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주제: 소통 부재의 시대, 한문학에서 길을 찾다 : 조선시대 절교(絶交)의 사회학

        박동욱 ( Dong Uk Pak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5

        우정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많이 있었다. 18세기에 특히 활발했으며 참다운 友道를 회복하고자 노력했다. 모든 인간관계는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이 있기 마련이다. 예전에는 더 이상 이전 같은 友誼를 지속할 수 없을 때 단호한 태도로 상대방에게 절교를 선언했다. 다양한 이유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났기 때문에 그러한 예를 찾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러나 우도의 양면 중 절교에 대해서는 그간 누구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지금껏 우리는 우도의 절반만을 이야기해 온 셈이다. 절교는 크게 도의에 어긋나거나, 선조나 스승을 욕보인 경우, 정치·종교적 신념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좀 더 세밀하게 천착할 여지가 있다. 절교는 대개 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절교의 편지를 보냄으로써 자신의 확고한 입장을 상대에게 고지하고, 상대방에게 마지막으로 소명할 기회를 주기도 한다. 상대에 대한 責善의 의미인 동시에, 혹시라도 있을 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이기도 하다. 또, 둘 사이의 정치적 인연을 정리하는 증거로 절교 편지를 써서 훗날 있을지도 모를 화에 대비하기도 했다. 지금의 우리는 절교를 논하지도 않고, 단호하게 절교하지도 않는다. 누군가와 떠들썩하게 절교를 한다면 아마도 인간관계에 미숙한 사람으로 치부될 지도 모른다. 그러나 누군가와 완벽한 결별이 없다는 것은 누군가와의 완전한 합일도 없다는 뜻일지도 모른다. 이 글은 절교에 대한 시론에 해당한다. 앞으로 절교의 여러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천착을 지속하고자 한다. Friendship was the subject of significant interest and discussion even during Joseon period. Interest and discussion on friendship was prominent especially in the 18th century and people tried to restore the true rules of friendship. It is natural that people meet and part with each other in a life. When the friendship couldn`t be kept any more in the past, they decisively declared breaking off the relations to friends. Relations are broken off in case of serious deviation from public morals, insulting ancestors or teachers or different political or religious beliefs. It needs to be discussed in details. Breaking off relations is done by sending mails. People notify their decisive attitudes on breaking off relations by sending mails and some gives the last opportunity to explain to their friends. Nowadays, we don`t discuss about breaking off relations and never break off relations decisively. If someone breaks off relations publicly, he/she will be considered as the person who is not matured in human relationship. However, if someone doesn`t completely break off relations with others, it may mean no complete unity with anyone. This paper is a kind of comments on breaking off relations. A variety of issues related to breaking off relations will be continuously analyzed with interest.

