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Background and Function of Pauline Temple Imagery in 2 Cor 6:14-7:1

        박노식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0 신약연구 Vol.9 No.4

        본 논문은, 하나님의 성전에 관한 개념에 특별한 관심을 집중하면서, 고린도후서 6:14-7:1에 드러난 공동체를 성전으로 이해하는 바울의 신학적 배경과 그 이미지의 기능을 찾아가는 문헌적ㆍ해석적 연구이다. 공동체를 성전으로 이해하는 경향성은 바울 당시의 고대 문헌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석자들은 이러한 이해를 쿰란 문헌에서 찾으려고 노력했다. 해석자들이 바울의 성전 이미지를 쿰란 문헌에서 찾고 있는 이유는 고린도후서 6:14-7:1 자체의 특성 때문이다: 1) 고린도후서 6:14-7:1는 바울 서신들에서 오직 한 번 사용된 특별한 단어들을 많이 갖고 있다; 2) 고린도후서 6:13과 7:2은 내용적으로 그리고 문체적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6:14-7:1은 삽입된 단락이다; 3) 바울은 이 단락에서 믿지 않는 자들로부터 구분되는 삶을 요구하고 있다; 4) 바울은 이 단락에서 성전(ναός) 개념을 우상숭배에 연결하고 있다. 그래서 해석자들은 공동체의 정체성을 규정하기 위해 채용된 성전 이미지의 배경을 쿰란 문헌 1QS 5:4-7; 8:4-10; 9:3-6; 4QFlor 1:2-7에서 찾고 있다. 해석자들은 언급된 쿰란 문헌의 본문들에서 쿰란 공동체를 예루살렘 성전을 대체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해석자들은 성전으로 공동체를 이해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된 본문들을 바울 사상의 기원으로 제안하고 있지만, 이러한 결론은 선행적으로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들을 갖고 있다. 첫째, 공동체를 성전으로 규정하기 위해 발취된 히브리 단어 자체의 모호함이다. 성전을 의미하는 히브리어는 היכל이지만 이 단어를 쿰란 문헌들에서 찾을 수 없기에, 성전보다 집을 뜻하는 בית을 발취하여 해석적 전제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성전에 관한 개념은 신학적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 쿰란 문헌들은 어떤 경우에 성전을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현재의 성전을 언급하는가 하면, 또 다른 경우에 쿰란 공동체는 예루살렘 성전을 대체하는 미래의 성전이며, 이 미래의 성전은 하나님에 의해 세워질 것이다. 성전에 대한 이러한 신학적 비-일관성과 모호한 용어의 사용은 성전으로 공동체를 이해하는 것의 배경을 연구함에 있어서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바울 서신들과 쿰란 문헌들 사이에 상당한 이견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질적으로 바울의 개념은 쿰란의 그것과는 상당한 차이들을 갖고 있다: 구조, 상징성 그리고 성격. 바울이 예수의 삶의 방법에 참여하고 모방하려는 원칙을 갖고 있듯이 고린도후서 6:14-7:1에 나타난 성전 개념은 자신의 몸을 성전으로 이해한 예수의 말씀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공동체를 성전으로 이해한 바울은 단어 '성전'을 고린도교회를 권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바울은 고린도 공동체가 하나님의 성전이기 때문에 ἄπιστος들과 자신들을 구분하여 그들 자체의 정체성을 유지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바울은 공동체를 위해 ἱερόν보다 ναός를 더 적절한 용어로 사용한다. πιστός와 ἄπιστος 사이의 구분, 그리고 ἱερόν을 대신한 ναός의 선택은 바울에게 있어서 사도 자신과 공동체 사이의 화해를 도모하기 위한 설득의 수단이다. 공동체를 성전으로 이해하려는 은유적 표현은 바울의 수사적 상황 안에서 전적으로 고려된 설득의 수단이었다.

