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메타버스(Metaverse) 이용과 사회자본 형성 : 사회적 실재감과 사회적 지지 및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노일,정지연,홍다예 한국방송학회 2022 한국방송학보 Vol.36 No.5
Although 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the metaverse, which is regarded as the second Interne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communication of metaverse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ulti-dimensionally investigate the process of social presence, social interaction for social support,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formation of metaverse us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people who actually use Zepeto and Roblox, which are currently representative metaverses.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metaverse use did not directly affect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multidimensional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social presence, social interaction for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mmunity of metaverse users on the formation of bridging and binding social capit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confirmed that solidarity and unity among people in metaverse are form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social presence, the level of social interaction of social support, and the sense of community, even conside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users and the channels of using Roblox and Zepe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meaningful in that they illuminate the social meaning and value of the metaverse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users and social capital formation.
박노일,정지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6 아태연구 Vol.23 No.2
China is one of the most critical countries in achieving the unification of Korea, which is currently South Korea's biggest challenge. This research premises that Hanryu(Korean wave) has deep associations with the Chinese perception of Korea's political statu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seek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ripple effects on the Chinese's usage of Hanryu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nation's brand and reunification, regardless of Chinese's personal attribut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484 online survey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Chinese's consumption of Hanryu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ir perceptions of Korean unification. The results were consistent in situations where the Chines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dia usage, and ethnocentrism were controlled. Specifically, this research provides evidence that Chinese's Hanryu consumption has an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Korean unification, Chinese's perception of Korean nation brand serving as a medium in affecting Chinese's perception of Korean unifi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the fundamentals of bringing about various political and diplomatic consequences through the perception of nation's brand constructed by the Chinese's consumption of Hanryu, taking into account their ethnocentrism and media usage patterns. Finally, this research represents a pioneering endeavor to establish connection between Hanryu consumption and political perceptions by mediating nation brand. 중국은 한반도의 최대 과제인 남북통일을 달성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국가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한류가 문화적 외교대사로서 중국인의 한반도 정치 정세 인식과 연계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중국인의 한류콘텐츠 이용이 중국인의 개인 속성을 초월하여 한국의 국가브랜드 인식과 한반도 통일 인식에 미치는 정치적 파급효과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조명하기 위해 중국의 일반인 484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국인의 인구사회학적 속성, 미디어 이용량 및 자국중심주의 성향을 통제하고서도 한류 이용이 한반도의 통일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히 중국인의 한류 이용이 한국에 대한 국가브랜드 인식을 경유하여 한반도 통일 인식에 이르는 정치적 식견 형성의 매개모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자국중심의 성향과 미디어 이용패턴 등을 고려한 가운데, 중국인의 한류콘텐츠 이용이 국가브랜드 인식을 매개하여 다양한 정치·외교적 변인까지 연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대학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대학ᐨ학생 관계성 및 대학 만족도
박노일,정지연,진범섭 한국PR학회 2017 PR연구 Vol.21 No.6
Due to the low birthrate and college admission decrease in school age population, universities are vigorously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s well as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 in public relations perspectives.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1,266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universit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atisfaction.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versit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to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 despite of controlling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overall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 facilities including major education, and scholarship support as well as the gender of college students, current semester, GPA, and whether he completed military service.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from public relations perspectives for the university by considering it as one organization and by closely studying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one of the university’s core internal publics, 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 저출산과 대학 입학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대학교는 대학 교육 서비스의 질적 제고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 연구는 PR(공중 관계)학 관점에서 대학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ᐨ학생 관계성과 대학 만족도에 미치는인과적 관계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4년제 종합대학교 재학생 1266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학 조직의 커뮤니케이션과 대학ᐨ학생 관계성은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대학생들의 성별, 재학 학기, 학점 평점, 병역필 여부는 물론 전공 교육과 장학금 지원 등 전체적인 대학 교육 환경 시설에 대한 태도를 통제하고서도 대학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은 대학ᐨ학생 관계성을 매개로 대학 만족도에 유의미한 인과적 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교를 하나의 조직체로 상정하고, 대학의 핵심적인 내부 공중인 학생 관계와 커뮤니케이션 가치를 PR학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대학 조직체의 PR 활동 관련 이론 및 실무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고령자 1인 가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커뮤니티 및 사회참여 : MZ세대 및 고령자 1인-다인 가구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박노일,정지연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2