      • KCI등재

        한시에 나타난 노부부의 형상 -늙은 아내를 중심으로-

        박동욱 ( Dong-uk Pak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4 No.-

        노부부에 대한 이름 모를 감동은 그들이 살아 왔을 시간과 사건에 대한 경외와 존경이다. 해로(偕老)는 함께 늙어갔다는 말이니, 그 자체가 그들의 성실과 인내를 증명한다. 주로 남편의 시선으로만 기록되었기에 노부부 전반에 대한 글을 찾기란 쉽지 않다. 본고에서는 늙은 아내 곧, 노실(老室), 노처(老妻), 노부(老婦) 등을 다룬 시들을 통해 한시에 나타난 노부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작품 속에서 가장 흔하게 찾을 수 있는 내용은 먼저 지나온 세월에 대한 속죄를 들 수 있다. 함께한 세월들은 자신과 상대 모두에게 만족스러웠다 단정할 수는 없지만, 세월의 굽이굽이 모든 순간 같은 자리를 지켜준 배우자에게 무엇보다 먼저 미안한 마음이 들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고생과 노고에 대한 고마움이다. 무기력한 생활인의 태도는 아내와 자식들을 세상의 고초와 고난에 노출시킬 수밖에 없다. 보통 유배 등 피치 못할 사정으로 가장의 의무를 소홀히 하거나 시기적으로 생일, 회갑, 회혼 때에 지어진 시들이 많다. 또, 아내를 향해 호기와 배짱을 보이기도 한다. 표면적으로는 그런 모양새지만 아내에 대한 미안함의 다른 표현이라고 볼 수도 있다. 상황을 바꿀 수 없을 때에 변명과 자책으로만 일관하지 않고 당당하게 소신을 드러내며 끝까지 자존심을 지키려 애썼다. 마지막으로 배우자가 세상을 떠난 것에 대한 슬픔이다. 중년 이후에 겪을 가장 큰 아픔으로는 상처(喪妻)가 손에 꼽힌다. 부부가 함께 지낸 세월이 길면 길수록 상대를 잃은 상실감을 극복하기 어려운 법이다. 부모는 자식보다 세상을 먼저 떠나기 마련이고 자식은 자신의 가정을 꾸리면 그것으로 그만이다. 그래도 끝까지 곁에 남아줄 사람은 배우자밖에 없다. 세월의 모든 성상(星霜)을 겪은 노부부의 모습은 그것 자체로 인생의 훌륭한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죽음으로 영원히 함께 할 수 있는 노부부의 삶은 예나 지금이나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 Unexplainable impression on the elderly couples is the awe and respect on the time and events which they passed through.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mages of the elderly couples observed in Chinese poems based on the poems describing the elderly wives. The description which was observed most frequently in the poems was the expiation on the times they passed through. The description following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description was appreciation on hardship and endeavor. Furthermore, the elderly men showed gallant spirit and audacity to their wives. The last one was sorrow on the death of their wives. It is natural that parents leave this world before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 just manage their own families. However, it’s only a spouse who will stay together until the end of the life. The images of the elderly couples experiencing all kinds of time and tide in this world will be the great text book for life. The life of the elderly couple who can stay together for ever by death suggests a lot of things to us in these times as well as in the past.

