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관광 정보원천에 따른 관광객의 참여 관광 활동 간 연관성 조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박득희,윤선미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방문한 관광객이 활용한 관광 정보 원천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를 통해 발생하는 관광 활동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하다. 또한, 오프라인 관광정보원과 온라인 관광정보원 이용에 따른 관광활동 참여패턴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공개한 ‘2021 대구관광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고 연관성 규칙 분석을 하였다. 분석 방법은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 하나인 연관성 규칙 분석을 사용 하였다. 구체적으로, Apriori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향상도(lift) 등 3가지 파라미터(parameter)를 바탕으로 유용한 연관규칙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은 41개의 연관성 규칙이 나타났지만,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에서는 27개의 연관성 규칙이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과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의 연관성 규칙에서 1순위로 도출된 규칙의 관광 활동은 같게 나타났다. 셋째, 관광 활동 간을 매개하는 관광 활동 유형은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이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그룹에 비해 더 많게 나타났다. 끝으로, 온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이 ‘강/바다/산/호수’ 관광 활동 유형을 참여할 확률이 오프라인 정보원천을 활용한 관광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광객이 참여한 관광 활동 간 연관성에 대한 이해는 대구 관광 활성화를 위한 홍보와 마케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싱글 여성 소비자들의 추구편익과 해외여행행동에 대한 연구
박득희,정희진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싱글 여성 소비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싱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적용하여 싱글 여성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의 차이를 밝혀내어 세분시장들의 특징을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25세 이상에서 34세 이하인 싱글 여성)은 총 264부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여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싱글족의 라이프스타일 차원을 규명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행한 결과 군집은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셋째, 추구편익의 차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끝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추구편익과 해외여행 행동특성의 유의미한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군집간의 추구편익과 해외여행 행동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여성 소비자들의 독특한 니즈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관광산업에서의 표적시장 선정 및 개발, 커뮤니케이션 전략 등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benefits sought by single Korean womean and their outbound tour behavior.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ingle women (aged 25-34, living alone). Out of 475 distributed questionnaires, 264 were analyzed (55.58% response rate). The data was analyzed as follow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variable, one-way ANOVA analysis using SPSS. the resu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factor analysis, Korean single women lifestyl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and the benefits sought were divided into four factors. Second,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cluster analysis: Low Energy group, Moderate Energy group, and High Energy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conducting the one-way ANOVA test, the Low Energy group, Moderate Energy group and High Energ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benefits sought in their outbound tour behavior. By understand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ourism industry practitioners can be aided in developing tourist products.
지속가능한 관광성장을 위한 방한 일본인 관광객 수요예측: 시계열 계량 모형 적용
박득희,강상훈,이계희 한국관광연구학회 2020 관광연구저널 Vol.34 No.3
본 연구는 최근 무역 갈등 및 한일 군사정보보협정 이슈의 영향으로 형성된 반한감정으로 인하여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방한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적합한 계량적 수요예측 기법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분석모델들의 예측정확도를 비교하여 최적화된 예측모델을 선정하고 수요를 추정했다. 이를 위해 2010년 1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총 120개의 한국 입국 월별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홀트 지수평활모델, 윈터스 승법⋅가법모델, ARIMA모델을 이용하여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 수요를 예측했다. 예측결과, 윈터스 승법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정되었으며, 윈터스 승법모델로 예측된 방한 일본인 관광객 수는 2,782,469명으로 2019년 대비 15% 감소하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2020년 이후로 2%의 감소율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본인 관광객의 수요를 예측한 선행연구가 수행된지 약 9년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변하는 관광시장의 변화를 반영한 최신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함으로서, 기존 연구결과와 다르게 최근의 방한 일본인 관광객의 수요변화가 반영된 예측모델이 활용되었다는 점과 이를 활용한 방한 일본인 관광객의 잠재수요가 예측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관광의 질적 및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관광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소셜 네크워크 분석을 적용한 내국인 관광객들의교통수단에 따른 네트워크 비교 연구: 부산 지역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박득희,전재균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3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위치한 관광목적지를 방문한 내국인 개별관광객들의 다목적지 여행 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는 2곳 또는 그 이상의 관광목적지를 방문한 관광객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관광 시 이용한 교통 별로(자가용, 대중교통) 다목적지 여행 행동의 매트릭스를 구성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 6.0을 사용하여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 중 네트워크의 밀도, 정규화된 중심성(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내향⋅외향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키플레이어 분석 등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밀도 지수는 유사 하였다. 둘째, 표준화된 중심성 분석 결과,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중심성 지수가 높은 관광목적지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키플레이어 분석결과,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내의 핵심 관광목적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방문한 관광목적지들의 연결관계는 관광객들이 관광 시 이용한 교통편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에 관련한 실무자들에게 부산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광목적지 개발 및 관리, 홍보 및 마케팅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다목적지 여행 행동에 대한 후속연구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라 판단된다.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안동의 관광공간 구조 파악