최근 대한민국의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홀로 생활하는 1인 가구의 급증이 가파르다. 디지털 환경에 친숙한 MZ세대와 달리 홀로 생활하는 고령자 1인 가구의 디지털 리 터러시는 사회적 고립을 넘어 생존과 직결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MZ세대와 고 령자 1인-다인 가구 집단 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커뮤니티 및 사회참여 활동 의 차이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가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참여 활동 에 미치는 인과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의 한국미디어 패널데이터 중 MZ세대와 고령자의 답변자료 총 4,408개를 분 석한 결과, 고령자의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커뮤니 티 및 사회참여 활동 수준을 나타냈다. 반면 MZ세대 1인-다인 가구 집단에서는 디지 털 리터러시와 사회참여 활동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고령자 1인 가구의 경우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사회참여 영향이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서 사회참여가 촉진되는 인과적 모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자 집단 내의 1인-다인 가구 유형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확인해 주 는 동시에, 고령자 1인 가구의 디지털 리터러시 제고를 통한 사회참여 촉진을 위해서는 홀로 생활하는 고령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형성과 상호작용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는 실 무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rapid rise of one-person households living alone as well as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s is steep. Unlike the MZ generation who is called as digital natives, digital literacy of senior one-person households living alone is an important factor,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survival beyond social isol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differences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online community activities as well as social participation between the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and MZ generation. Also it aims to explore the causal model of digital literacy to online community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4,408 data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KISDI) in 2020,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one-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digital literacy, online community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one-person household group of the MZ generation,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did not promote both online community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one-person household group of the elderly,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social participation was not directly shown, but by mediating the level of online community activitie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affirm the digital gap between the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while providing a foundation for prac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that facilitate online community interaction among one-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in order to promote their social participation.
가상현실(VR) 힐링 콘텐츠 이용과 심리적 불안감 완화: 실감 미디어 이용 채널과 콘텐츠 소재를 중심으로
박노일,정지연,한나라,김정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3 언론정보연구 Vol.60 No.1
Virtual Reality as a realistic media is a useful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an promote human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ow the using channels for VR experiences and the awareness for specific materials in VR content affect the perception of presence in VR and the reduction of anxiety among VR content user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0 adults experiencing VR healing content created with the theme of mountains and seas in HMD and 2D moni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lthough the anxiety reduced before and after using VR healing conten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using channels for VR experiences even though demographic variables were taken into account. Among the materials of VR healing conten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deer’ in VR,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resence, and a causal model in which anxiety was reduced through that presence was confirmed. These results showed that having experiences with specific materials in VR healing content can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facilitating follow-up research for communication researchers by providing an empirical foundation in developing the healthcare VR content and materials. 실감 미디어인 VR(Virtual Reality)은 인간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이다. 이 연구는 VR 힐링 콘텐츠 이용 채널과 소재 인식이 프레즌스 및 심리적 불안감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산과 바다 관련 테마로 제작한 VR 힐링 콘텐츠를 HMD와 2D 모니터 채널로 체험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험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의 VR 힐링 콘텐츠 체험에 따른 심리적 불안감 완화는 VR 콘텐츠 이용 채널 두 집단(VR-HMD와 2D 모니터)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산과 바다의 VR 힐링콘텐츠 소재 중 특정 소재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프레즌스 지각이 높아지고 이를통해 심리적 불안감이 감소하는 인과적 매개모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VR 힐링 콘텐츠 체험이 프레즌스 지각을 강화하고 심리적 안녕감을 촉진할 수있다는 실증적인 결과를 제시한다. 특히 VR 힐링 콘텐츠의 특정 소재 노출에 따라 심리적 불안감 완화 기제가 작동함을 경험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헬스케어 VR 미디어 이용 채널과 힐링 소재 구성 관련 실무적 지침과 후속 연구를 촉진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