명에 무관심하면서 자기 실존의 궁극적 의미에도 무지한 무방향성의 당대 남성에 대한 시인의 비판적인 시각이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교적 차원에서 본다면 왕자는 구원의 순례를 떠나는 기독교인이라 할 수 있으며, 공주는 왕자를 구원하는 주체인 여성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성 역할의 전복적인 도치는 또 다른면에서 시인의 페미니스트적 상상력을 극대화시켜 보여준다 In The Prince's Progress, we can read Christina Rossetti's perspective the romantic one of the dominating ideologies in the Victorian England Based on the most popular texts, Sleeping Beauty and Pilgrim's Progress, this poem adopts the frames and motives of the fairy tale and the Christian allegory, and creates its own feminist version of the two male texts In the frame of allegory, this poem both parodies the existing male texts and combines the secular and religious elements, opening extending the multiple possibilities of its interpretation This poem, taking as its mo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e and princess in the fairy tale, that is, the prince's pilgrimage in seeking the sleeping princess, criticizes the male-female relationship of the Victorian age from the feminist view-point That criticism provides the poem with the multi-layered and flexible space of meanings, exploiting the literary devices of figures, symbols, allegory and fantasy The poem, thus, subverts the male literary tradition, showing up the female writer's artistic capability The Prince's Progress deals with the princess's progress as well as the prince's progress Even though the main progress at the surface level is enacted by prince, the princess's interior progress defines the ultimate meaning of the prince's progress At the secular dimension, both of the two progresses failed, which reveals the poet's critical eye to view the passive Victorian woman's tragic fate to wait vainly for the man who is disinterested in her well-being, and, so, cannot redeem her in the end At the religious symbolizes a female Christ, his Savior This gender subversion demonstrates fluently Christina Rossetti's feminist imagination

      • KCI등재후보

        대행의 한마음사상에 나타난 교리적 근거 고찰

        소령(Park, So-Ryung) 대행선연구원 2018 한마음연구 Vol.1 No.-

        불교의 원초적이면서 근본적인 표방은 ‘마음이 모든 법의 근본 이다[心爲法本]’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나를 비롯한 우주의 모든 생명의 근본이 바로 이 마음을 통해 직결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마음은 주관적 자신을 비롯한 객관적 세계인 우주를 포괄하는 모든 일체만상의 총괄적 주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음[心]에 관한 교리는 초기불교부터 부파불교,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불교교리 전반에서 일관되게 설해진다. 특히 대승후기 논서에 해당하는 『대승기신론』에서는 기존의 대소승의 여러 경전들의 심사상心思想을 배경으로 하여 종합적인 ‘일심一心’의 교리를 체계화 하였다. 『기신론』은 ‘일심이문一心二門’ 또는 ‘일심삼대一心三大’의 핵심적 교리체계를 갖추어 일심의 본체상과 현상의 작용원리뿐만 아니라 ‘일심진여一心眞如’의 세계로 회귀하는 대승의 실천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신론』의 ‘일심사상一心思想’은 불교사상사에 있어 인도불교의 종합수렴이며, 동아시아 대승불교권에 걸쳐 화엄, 천태, 정토는 물론 선종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핵심적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불교 전통적 중심교리인 ‘일심사상’에 근거를 두고 있는 묘공당妙空堂 대행大行(1927-2012)의 ‘한마음사상’은 전통적 교법과 본질상 동일한 맥락을 가지면서도 그만의 독창적인 언설을 통해 시대와 상황에 맞는 실천교리로서 전개되었다. 이 ‘한마음사상’에는 전통적인 ‘일심사상’의 현대적 해석이 담겨있을 뿐만 아니라 대행 자신만의 독특한 실천적 사상체계가 담겨있다. 대행은 한마음을 나와 우주의 근본적 총체로 삼고 이를 주체적 주인공으로 구체화시켜 나를 비롯한 일체제불과 우주의 모든 생명이 근본적으로 직결되어 모두가 한마음인 공생共生・공심共心・공체共體・공용共用・공식共食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하는 실천언어로 되살려내었다. 특히 그는 확고한 믿음을 바탕으로 무조건 놓고 지켜보는 실천법인 주인공관을 제시하여 일상생활 속 언제어디서나 누구든 일체가 한마음으로 돌아가고 있음을 쉽게 자각하고 바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original and fundamental claim of Buddhism is that “the mind is the foundation of all truth”. This implies that the origin of all life in the universe, including myself, is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mind. In other words, the mind can be regarded as the totality of the entire universe including the subjective individual self. This doctrine of mind is consistently spoken of throughout Buddhist doctrine, from early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In particular,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 a text of later Mahāyāna Buddhism, systemized a comprehensive “One Mind” doctrine on the basis of various kinds of mind philosophy that provided the principle of practice for Mahāyāna Buddhists. The text explains the “one mind” as having two aspects: a thusness aspect (眞如門) and an arising-and-ceasing aspect (生滅門). In addition, the one mind is also said to exhibit three kinds of greatness: greatness in essence, greatness in aspects, and greatness in function. The “Hanmaum Thought” of Ven. Daehaeng (1927-2012) is based on this Buddhist traditional central doctrine of “One Mind Thought”. It was developed as a doctrine of practice that fits the times and situations by virtue of its original expression, even though it has the same context as the traditional doctrine. Ven. Daehaeng’s “One Mind Thought” not only include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One Mind Thought” but also reveals her own unique thoughts on its system of practice. Ven. Daehaing takes the concept of “Hanmaum” (“One Mind”) as the fundamental totality of the universe and embodies it as “Juningong” (“True Self”). She revived it as a practical doctrine in which all Buddhas and all life in the universe are fundament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One Mind, the Five Sharings. The Five Sharings are as follows: 1. Sharing the same mind, 2. Sharing the same life, 3. Sharing the same body, 4. Sharing working together, 5. Sharing all things together. In particular, she presented her views on the True Self together with an unconditional practice based on firm belief, so that anyone can easily realize they can return to the One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