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웹 서비스를 활용한 모바일 건강 문진 서비스 프레임워크

        박남준(Nam Joon Park),이민규(Minkyu Lee),한동수(Dong-Soo Han),조철호(Chulho Cho),조재걸(Jaegeol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오늘날 건강 상태를 쉽게 진단 할 수 있는 건강 문진의 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하지만 이들 문진은 웹 페이지 또는 인쇄본을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건강 문진은 일상 생활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모바일 건강 문진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건강 문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답변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모바일 건강 문진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언제, 어디서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 서비스를 활용한 모바일 건강 문진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다. 이 프레임워크는 모바일 건강 문진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실행을 용이하게 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 퇴적물 중금속의 분포와 오염의 역사 추정

        조진형,박남준,김기현,Cho, Jin-Hyung,Park, Nam-Joon,Kim, Kee-Hyun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4

        낙동강 하구역 해저퇴적물중 중금속 함량의 수평적, 수직적 분포와 오염의 진행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5월과 9월에 표층 및 주상시료를 채취하였다. 유기물은 갑문의 안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 미량금속인 Zn, Cu, Pb는 낙동강의 상류로 갈수록 많은 양이 농축되어 있다. 또한, 상류의 많은 공단에서 유입되는 폐수의 영향 때문에 국지적으로 중금속의 농축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퇴적물의 깊이별로 $^{210}$Pb$_{ex}$를 측정하여 퇴적속도를 추정한 결과, 낙동강 하류의 갑문안쪽 정점(정점 1)의 퇴적속도는 0.34cm/yr이며, 갑문 바깥쪽의 장림 앞(정점 4)에서는 0.25cm/yr로 나타났다. 정점 1에서는 퇴적물 혼합층(sediment mixing layer)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점 4는 퇴적층 상부 약 3.5cm까지 퇴적물이 혼합되어 있었다. 주상퇴적물 시료에서 오염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정점 1에서 많은 부분이 유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Cu는 1920년대부터 점차 퇴적층에 농축되기 시작하여 1970년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1990년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Zn은 1960년대 중반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부터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Pb는 197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점 4에서 인간에 의한 오염기원인 중금속중 Cu, Zn이 최상부 퇴적층에 급격히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u는 1950년대 중반(약 11 cin) 이후 부터 현저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낙동강 하구둑이 설치된 1987년을 기점으로 살펴보면, 정점 1에서 갑문 설치 후 중금속의 농도가 수직적으로 급격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난다. 기준으로 해수면자료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부분의 정점에서 표층 0${\sim}$0.25 cm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표층 0${\sim}$1 cm에 약 60%전후의 개체수가 밀집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중형저서생물의 위도에 따른 분포양상은 북위 5도에서의 표층수 수렴과 북위 8도에서의 표층수 발산으로 인한 수층의 일차생산력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0$^{10}$ ton yr$^{-1}$ Sv$^{-1}$)에 비해서는 2/3 수준으로 높다. 결론적으로 풍부한 화학물질들을 함유한 제주해류는 남해 및 동해의 생지화학적 과정들에 있어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한다.다. 수조 상층수 중 Cu, Cd, As 농도는 모든 FW, SW수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성 있게 감소하였고, 제거속도는 Cu가 다른 원소에 비해 빨랐다. 제거속도는 FW 3개 수조 중 FW5&6에서 세 원소 모두 가장 느렸고, SW 3개 수조 중에서는 SW1&2에서 가장 빨랐다. SW와 FW간 제거속도 차이는 세 원소 모두 명확치 않았다 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In order to determin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metals and prospect the recent metal pollution history in Nakdong Estuary, we took surface and core sediments. Maximum value of organic matter occurs at the upstream site located 4 km from Nakdong barrage, and the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Zn, Cu, and Pb etc.) decrease seaward in the estuary. The sedimentation rates, based on $^{210}$Pb$_{ex}$ and $^{137}$Cs activities, were 0.34 cm/yr in inside of barrage (core 1) and 0.25 cm/yr in Changrim (core 4). Sediment mixing layer does not exist in core 1, where anoxic condition is known to be prevail. The topmost sediment layer of core 4 (<3.5 cm) is severely mixed. At sites 1 and 4, concentrations of Cu slow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1920-1970, rapidly increased during 1970-1990, and followed by slight decrease after 1990. Zn contents increased in early 1960s and peaked in 1993, and followed by decrease after 1990s. Pb has increased continuously since early 1970s. At the downstream of the barrage, Cu and Zn have increased in the topmost layer. The trend of increase of Cu is evident after 1950 (11 cm in sediment depth). Overall trend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clearly indicates the pollution has been increasing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arrage.

      • KCI등재

        신규 퀴놀론계 항생물질 DWQ-013의 흰쥐 및 생쥐에서의 체내동태

        조재열(Jae Youl Cho),남권호(Kweon Ho Nam),김동오(Dong O Kim),이종완(Jong Wan Lee),박남준(Nam Joon park),강영숙(Young Sook Kang),유영효(Young Hyo Yu),이재욱(Jae wook Lee) 대한약학회 1995 약학회지 Vol.39 No.3

        The pharmacokinetics and tissue distribution of DWQ-013, a new quinolone, were examined in rats and mice following a single intravenous and oral administration. DWQ-013 in plasma and urine was determined by both HPLC and microbiological assay. The plasma concentration of the drug declined biexpohentially. The terminal half life of the drug was 1.11 +/- 0.14 hour after intravenous dosing. The volume of distribution at terminal elimination phase(Vdbeta) and total clearance of the drug were 1.29 +/- 0.15l/kg and 0.78 +/- 0.09 l/h/kg. The bioavailability of DWQ-013 after oral administration was 56.0%(HPLC) and 77.2%(bioassay), respectively. Twelve-hour urinary recovery of drug was measured by HPLC and bioassay to 0.035 +/- 0.009% and 4.71 +/- 0.66% after oral dosing, to 0.055 +/- 0.014% and 7.65 +/- 1.53% after intravenous dosing, which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biologically active metabolites. Binding of the drug to plasma proteins ranged from 97%-99%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drug was highly distributed in order of liver, kidney and lung after 1.5 hours in mice.

      • KCI등재

        새로운 카바페넴계 항생물질인 DWP20418의 In vitro 항균작용

        김지연(Ji Yeon Kim),최문정(Moon Jung Choi),박남준(Nam Joon Park),임성수(Seong Soo Yim),변영석(Young Seok Byun),유영효(Young Hyo Yu),박명환(Myung Hwan Park) 대한약학회 1997 약학회지 Vol.41 No.2

        Th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DWP20418 (1R, 5S, 6S)-6-[1-(R)-Hydroxyethyl)-l-methyl-2-[(2S,4S)-2-(piperazinylcarbonyl)-1-(R)-hydroxyethyl)pyrrolidine-4-thio]carbapen-2-em-3-carboxylic acid), a new carbapenem antibiotic, was compared with those of imipenem (IPM) and meropenem (MEPM). DWP20418 was comparable or slightly more superior to MEPM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and it showed more potent activity to IPM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DWP20418 was particularly active against MRSA, and its MIC90 of methicillin-susceptible S. aureus, low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and high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were 0.391, 25 and 50 micro g/ml, respectively. With a view of MIC90, DWP20418 was comparable than the other carbapenems against P. aeruginosa and E. coli isolates. The activity of DWP20418 was not affected in the presence of Mg2+, Ca2+ or horse serum. But inoculum size and alterations in pH of medium affected its antibacterial activity. DWP20418 showed rapidly bactericidal activity within 1h, and regrowth was not observed even incubation of 24hrs at the concentrations near the M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