      • KCI등재

        『임연당별집(臨淵堂別集)』 제가 평으로 살펴본 산운시(山雲詩)의 특징과 의미

        박동욱 ( Pak Dong-uk ) 한국시가학회 2021 韓國 詩歌硏究 Vol.54 No.-

        산운(山雲) 이양연(李亮淵, 1771~1856)은 조선 후기에 활약했던 뛰어난 시인이다. 그의 『임연당별집(臨淵堂別集)』은 세간에 알려져 있지 않은 자료였다.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 뒤에 합철(合綴)되어 있어서 그간 존재가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총 181제 207수가 수록되어 있다. 『임연당별집』은 산운 이양연 한 사람의 시와 그 시에 대한 네 사람의 총평(總評)과 세평(細評)을 함께 싣고 있다. 전체 작품평은 크게 5언 절구에 대한 긍정적 평가, 5언 고시(古詩)의 한위고악부(漢魏古樂府) 유사성, 근체시의 성당풍(盛唐風) 성향, 정서적 감염력 등을 주로 이야기했다. 형식면에서는 5언 절구와 5언 고시를 높이 평가하였고, 반면 7언 절구와 7언 율시는 아주 낮게 평가하였다. 근체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산운의 선택과 집중을 함께 보여준다. 내용면에서는 진솔하고 꾸밈없는 정서적 여운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감정의 과잉이 일으킬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도 함께 제시되었다. 개별 작품평은 유흥경(柳興慶)이 11則, 이농인(李農人)이 1則, 성재숭(成載榮)이 8則, 유희(柳僖)가 9則을 각각 남겼다. 형식적으로는 5언 고시 17편, 5언 절구 7편, 5언 율시 3편, 7언 절구와 7언 율시 그리고 6언시 각 1편씩 언급 되고 있다. 이러한 세평의 결과는 총평과 거의 흡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민요풍 한시’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는 것은 예상을 벗어난 결과다. 이 시들이 조선풍 한시의 새로운 실현으로 볼 수도 있지만, 전통 한시의 이완과 붕괴로 볼 수도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산운 한시에 대한 평들을 종합해 보면, 5언 고시와 악부시에 대한 높은 관심과 평가를 엿볼 수 있다. 그동안 산운시 연구에서 5언 고시와 악부시에 대해서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겨둔다. Sanwoon Lee Yang-yeon (1771~1856) is an outstanding poet ac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Imyeondang Byeoljip』 was an unknown source. This is because its existence has not been revealed so far. After all, it is integrated behind 『Hangaekgunyeon』. It contains a total of 181 and 207 numbers. 『The Imyeondang Byeoljip』 contains a poem by one Sanwoon Lee Yang-yeon, and four people's general reviews and reviews of the poem. The overall review mainly talked about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five-word mortar, the similarity of Hanwi Goakbu in the five-word poetry, the tendency of the cathedral in Geunchesi, and significant emotional infectivity. The five-word and five-word exams were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form, while the seven-word and seven-word poems were very low. The negative evaluation of myopia shows both the choice and concentration of acid luck. In terms of content, while highly appreciating the sincere and unpretentious emotional afterglow, it was also presented on problems that can cause excessive emotions. Individual reviews were left by Yoo Heung-kyung, Lee Nong-in, Seong Jae-sung, and Yoo Hee, respectively. Formally, 5 Eon-si, 5 Eon-si, 5 Eon-yul-si, 7 Eon-yul-si, and 6 Eon-si are mentioned. The results of these reviews are almost similar to those of the general reviews. However, there is no mention of the "temporary folk style" is beyond expectations. This is because these poems can be seen as a new realization of Joseon-style Chinese poetry, but they can also be seen as relaxation and collapse of traditional Chinese poetry. If you put together the reviews of Sanwoon Hanxi,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high interest and evaluation of the 5 Eonsi and Akbushi. Unfortunately, until now, research on Sanun City has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e 5 Eon-si and Akbushi. Specific research on this part is left as a future task.