박득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ourism spatial structure of Andong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by using social media dat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xt data including, tourist attraction of Andong keywords from Naver, Daum, and Google, web portal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9, and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20.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refined by Textom software, and refined data were analyzed by UCINET software. Amo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is study performed network density analysis, normalized eigenvector analysis, and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QAP) analysis to identify changes tourism spatial structure of Andong. Analysis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high-frequency tourist attractions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outbreak of COVID-19. Second, normalized eigenvector centrality indices of tourist attractions represented differences in ranks among tourist attra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re was low similarity between the two different networks, meaning befor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network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network, but the simi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re provid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본 연구는 앵커 포인트 이론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발병 전과 후 안동시 관광공간 구조를 비교분석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코로나19 발병 이전(2019년 1월부터 2019년 12월)과 이후(2020년1월부터 2020년 12월)의 자료를 네이버, 다음, 구글 포털에서 수집했다. 자료의 수집 및 정제는 텍스톰을사용했으며, 정제된 자료는 UCINET 6.68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밀도 분석, 표준화된 위세 중심성 분석, QAP 상관분석 등의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코로나19 발병 전후의 안동시 관광공간 구조의 변화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병 전후에 따라 높은 출현 빈도를 가지는키워드(관광목적지)는 차이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준화된 위세 중심성 분석결과, 코로나19 발병이전과 이후의 관광목적지 연결망 내 관광목적지의 순위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끝으로, QAP 상관분석결과, 코로나19 발병 이전과 이후 관광목적지 연결망 간에는 낮은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공간 개발 및 계획에 관련한 연구의 확장에 대한 학술적 시사점과 향후안동시의 균형적 관광공간 조성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다. 뿐만아니라 본 연구의 한계점과 위한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결론에 자세하게 제시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관광 활동 참여 패턴 분석: 경기도를 사례로
박득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5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시점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 활동 참여 패턴을 비교분석 했다. 이를 위해서 경기관광공사에서 실시한 “2019 경기관광 실태조사”와 “2021 경기관광 실태조사”원자료를 연구 목적에 알맞게 정제한 후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 중 밀도 분석, 정규화된 위세 중심성 분석, QAP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링크 수, 밀도 지수에서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관광 활동 연결망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QAP 상관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관광 활동 연결망 간에는 낮은 유사성을 가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에 따라 동시 참여 관광 활동의 유형과 빈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줬다. 끝으로, 정규화된 위세 중심성 분석 결과,강/바다/산/호수, 문화/역사 체험 유형이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연결망에서 핵심 관광 활동이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후 연결망에서는 박물관/미술관, 이색 체험이 주요한 관광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광 활동과 관련한 연구의 확장에 관한 이론적 시사점과 향후 경기도의 관광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가 가진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결론에 제시했다.
지속가능한 접경지역 관광 발전을 위한 관광자의 관광공간 행동 조사: 파주시, 고양시를 사례로
박득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6
접경지역을 방문하는 다수의 관광자는 한 번의 관광에서 다수의 관광공간에 방문하는 관광공간 행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관광자의 관광공간 행동에 대해 심도 있게 조사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기관광공사에서 실시한“2021 경기관광 실태조사” 원자료를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정제하고 밀도 분석, 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 매개 중심성 분석, 링크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밀도분석 결과, 관광공간 연결망 내 관광공간 간 연결 형태는 특정 관광공간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 결과, 임진각, 헤이리예술마을, 프로방스는 높은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 지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 결과, 임진각, 헤이리예술마을, 오두산통일전망대는 다른 관광공간에 비해 보다 높은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지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 중심성 분석 결과, 반구정은 앞선 두 개의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에서 중심성 지수가 높은 관광공간으로 도출되지 않았지만, 높은 매개 중심성 지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링크 분석 결과, 임진각과 파주맛집은 관광공간 연결망 내에서 핵심적이 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지속가능한 접경지역 관광 개발 방향과 연구의 한계점을 결론에 자세하게 작성했다.
박득희,이계희,김태구 한국무역연구원 2019 무역연구 Vol.15 No.4
Purpos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intra-destination travel behavior among Chinese, Japanese, and American international inbound tourists to Seoul, by mean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using 2015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dat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raw data were converted into social network data and then social networks among the sub destinations were constructed using UCINET software for SNA. Findings - Results indicate that first, the density indices contrastingly differ across three intra-destination travel networks and the different destinations of high normalized centrality indice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networks. Second, different attractions of high scores in terms of frequency and normalized centrality indices were identified. Lastly,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ree nationality-based networks have a contrastingly different network structure through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QAP) analysi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Marketing and planning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ere also present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venue.
SNS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이 소셜 쇼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득희,정희진,이계희 한국호텔관광학회 2015 호텔관광연구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described as network density and centrality, and information trust on purchase intention of tourism products. To collect the data survey method was applied, targeting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search tourism information using SNS and are involved with social shopping. Two hundred and thirty six usable answers, out of 300 questionnaires initially distributed,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by means of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centrality and information trust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formation satisfaction. Also, information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tourism product purchase intention. However, density was confirmed as information tru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