      • KCI등재

        중용 개념을 통한 문화인류학적 상호텍스트성의 해석학적 차원에서 복음서 연구 II: 존재의 실천원리로써 『중용』의 성(誠)과 복음서의 제자도

        박노식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0

        The paper shall concentrate the study on inter-textuality between Chung-yung and the Gospels.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Confucian view of sincerity(誠)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onfucian and Christian mutual communication of the view of sincerity/discipleship. Concepts of ‘being sincere(誠)’ and ‘being a disciple’ are tenets in the Confucian and Christian thoughts and behaviors. Sincerity and discipleship became the central meaning of ren and mercy and constituted the root of human behavioral practice. Because the concepts of sincerity and discipleship relate to the structural pattern of human’s attitudes and behaviors, sincerity “points to human reality which is not only the basis of self-knowledge but also the ground of the human participation with Heaven.” Ren(仁) and mercy are the heart of human behavior within community in Chung-yung and the Gospels. What shared the Christian and Confucian understanding of ren and mercy is the union between the way of heaven and the way of human. 서양의 기독교는 초월적 계시를 통한 하나님과 사람의 만남을 중요시했다면, 동양의 유교는 초월과 내재 간의 합일을 통한 조우를 중시하였다. 이제 동양과 서양의 활발한 소통을 중시하면서, 『중용』은 서양 기독교와 동양 유교의 상이한 세계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가교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궁극적 내재로서 사람의 본성은 초월적 형이상의 실체이기에, 『중용』의 성(性)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피조물에게 부여된 하나님의 형상과 유사하다. 하늘의 형상 또는 성을 부여받은 존재는 성(誠)해야 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성을 체현한 것이 소위 성(誠)한 삶이다. 그리고 인(仁)의 길은 사람의 도(道)를 이루는 것이며, 성(誠)함을 하늘의 도(道)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와 유사한 것은 복음서의 제자도 개념이다. 예수의 제자 됨이란 예수와 합일(合一)하는 것을 말한다. 왜냐하면 복음서에서 예수의 오심은 말씀(言)이 사람이 되어(成) 우리 가운데 있게 된 사건이며, 또한 예수의 십자가도 하나님의 말씀(言)을 ‘다 이루신’(成) 사건이기 때문이다. 복음서는 예수의 제자의 길을 가르쳐야 하는 것을 명령하고 있다(마 28:19).

      • 韓國地形區

        朴魯植 慶熙大學校 1972 論文集 Vol.7 No.-

        Korea physiographic province is divided into two provinces which is northern Chugaryung graben zone and southern Chugraryung graben zone. Northern Chugaryung divided into Han block, Gema block, and Kohan block, and southern Chugaryung divided into Han block, Yongnam basin and Honam plain. The above mentioned micro geomorphic units is divided, mainly on the geotectonics. The meso geomorphic units is divided, based up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opographic characteristic that is plateaus, moutains, moutain range, basins and great plain etc. Micro geomorphic units are divided into a mountain, a hill, a plain, and a lowland, and then it is formed by selfreliant topographic unit. And micro topographic (fan, peneplain, dealt, etc.) dealt with a characteristics unit. In this article has a disregarded smallest scale that in included flood plain, natural levee, back marsh and ox-bow lake etc. Accordingly, it shows micro units are meso units are 5, meso units are 53, micro units are 299. A study method of physiographic provinces prefered to aufsteigende and abstergands methoy. How to organically combine topographic factors can be seen in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peculiar topographic characteristics, for charage teristic of topographic makes a study on the topographic of micro unit such understanding as aufsteigende method. At the same time, since it can be studied systematically from micro unit to micro unit like the aufsteigende methods, I used both methods. And this establishement of physiographic province based on the scientific method depend on the base map of climate classification, Geology, Soil, Biology. I feel confident that it will be used the basic map for land use map, land classification map, study or geomorphology of Korea. And will be used for study of a topographic standard data.

      • KCI등재
      • 韓國五大江流域의 土地利用에 對한 類型的 分類의 硏究 (一部)

        朴魯植 慶熙大學校 1964 論文集 Vol.3 No.-

        1) Purposes of Research Basing upon the data sampled during the on-the-spot survey of the five major river basins in South Korea, the present research aims at classifying the land use pattern of river basins and at studying systematically its regional distribution. In this land use studies, the investigator tried to work out the survey items most suiting the Korean circumstances. A river basin, in view of both physical and man-made settings, is subject to the frequent changes. Land use in this river basin structure with such complexity and variety presents certain regular trends although they are irregular mostly. Even a plot of land which has unconsciously or rather unsystematically been utilized by the villagers has its land use pattern especially in cultivation form, its direction or order etc, determined by certain social demand and some common feelings for land use. The investigator will not assert whether such reguler structure is reasonable in land use, or not. However, it is advisable that any unreasonable patterns of land use be substituted with the reasonable ones, should reformation of land become possible through a national planning. In order to study the land use in the five major river basins in South Korea, the investigator first classified physical patterns, considered the patterns one by one, examined each basin, also studied land use patterns, thus comparing one with another and trying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2) Scope and Techniques of Research The scope is limited to the five major river basins; Han Kang(north Han Kang, south Han Kang.) Kum Kang, Nakdong Kang (Nam Kang tributary, Kum Ho Kang), Som Jin Kang, Yong San Kang, and the target objective in the research covers stream behaviors; natural levees, alluvial river bed, flood plains, delta, meander, lake in river bed, and marshes etc. 93 of following basins are sampled from the five major river basins; Han Kang 27, Nakdong Kang 38, Kum Kang 19, Som Jin Kang 4, Yong San Kang 5. 45 topographic maps(1:50,000) cover these areas; Han Kang 10, Nakdong Kang 20, Kum kang 7, Som Jin Kang 5, Yongsan Kang 3. As for research techniques, the typical research items have been adopted as mentioned already, and maps and graphs are used for the careful considerations based on statistical data. The maps, graphs and criteria of pattern analysis in land use are an outcome of the investigator's originality. In classifying land use patterns of the five major river basins, the regular ones(with regular trends) come first and are followed by the irregular ones(with irregular trends). They may be classified as follows: type A(13-14%), type A¹(23-25.3%), type A²(25-26.9%), type B(17-18.3%), type C(15-16.1%). A pattern shows certain regular trends in land use when its forms are regular while irregular trends are noticed in irregular forms. When considered through the five river basins Han Kang and Nakdong Kang are more irregular on account of the frequent changes in waterway. However in Kum Kang, irregular and regular patterns equal in number.