      • KCI등재

        박영보의 繡斧記程 연구

        박동욱(Pak, Dong-uk)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4 No.-

        박문수의 玄孫으로 알려진 朴永輔(1808~1872)는 본관이 高靈, 자는 星伯・錦舲이며, 호는 洌水이다. 수부기정 은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자료로, 박영보가 1846년 평안도 淸北에 암행어사로 나갔을 때 기록한 일기다. 박영보는 활동 기간 내내 당일의 기후, 식사, 숙소, 풍물과 풍속, 인상적인 에피소드 등을 하루도 빠짐없이 꼼꼼히 기록했다. 특히 상세하게 기록된 이동 경로는 암행어사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만 서계나 별단 등이 빠져 있고, 개인의 감정을 최대한 절제한 채 기록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출도, 징치와 처벌, 수행 인원 등 공무와 관련된 사 실은 여러 가지 정치적인 해석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판단해서인지, 최대한 간략하게만 기록을 남겼다. 수부기정 은 암행어사로서의 고생을 진솔하게 담고 있다. 특히 宿食의 괴로움을 솔직하게 토로했고 낯선 기후와 거친 길, 예기치 않은 질병으로인한 고생을 담담하게 써내려갔다. 강행군으로 인한 고단함이 느껴지는 지점이다. 또 수부기정 은 암행어사 공무를 집행하는 懲治와 처벌의 기록들이기도 하다. 격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했으나, 민중들의 암행어사에 대한 간절한 바람이나 열망도 외면하지 않았다. 반년이 넘는 복무 기간동안 조금의 일탈도 허용하지 않는 엄정함도 함께 볼 수 있다. 임무 과정 중에 생긴 재미난 일화도 함께 싣고 있어서 흥미롭게 읽힌다. 뿐만 아니라 해당 고을의 명승지나 풍속을 중심으로 꼼꼼히 기록한 덕분에 북방의 풍속과 풍경은 물론, 백성들의 삶의 모습까지 따스한 시선으로 담고 있다. 지금은 잊힌 북방에 대한 기록들은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박영보의 수부기정 의 가치는 무엇보다 그 속에 담긴 위트와 인간애라고 할 수 있다. 예기치 않은 부분에서 만나는 재치 있는 표현 방법과, 사소한 일상에서 보여주는 따스한 인간미가 아주 매력적이다. 박영보라는 작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는 거의 드문 형편이다. 이 연구를 통해 박영보의 암행어사 관련 기록은 물론, 그의 문학에 대한 관심이 조금이나마 환기되기를 기대한다. Bak Yeongbo(朴永輔, 1808~1872) is the great-great-grandson of Bak Munsu. His family clan is Goryeong, his courtesy name is Seongbaek and Geumryeong and his pen name is Yeolsu. “Subukijeong” is not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yet. It was the record by Bak Yeongbo when he w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in Cheongbuk, Pyeongan-do, in 1846. Bak Yeongbo recorded all details without missing any contents during a day while he worked 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including weather, meals, accommodation, institutions, customs and impressive episodes. In particular, the path of actions recorded in detail helps to identify the activities 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Subukijeong” straightly described the hardship 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In particular, he frankly confessed the difficulty about meals and accommodations and objectively wrote about the hardship caused by unexpected diseases as well as unfamiliar weather and rough roads. Furthermore, “Subukijeong” is the record on the punishment and disciplinary actions which a secret royal inspector executed his official duties. “Subukijeong” also described the customs and landscape as well as people’s life in the northern region with the affectionate viewpoint by detailed record around the famous places or customs in the relevant villages. “Subukijeong” by Bak Yeongbo has the significant value because of the wit and humanity contained in it. The witty expression which the readers can’t expect and warm humanities in a trivial daily life are very attractive.

