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모 단백질의 급여가 닭의 영양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

        오현민(Hyun-Min Oh),박노성(Noh-Sung Park),조치현(Chi-Hyun Jo),김성복(Sung-Bok Kim),임재삼(Jae-Sam Lim),이봉덕(Bong-Duk Lee),이수기(Soo-Kee Lee)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1 농업과학연구 Vol.38 No.4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hog hair protein (HHP) on the nutritional value for poultry. In experiment 1, twenty roosters of Hanhyup-3 strain were alloted, and metabolizability of HHAA was measured. In experiment 2, forty roosters of Hanhyup-3 strain were alloted to 0, 3, 7.6 and 15.1% of HHAA treatments, 10 birds per treatment, and measured feed utilization and blood parameters. In experiment 1, no trend was found in excretion of amino acid, high in glysine and glutelin, low in valine, threonine, and methionine. HHAA metabolizability of serine, phenylalanine, alanine, and isoleucine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lysine, cystine, asparagine, and tyrosine. In experiment 2, as the HHAA level increased, feed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in 15.1% treatment, but water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in 15.1% traetment. Dry matter and nitrogen metabolizability decreased in 7.6 and 15.1% treatment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ree treatments(0, 3, and 5.7%), as the HHAA level increased, dry matter and nitrogen metabolizability decreased. Serum creatinin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5.1% treatment.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proper level to substitute soybean meal by HHAA was 10%.

      • KCI등재

        상황버섯박과 당밀의 첨가가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장석훈(Seok Hun Jang),오현민(Hyun Min Oh),김성복(Sung Bok Kim),조치현(Chi Hyun Cho),박노성(Noh Sung Park),이봉덕(Bong Duk Lee),이형석(Hyung Suk Lee),이수기(Soo Kee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4

        본 실험은 상황버섯박의 이용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약제박에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고 그 품질을 조사하였다. 상황버섯박을 사일리지 재료로 사용함에 있어 한약제박에 건물기준으로 0, 16 및 30%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이 적은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당밀을 0, 1 및 2% 첨가하였다. 한약제박에 대한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일리지의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지고, ADF 함량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사일리지의 pH는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감소될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젖산 함량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적을수록, 당밀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많아졌다. 초산함량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밀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낙산 함량에 있어서는 상황버섯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밀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결과 보였다. 사일리지 중의 미생물 배양은 MRS 배지에 있어서는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낮을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총세균수가 많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DA 배지에 있어서는 MRS 배지의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낮을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총세균수가 적었다. 사일리지의 in vitro 건물소실율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당밀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일리지의 제조에 있어 한약제박에 상황버섯박을 첨가하는 것은 사료의 영양가를 향상시키며, 당밀을 첨가하는 것은 사일리지의 유산 함량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한약제박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며 첨가수준에 있어서는 당밀은 2% 정도로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며, 상황버섯박은 16% 정도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meal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of Korean herbal medicine silage. Herbal medicine meal silages were produced by the addition of 0, 16, and 30% of Phellinus linteus meal and 0, 1, and 2% of molasses (3*3 factorial design) and stored for 40 days at room temperature. There were three replicates per treatment. Its quality such as chemical composition, pH, organic acids,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and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were determined. As the Phellinus linteus meal level increased,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ition of Phellinus linteus meal decreased, and molasses increased, pH tended to decrease, but the lactic acid content trended to increase. The acetic acid content was lower in a higher level (30%) of Phellinus linteus meal, and higher in a higher level (2%) of molasses. As the Phellinus linteus meal level increased, the butyric acid content decreased, and butyric acid of molasses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non-supplemented control. Molasses increased the number of Lactobacillus, but decreased the number of fungi in silage. A lower level of Phellinus linteus meal increased the number of Lactobacillus, but decreased the number of fungi.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tended to increase by the addition of Phellinus linteus meal and molasses. It is concluded that the addition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to herbal medicine meal silage could enhance its nutritional quality. It is considered that proper levels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meal in herbal medicine meal silage were 2 % and 16%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