      • KCI등재

        누가복음 10:25-37 내러티브 읽기

        박노식 한국신약학회 2023 신약논단 Vol.30 No.2

        누가복음 10:25-37은 소위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로 불리는 예수의 비유를 갖고 있는 단락이다. 사마리아인 비유(눅 10:30-35) 자체로도 완벽한 내러티브이지만 연구는 누가복음 10:25-37을 하나의 단위로 해석하고자 한다. 사마리아인 비유는 수사적 전략에 따라 사용된 일종의 예화이고, 비유가 종결된 후에도 예수와 율법사의 대화는 다시 이어지기 때문이다. 내러티브 속 내러티브인 사마리아인 비유는 이웃사랑의 실천을 예시하는 모범적 비유(example parable)로 분류되면서, 비유는 필요에 있는 사람에게 그 필요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윤리적 해석의 범주 안에 가두어졌다. 모범적 행동이라는 윤리적 해석은 사마리아 사람의 출현이 배태한 의미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비유가 일상과 비일상의 비교보다 이상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비유의 고유성이라는 하나님나라에 관한 신학적 실재와 비유의 극적 효과라는 청중의 실존적 참여의 의미성은 최소화될 수 밖에 없다. 하나님나라의 실재를 보여주기 위해서 연구는 누가복음 10:25-37의 인물들과 그들의 행동에 관련된 문학적 구성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여, 인물들의 행동을 통하여 암시된 삶의 다양성에 관련된 신학적 사유를 제시할 것이다. 연구는 예수와 율법사의 대화가 보여준 ‘의롭다고 인정됨과 이웃되기’에 관련된 은유성과 더불어 예기치 못한 사람의 등장과 그의 자비로운 행동의 재현에 관련된 하나님나라의 실재를 확인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SPI-4.2 프로토콜을 사용한 PHY-LINK 계층간의 데이터 전송 성능평가

        박노식,손승일,최익성,이범철 한국정보통신학회 200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8 No.3

        시스템 패킷 인터페이스 4레벨 2단계(System Packet Interface Leve14 Phase 2)는 10Gbps 이더넷 응용 뿐만아니라, OC-192 대역폭의 ATM 및 POS를 통한 패킷 또는 셀 전송을 위한 물리계층과 링크계층 소자간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패킷 인터페이스 4레벨 2단계(SPI-4.2)에 대한 연구와 C언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모듈의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SPI-4.2 인터페이스 모들은 512워드의 FIFO를 사용할 경우 랜덤 유니폼 트래픽에서는 97%까지, 버스트 길이 32를 갖는 버스트 트래픽에서는 94% 까지의 offered load에 대해 적응이 가능하다. 그리고 14 바이트 미만의 작은 크기 패킷을 대규모로 수신할 경우, 오버헤드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PI-4.2 인터페이스 모듈은 기가비트/테라비트 라우터, 광학 크로스바 스위치 및 SONET/SDH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서 라인카드로 사용할 경우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System Packet Interface Level 4 Phase(SPI-4.2) is an interface for packet and cell transfer between a physical layer(PHY) device and a link layer device, for aggregate bandwidths of OC-192 ATM and Packet Over Sonet/SDH(POS), as well as 10Gbps Ethernet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erforms the research for SPI-4.2. Also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SPI-4.2 interface module after modeling using C programming language. This paper shows that SPI-4.2 interface module with 512-word FIFO depth is able to be adapted for the offered loads to 97% in random uniform traffic and 94% in bursty traffic with bursty length 32. SPI-4.2 interface module can experience an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heavy overhead when it massively receives small size packets less than 14-byte. SPI-4.2 interface module is suited for line cards in gigabit/terabit routers, and optical cross-connect switches, and SONET/SDH-based transmission system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