      • KCI등재

        山雲 李亮淵 한시에 나타난 민요정서의 한시적 변용

        朴東昱 ( Pak Dong-uk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9

        山雲 李亮淵(1771~1856)은 조선후기에 활약했던 시인으로 조선적인 한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산운은 조선 한시사에서 빠트릴 수 없는 중요한 인물임에 틀림없다. 산운의 시들은 민요와의 직, 간접적인 영향관계에 있다. 그의 민요풍 시들은 『山雲集』 ‘遣興類’에 주로 배치되어 산운의 민요풍 한시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를 보여준다. 그러나 산운의 민요풍 한시에 대해서는 전면적으로 논의되지 않았고, 그의 시세계의 특질 중 하나로 간략하게 언급되었을 뿐이다. 먼저 형식적으로는 ‘시적화자의 문제’와 ‘근체시의 형식 파괴’ 두 측면을 살펴보았다. ‘시적화자의 문제’에서는 대화체, 여성화자의 수용, 3인칭 시점의 활용이 눈에 띄었다. 대화체에서는 주로 독백체를 사용하고 있다. 청자가 설정되어 있기도 했지만 특별한 청자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여성화자도 인상적이었다. 그의 시에서 여성화자는 성적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인격 주체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화자는 주로 아내와 며느리의 목소리에 담았다. 또, 3인칭 시점을 사용하여 대상과의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다음으로 ‘근체시의 형식 파괴’를 한시의 금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근체시의 규칙에서 벗어난 작품들이 많았다. 이것은 민요의 氣息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표현수단으로 볼 수 있다. 이 점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산운 시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시들을 조선풍 한시의 새로운 실현으로 볼 수도 있지만, 전통 한시의 이완과 붕괴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절제와 진정의 발현’을 살펴보았다. ‘절제와 진정의 발현’에서는 새로운 도망시의 창작과 민요와의 정서적 교응을 다루었다. 산운의 도망시는 기존의 도망시와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산운 시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산운의 민요풍 한시는 대개 민요를 그대로 채록하기보다는 민요적인 정서를 수용하고 있다. 산운의 한시는 많은 숫자가 남아 있지 않다. 그렇지만 다른 한시 작가들이 보여줄 수 없는 한시의 미학을 보여준다. 산운은 전통 한시의 시적 성취를 가장 잘 보여준 작가라고는 할 수 없지만, 조선적인 한시를 가장 잘 구현한 작가로는 뽑을 만하다. 그는 조선의 목소리로 조선의 풍경과 상처, 아름다움을 한시로 구현해내는데 성공하고 있다. Yang-yeon Lee (1771-1856), a poet of the late Joseon Dynasty, opened a new horizon for Korean poetry. Sanwoon is undoubtedly an important figure i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Sanun's poems are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folk songs. His folk song poems are mainly arranged in 『Sanunjip (山雲集)』 and ‘Gyeonheungryu(遣興類)’, showing Sanun’s high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folk song style Han poetry. However, Sanun's folk song-style Chinese poetry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and is only briefly mention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world. First, formally, two aspects were examined: the ‘problem of the poetic speaker’ and the ‘destruction of the form of near-temporal poetry’. In ‘The Poetic Speaker’s Problem’, the dialogue, acceptance of female speakers, and the use of the third person perspective stood out. In dialogue, monologues are mainly used. In some cases, a listener was set, but in some cases, a special listener was not set. The female narrator was also impressive. In his poems, the feminist appears not as a sexual object but as a personality subject. The female narrator was mainly included in the voices of the wife and daughter-in-law. In addition, an objective distance from the subject is secured by using a third-person view. Next, the ‘destruction of the form of close-up poetry’ was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taboos of Chinese poetry. There were many works that deviated from the rules of close-up poetry. This can be seen as a kind of expression means to effectively convey the spirit of folk songs. Depending on how this point is evaluated, the status of Sanun City may change. This is because these poems can be seen as a new realization of Joseon-style Korean poetry, but they can also be viewed as relaxation and collapse of traditional Korean poetry. In terms of content, ‘expression of temperance and sincerity’ was examined. ‘The Appearance of Temperance and Genuineness’ deals with the creation of a new escape poem and the emotional correspondence with folk songs. Sanun's escape poe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scape poem,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anun's city well. Sanun's folk song-style Korean poetry usually embraces folk-song sentiments rather than recording folk songs as they are. There are not many numbers left in the Han poems of San Yun. However, it shows the aesthetics of Chinese poetry that other Chinese poetry writers cannot show. Sanwoon may not be the best writer of poetic achiev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poetry, but he deserves to be selected as the writer who best embodies Joseon-style Korean poetry. He is succeeding in embodying the landscape, wounds, and beauty of Joseon in one poem with the voice of Joseon.

      • KCI등재

        조선시대 養子의 한 풍경 -채팽윤의 한시를 중심으로-

        박동욱(Pak, Dong-uk) 한국고전번역원 2022 民族文化 Vol.60 No.-

        조선시대 養子를 들이는 것은 매우 빈번한 일이었다. 통상 家系의 단절로 아들이 없거나[無後], 딸만 있거나[無男], 아들이 있긴 하지만 적자가 아닌 경우[無嫡子]로 나눌 수 있다. 養子가 된다는 것은 여러 가지 복잡한 절차를 거쳐서 정해진다. 그로인해 법률적이나 정서적인 여러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많았다. 지금까지 양자에 관한 연구는 주로 역사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고, 문학 작품을 통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조선시대 養父와 養子의 실제 모습을 볼 수 있는 자료는 많지 않다. 채팽윤은 그의 문집에 자신의 양자인 채응동에 대하여 50여 수의 시를 남겼다. 이 자료를 통해 조선시대 양자의 한 모습을 생생히 엿볼 수 있었다. 우선 양자에 관한 결정과 경위를 살펴보았다. 양자를 결정하는 일은 정서적이거나 법률적인 문제가 복잡하게 발생할 여지가 많았다. 본인이 입양을 결정했다고 하더라도, 어떤 사람의 몇 번째 아들을 어떤 시점에 어떤 방식을 통해야 하는지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였다. 채팽윤의 시문에는 입양 결정과 경위가 소상히 나와서 조선시대 입양과정을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養育에서 느끼는 일상의 기쁨을 담고 있다. 양육에 대한 간절한 희망이 현실로 바뀌는 놀라운 체험은 그 자체로 기쁜 일이었다. 아이와의 逸話를 통해서 상세하게 그려냈다. 아이에 대해 애틋하고 따스한 감정도 주저없이 표현하고 있다. 채팽윤의 아이에 대한 태도는 엄격하기보다는 자애롭다. 주변 사람들이 아이의 訓育을 강도 높게 주문했지만, 채팽윤은 나름의 교육 철학을 가지고 본인의 방식대로 아이를 훈육했다. 끝으로는 본인과 아이의 상황에 따라 떨어져 있게 되는 상황에서의 슬픔과 그리움을 적고 있다. 부모와 자식 모두에게 離乳란 어려운 과정이다. 서로의 상황에 따라 떨어져 있으면서 서로를 그리워하며 부자의 정을 키워간다. 이러한 시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르는 정과 키우는 정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절실할까? 피로 맺어져 있는 血肉의 감정은 근원적이면서 원초적이다. 그러나 가족은 서로의 유전자를 공유하여 태어나면서 시작되기는 하지만, 서로의 시간과 생활을 공유하면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가족이란 결국 함께 지나온 시간의 퇴적물에 다름 아니다. 채팽윤이 養子에게 남긴 시를 통해서 이 시대에 가족에 대한 의미를 다시 한번 환기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adopt children was a frequent customary practice. Usually, a measure against the disconnection of the family, cases of adoptions couldbe divided into cases where there was no son, where there was only a daughter, or where there was a son, who was not deemed appropriate. Adoption was determined through a number of complex procedures. As a result, there was a lot of room for legal and emotional problems. Until now, research on adoption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the field of history, and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literary works. There are few materials that represent the actual experiences of yangbu and yangja during the Joseon Dynasty. Chae Paeng-yoon left about 50 poems about his adopted son, Chae Eung-dong, in his collection of writings. Through these texts, we can gain a vivid glimpse of adoptees in the Joseon Dynasty.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decisions and circumstances of adoption. Determining adoption presented a lot of potential for emotional or legal problems to arise. Even when adoption was decided, it remained challenging to solve question such as at what point to adopt and which of someone‘s sons should be adopted. Chae Paeng-yoon’s poetry contains detailed descriptions of adoption decisions, presenting a vivid documentation of the adoption process in the Joseon Dynasty. Next, the poetry contains the joy of daily life felt in parenting. The amazing experience of turning the desperate hope for parenting into reality is portrayed in the text as a pleasure in itself. This experience was drawn in detail through an anecdote with a child. The poet also expresses his affectionate and warm feelings for the child without hesitation. Chae Paeng-yoon’s attitude toward the child is benevolent rather than strict. People around him strongly urged a strict approach to the child’s rearing, but Chae Paeng-yoon disciplined the child in his own way with his own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end, the poet portrays the sadness and longing in a situation where he and the child are separated due to circumstances. It is a difficult process to weave both parents and children. Depending on each other’s situation, they are separated, miss each other, and develop rich affection. These poems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Which is more significant? The affection of growing or that of raising? The emotions that arise from the bonds of blood are fundamental and primal. However, although families may begin through the birth of a child sharing common genetic ties, they are also created by sharing habits and lives with each other. In the end, a family is defined by the sediment of time that has passed together. This study reflects the hope that the poetry left by Chae Paeng-yoon will be able to recall the deeper meaning of familial love once again in this era.

      • KCI등재

        암행어사 공무 활동의 실제와 그 의미 - 휴휴자 구강의 일기를 중심으로 -

        박동욱 ( Pak Dong-u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3 퇴계학논총 Vol.41 No.-

        암행어사는 대중적 관심에 비해 그 실제 활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암행어사 일기에는 공무수행 중의 고난과 고생, 낯선 풍속과 풍물, 지역민과의 접촉 등의 여러 가지 사연이 逸話 위주로 흥미롭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암행어사의 활동 자체가 엄밀한 보안을 유지해야 했기에, 공적 활동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 감춰져 있을 수밖에 없다. 具康의 『休休子自註行路編日記』는 암행어사의 공무수행 면모를 파악하기에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자료를 중심으로 암행어사 공무 활동의 실제를 살펴보고, 다른 암행어사 일기도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논의를 풍성하게 하였다. 암행어사는 暗行과 明行을 선별적으로 선택해서 활동했다. 아직까지 명행의 존재조차 논의된 적이 없다. 명행은 신분을 드러낸 채 활동하는 것이다. 신분을 드러내는 것이 암행어사의 본질에 위배되지만 방법적으로 선택이 불가피한 경우도 있었다. 명행은 신분을 감추는 것이 무의미한 경우와 신분을 밝힐 수밖에 없는 부득이한 경우에 실시했다. 특히 先文이나 路文을 사용할 수 밖에 없을 때 자주 사용되었는데, 구강의 경우에는 제설 작업을 위해 선문을 띄워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 출도는 추생지에서만 실시했고, 沿路에서 비위를 목도하더라도 즉흥적으로 출도하지 않았다. 이것은 암행어사 상호 간의 중복 출도와 사적인 감정으로 함부로 출도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였다. 암행어사 활동 기간 동안 적게는 3번이고 통상 10번 내외로 출도했다. 암행어사는 각종 공문서의 처리도 맡았다. 암행어사를 불시에 찾아와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했지만, 대개는 等狀을 통해 공식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밝혔으며, 암행어사는 그에 대해 적절한 뎨김을 내렸다. 구강의 일기에는 이러한 等狀과 뎨김이 상세하게 실려 있어 참고가 된다. 여러 경로로 수집된 정보를 통해 해당 고을의 수령이 저지른 부정을 미리 파악한 후, 출도를 하고 문서를 통한 확인 작업을 한다. 비위 사실이 명확해지면 封庫를 했다. 이렇게 해당 수령이 업무 정지 상태가 되면 옆 고을 수령이 兼官을 맡아 업무 공백을 막고, 뒤에 암행어사가 올리는 書啓를 통해 판단한 뒤 파직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일반 아전이나 백성들은 죄의 경중에 따라 직접 懲治했다. Black-and-white language is little known about its actual activities compared to In the diary of Amnhaeng-sa, various stories such as hardships and hardships during official duties, unfamiliar customs and customs, and contact with the local people are recorded in an interesting story. However, many aspects of public activities have to be hidden, as the activities of the eulogist themselves have to be kept strictly secure. The word “休休子自註行路編日記” in the mouth contains abundant information to identify the official performance of the black-and-white fishing company. Based on this data, we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official activities of Amnhaengsa Temple, and also used other Amhaengosa diaries to enrich the discussion. Amnhaengsa Temple selectively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cancer and meditation. Although revealing one's identity violates the nature of black and white language, there were times when a choice was inevitable. The practice was conducted in cases where hiding one's identity was meaningless and inevitable. The appearance was conducted only at the memorial site and did not appear off-the-campus even if it was intended to offend the elderly. He also handled various official document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various channels shall be identified in advance of the irregularities committed by the recipient of the district, and then the documents shall be checked. When the truth of the scandal became clear, he made an appeal. Ordinary children and the people were directly conscript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ir s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